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 교수효능감

Search Result 7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velopment of the Content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Method Subjects and Verification of Teaching Efficacy Effectivenes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 Kim, Jeong-Ra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3
    • /
    • pp.217-223
    • /
    • 2022
  • In this paper, the needs and environment of the 'AI Convergence Education Method' were analyze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based on this, teaching efficacy of informatics education was verified. For the research,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who take the subject were selected, an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pre-knowledge level, and needs of the subject, curriculum for 15 weeks was develope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teaching efficacy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AI Convergence Education Method' subject for 15 weeks, the effectiveness of the information education teaching efficacy was verified. Among the facto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ormation teaching values and information teaching strateg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to secure teachers' professionalism, such as linking with schools and convergence with other subjects.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ch as educational contents and materials, reference literatu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latforms need to be prepared.

An Correlation Analysis of 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Teacher Variables (초등 교사의 변인에 따른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상관 분석)

  • Yi, Soyul;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213-21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초등 현직 교사 14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검사지(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E-TEBI) 조사 결과에 따라 교사의 성별, 지역, 경력, 연수 경험 및 시간, SW 교육에 대한 태도와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변량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SE-TE)에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이는 것은 SW 교육에 대한 태도였으며, 그 다음의 관련성을 보이는 것은 연수 경험 및 시간이었다. 성별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지역과 경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초등 교사의 SE-TE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SW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수 경험을 제공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 PDF

Promoting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with Reflective Thinking using e-portfolio (e-포트폴리오 활용한 성찰활동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교수효능감 변화)

  • Lee, Sooyeon;Hong, Seongyo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1
    • /
    • pp.968-97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ategies for application of e-portfolio for improving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35 pre-service teachers wrote reflection papers and uploaded their data to their personal e-portfolio during 10 weeks. They participated in two teaching efficacy surveys which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using e-portfolio. Twelv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regarding their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e-portfolio. As the result of compared-sample tests, teaching efficacy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students' interview, the pros and cons of e-portfolio were identified and the strategies for application of e-portfolio were suggested for improving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A directional study of revising infor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초등교사의 정보 교수효능감 측정 검사도구 개정을 위한 방향성 고찰)

  • Yi, Soyul;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219-220
    • /
    • 2017
  • 2015개정 교육과정은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며, 초등에서도 정보 교육이 실시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초등 교사의 정보 교수 역량 정도를 살펴보거나 연수 후 연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검사도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 개발된 초등교사의 정보 교수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정보 교수효능감 검사도구 개정의 네 가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PDF

Role of Information Technology Self-Efficacy in Distance Education Education Effectiveness (원격교육의 성과에 대한 정보기술 자기효능감의 역할)

  • 유일;소순후;이석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8.10a
    • /
    • pp.171-178
    • /
    • 1998
  • 최근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원격교육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무엇보다 교육의 저비용.고효율 구조를 실현할 수 있는 대안교육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매개로 하는 원격교육의 효과에 대해서는 누구도 장담할 수 없는 입장이다. 정보기술의 활용이 필수적인 원격교육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정보기술 자체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수업에 대한 거부감을 나타낸다. "시작이 곧 그 절반이다" 라는 속담처럼, 원격교?ㄱ의 기본 도구인 정보기술에 대한 첫인상은 교육의 성과에 대해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정보기수의 수용과 사용에 있어서 개인적인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개념중의 하나가 정보기술 자기효용감(IT Self-efficacy) 자신의 정보기술 사용능력에 대한 믿음 또는 자신감이다. 교수자가 정보기술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할 수 있다면 학습자의 정보기술 자기효능감을 개발시키고 고무시킬 수 있는 훨씬 나은 교수설계를 할 수 있을것이고 효과적인 수업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 효능감이론(Self-Efficiency Theory)에 근거하여 정보기술 자기효능감이라는 개념을 소개함과 동시에 정보기술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원격교육 환경하에서 그 역할을 조명해봄으로써 효과적인 교수설계를 위한 틀을 제시하고자한다.을 제시하고자한다.

