• Title/Summary/Keyword: 정보 유통

Search Result 2,606, Processing Time 0.04 seconds

Promoting Geographic Information Distribution (지리정보유통 활성화 연구)

  • Shin, Dong-Bin;Jeong, Jin-Seok;Park, Si-Young;Kim, Dong-Ha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185-188
    • /
    • 2005
  • 지리정보유통은 연계(network)의 경제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제활동이 원활히 움직이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유통체계를 구성하는 주체, 객체, 수단, 환경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그중 유통주체인 공급기관-수요기관-유통기관은 유통기관을 중심으로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 특히 지리정보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고, 단순한 자료나 정보가 아닌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부가정보 생산이 가능한 정보로 적극적인 공개를 통하여 그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생산된 지리정보를 보다 효율적이고 가치 있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리정보유통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지리정보유통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공급기관이 유통체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법제도를 강화해야 한다. 둘째, 지리정보유통추진협의회를 구성하여 공급기관과 유통기관간의 상호 원활한 협력관계를 유지한다. 셋째, 새로운 지리정보를 발굴할 수 있는 지리정보 발굴체계를 도입한다. 넷째, 앞의 세 가지 업무를 체계적이고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지리정보유통관리기구를 설립 운영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활성화방안을 기반으로 국가GIS 기본계획의 목적에 부합하는 충분한 지리정보를 확보하고 공급함으로써 범국민적인 유통 활용이 보다 빠르게 정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for Comparison Analysis of Geographic Information Distribution Models (지리정보 유통모형 비교분석 연구)

  • Shin, Dong-Bin;Jeong, Jin-Seo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75-379
    • /
    • 2007
  • 정부는 지난 몇 년간 국가GIS사업을 비롯해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한 각종 GIS사업을 통해 구축된 지리정보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자 국가지리정보유통체계 구축사업을 추진해 왔다. 지리정보유통망과 같은 정보 유통체계는 유통 상품이 물류배송이 아닌 인터넷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유통흐름을 가지고 있어 유통의 주체, 객체, 수단, 환경 등 제반 요소의 변화에 따라 유통모형을 달리 적용할 필요가 있다. 국가지리정보유통체계 구축사업에 적용된 유통모형은 크게 중앙집중형, 지방분산형, 혼합형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각각의 모형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현황과 정보화 환경을 고려하여 초기 단일 유통센터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중앙집중형에서 점차 지역별 통합관리소가 운영되는 지방분산형으로 전환되었고, 근래에는 중앙집중형과 지방분산형이 통합된 혼합형으로 발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적용된 유통모형을 정립하고 이에 대한 장 단점을 도출하여 향후 발전해 나아갈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유통모형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이는 정보 유통을 고려하는 사업의 참고 모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보다 성공적인 유통시장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국가지리공간정보 유통체계의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 Seo, Yong Won;Jin, Hui Chae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29 no.12
    • /
    • pp.50-50
    • /
    • 2002
  • 최근 GIS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정보 기술을 활용한 지리공간정보의 체계적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고 이에 따라, 건설교통부ㆍ정보통신부 등 관련 부처별로 국가 지리공간정보 유통체계를 구축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상 지리공간정보의 특성에 따라 집중형 및 분산형의 공간정보유통체계가 개별적으로 구축되어 있어 유통체계의 혼란을 야기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형 및 분산형 유통체계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유통체계의 통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가지리공간정보 유통체계의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용원;진희채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29 no.12
    • /
    • pp.1454-1463
    • /
    • 2002
  • 최근 GIS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정보 기술을 활용한 지리공간 정보의 체계적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고 이에 따라, 건설교통부ㆍ정보통신부 등 관련 부처별로 국가 지리공간정보 유통체계를 구축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상 지리공간정보의 특성에 따라 집중형 및 분산형의 공간정보유통체계가 개별적으로 구축되어 있어 유통체계의 혼란을 야기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형 및 분산형 유통체계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유통체계의 통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The Standardization Direction on the Metadata of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농산물 유통 메타데이터 표준개발 방향)

  • Min, J.H.;Huh, M.Y.;Park, J.Y.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10a
    • /
    • pp.607-610
    • /
    • 2015
  •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means all economic activities ranging from farmers(agricultural products producers) to consumers. In general, as the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channel is complicated and many distribution agents are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process, it takes a lot of distribution costs and is characterized by a relatively high distribution margin. Therefore distribution agents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channel requires an integrated, unified information system based on an accurate and seamless information exchange and mutual information sharing to integrally manage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andardization plan for database structures to use and share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among distribution agents and to implement an integrated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 PDF

국가 과학기술 정보유통의 현황과 과제

  • Choe, Hui-Yun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12
    • /
    • pp.78-81
    • /
    • 2003
  • 통합 이후 2년 동안 KISTI는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정보유통의 기반을 축적해 가면서 새로운 변화와 도약을 준비해 왔다. 정보유통은 변화하는 사회시스템과 함께 끊임없는 변화를 추구해야 하는 분야이다. KISTI의 역할도 정보유통을 통한 사회적인 효과와 기여를 위해 정보유통 기관이 수행해야 할 새로운 영역이 무엇인가를 고민하고, 개발하여 적용 및 확산해 나가는 노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진화되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건설현장 중심의 국토지반정보 유통시스템 개선 연구

  • Jang, Yong-Gu;Lee, Jun-U;Jeon, Heung-Su;U, Je-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76-77
    • /
    • 2011
  • 국토해양부의 국토지반정보 DB구축사업은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지반조사성과를 전산화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DB구축, 시스템 보급, 센터 운영 등을 주요수행사업으로 '00년부터 현재까지 10년 이상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07년부터 "지반조사성과전산화및활용에관한지침"이 국토해양부 훈령으로 제정 시행되면서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지반조사성과에 대한 전산화는 건설사가 직접 입력 제출하고 있다. 지침 시행과 함께 국토해양부에서는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한국건설기술연구원) 중심으로 지반정보 유통프로세스를 확립하고 지반정보 생산을 위한 지반정보 입력시스템, 검수 등록을 위한 검수등록시스템, 지반정보 유통을 위한 웹유통시스템으로 구성된 국토지반정보 유통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 보급 활용 중인 국토지반정보 유통시스템에 대하여 지반정보 생산자 및 활용자들의 지속적인 개선요구사항들을 수렴하고 있으며, '11년도 사업을 통하여 사용자 중심의 국토지반정보 유통시스템으로 개선 및 추가개발을 추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의견을 수렴하여 사용자 중심으로 개선한 국토지반정보 유통시스템의 주요 연구내용을 소개한다.

  • PDF

GIS 유통 정보에 관한 보안 방안 연구

  • Hong, Hyeon-Gi;Kim, Ji-Hong;Lee, Sang-Mu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06a
    • /
    • pp.79-90
    • /
    • 2000
  • GIS 시스템 구축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편리성을 위한 연구와 함께, 최근에는 전산망 및 인터넷의 보안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GIS 시스템에서도 보안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크게 GIS 시스템에서의 보안과 관련된 문제는 지금까지 전문가들을 위한 정보유통에서 최근 일반인들에 대한 정보유통으로 발생되는 유통정보에 대한 보안문제와 GIS 유통노드, 지리공간 데이터 서버에 대한 보안문제로 구별할 수 있다. 유통상의 정보에 대한 보안문제는 전송되는 유통정보에 대한 도청을 방지하기 위한 암호화 기술이 요구되며, 또한 전송도중 불법사용자에 의한 변조 혹은 삭제 등의 위협으로부터 유통정보에 대한 무결성을 입증하기 위한 인증기술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암호 및 인증기술과 함께, 인터넷과 전산망의 급속한 보급에 따른 GIS 유통노드, 지리공간 데이터 서버에 대한 불법적인 접속 및 무단 변조에 대한 전산망 접속제어 기술도 요구된다. 결과적으로 GIS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운용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제반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이 제시되어야 하며, 이는 각종 범죄를 방지하고 건전한 정보화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선결과제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이러한 제반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PDF

OntoFrame-K: Semantic Web-based Information Dissemination Pinworm for Collaboration Support Service between Researchers (OntoFrame-K: 연구자 간 협업지원 서비스를 위한 시멘틱 웹 기반 정보 유통 플랫폼)

  • Jung Han-Min;Lee Mi-Kyoung;Sung Won-Kyung;Park Bong-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100-102
    • /
    • 2006
  • 연구자 간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 유통 플랫폼은 통제 가능한 검증된 정보의 유통을 보장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기존의 정보 유통 관련 연구들은 어떠한 유형의 정보를 유통시킬 것인가, 또는 어떤 명세로 플랫폼을 설계 할 것인가에만 국한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정보 유통 연구들이나 P2P 시스템들에서 다루지 못한 정보 검증과 추적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연구자들을 위한 추론 서비스 제공까지도 가능한 플랫폼의 설계와 구현을 기술한다. 본 정보 유통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연구자들의 자발적 정보 교류를 지원하는 정보 유통 서비스와 단순 정보 검색이나 질의 응답으로 제공하기 힘든 지식 서비스로 구성된다. 지식 서비스는 다시 온톨로지를 이용한 지식화 과정과 시멘틱 웹 기반 추론 엔진을 이용한 추론 서비스로 나누어진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시멘틱 웹 기반 시스템들이 보여주지 못한 동적인 지식 추가와 이를 반영한 추론 과정을 연구자 간 협업 지원 서비스 시나리오에 맞추어 구현하였다. 국가 R&D기반 정보 모델링을 위해 온톨로지를 구축하였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내부 성과 정보 2,300여 건으로부터 얻어진 37,656 RDF Triple들을 이용하여 연구자 네트워크, 연구자 추적, 연구 맵 등 세 가지 추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적인 시멘틱 웹기반 정보 유통 플랫폼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데 그 중요성이 있다.

  • PDF

외국의 공간정보유통기구 사례연구

  • Kim, Eun-Hyeong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6.04a
    • /
    • pp.65-80
    • /
    • 1996
  • 미국을 비롯한 GIS 선진국에서는 GIS 데이타베이스를 사회기반시설(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로 간주하였으며 Internet을 통한 공간정보의 유통을 이미 계획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외국의 공간정보유통체계에 대한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국가 GIS 데이타베이스(Things : 실체)가 구축 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어떠한 유통과정(Process : 흐름)이 있어야 될 것인가를 살펴본다. 여기서는 제도적으로 공간정보유통이 가장 활발한 미국과 기술적인 방법으로 공간정보유통을 추진하는 카나다의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현황을 비추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