Development of Team Project based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Software Teaching Efficacy of Non-professional Teachers in Informatics (비 정보과 교사의 SW 교육 교수효능감 함양을 위한 팀 프로젝트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 Yi, Soyul;Lee, Eun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387-38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비 정보과 교사들의 효과적인 SW 교육 교수효능감 함양을 위하여 팀 프로젝트 기반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육 내용은 융합교육 및 팀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학, 과학, 정보 등이 융합된 다양한 프로젝트를 실습한 뒤, 직접 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젝트의 설계 및 개발과 발표, 동료 평가 및 피드백의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10주간 비 정보과 교사들에게 처치되었고, 사전-사후 t-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실험은 단일집단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추후 통제집단과의 비교를 통하여 향상에 대한 통계적 비교가 필요로 된다.

  • PDF

A Study of Teacher Libarians' Efficacy (사서 교사의 효능감에 관한 연구)

  • Kang, Bong-Suk;Song, Gi-Ho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0 no.2
    • /
    • pp.149-16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librarians' efficacy and to propose some ways to enhance their efficacy. To do this, questionnaires on 30 teacher librarians who participated in the level 1 certification program of K university in 2018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ir average efficacy was 3.38, the efficacy of teaching method was 3.60, the collective efficacy was 3.38, and the personal efficacy was 3.18. They had high personal efficacy on classroom management, the willingness to lead poor students and the possibility of problem student guidance, and collective efficacy on conflict management with fellow teachers and parents. On the other hand, personal efficacy in problem analysis and guidance for problem students, difficult contents and course instruction were low. Also, the collective efficacy of the conflict between the manager and the education office was low. They have a strong willingness to improv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and showed high efficacy about student synchronization and preparation for teaching. However, they were aware of the lack of learning skills and the lack of various teaching methods.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ir efficacy were graduation, education level, school size, and degree. Especially,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more confident and enthusiastic about teaching problemmatic students and disadvantaged students. In addition, teacher librarians with high academic standards showed high confidence in conflict resolution with peers and parents and teaching methods. The improvement direction to enhance their efficacy in this study are increasing the ratio of teacher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reforming teacher librarians training before appointment, establishing supervision organizations for school libraries and improving their professionalism by going to graduate school.

Effect of SW teachers'training course using robots for non-informatics teachers on informatics teaching efficacy (비 정보과 교사를 위한 로봇활용 SW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정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Yi, So-Yul;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8a
    • /
    • pp.95-9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비 정보과 교사를 위한 로봇활용 SW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비 정보과 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정보 교수효능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사전에 비해 사후의 검사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비 정보과 교사를 위한 로봇활용 SW 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교사들의 정보 교수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 PDF

Effect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using Capstone Design Methods on AI Teaching Efficacy (예비교사를 위한 캡스톤 디자인 방법 활용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인공지능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Yi, Soyul;Lee, Eun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717-71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의 인공지능 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캡스톤 디자인 기법 활용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이 스크래치 프로그래밍과 머신러닝포키즈, 캡스톤 디자인의 이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활용 융합 수업을 위한 주제 선정, 수업 설계 및 개발 후, 마이크로티칭을 하고 동료 평가 및 피드백을 하도록 조직되었다. 이는 2022년 1학기 K대학의 교양 강좌를 수강하는 예비교사들에게 처치되었다. 그 결과, 실험 대상자들의 인공지능 교수효능감의 사전-사후 t-검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 Applic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Program for Promoting the Pre-Education Librarians' Self-Efficacy in Education Services (예비교육사서를 위한 PBL환경의 교수역량 강화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Jung, Jong-K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4 no.2
    • /
    • pp.221-23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ultivate the educational competency of pre-librarians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To achieve this, first, the program is developed which is based by PBL(Project Based Learning) method for LIS education. Second, the questionnaire for education librarian self-efficacy is developed to measure the education librarian self-efficacy. Third, data were collected from 42 LIS undergraduate student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emester-long program during which it was adopted. The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with SPSS. Analysis shows the progra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self-efficacy for pre-education librarians. Also, it is hoped that for this program will be applied to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education librarians and teacher librari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