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보활용능력 교육

검색결과 989건 처리시간 0.047초

델파이 조사를 이용한 정보활용능력 교육 항목 개발 연구 (Study of Contents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with Delphi Survey)

  • 이현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03-32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집단 합의 방식인 델파이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대학의 정보활용능력 교육에 필요한 내용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5분야 영역에서 총 100개의 항목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항목들은 평균점수와 중요도 순위를 제시하고 있다. 각 영역별로 순위가 높은 항목들은 교육 프로그램 설계 시 비중을 두어야 할 내용으로 파악된다. ACRL 기준과의 비교에서 특징적 차이점은 본 연구에서는 학술정보시스템과 정보기술의 기초적 이해 및 지식 응용에 관련한 항목이 다수 도출되었고 분석적 판단력을 요하는 항목은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정보활용능력 교육 설계의 방향과 논점을 제시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유아의 정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탐색 (An Analysis on the Factors of Information Literacy Ability for Young Children)

  • 권정심;강상;신지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활용을 통한 유아의 정보능력에 있어 가정에서의 컴퓨터 사용유무, 유치원에서의 컴퓨터 교육 경험 및 교육의 형태, 부모의 컴퓨터 활용교육에 대한 찬부(贊否)가 유아의 정보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전주시에 소재한 5개 유치원에 재원중인 4세 유아 1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사 평정에 의한 유아 정보능력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유아의 정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였다. 자료 분석의 결과, 가정에서의 사용유무의 차이는 유아의 정보능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으나, 유치원에서의 컴퓨터 교육 경험 및 교육의 형태, 부모의 컴퓨터 활용교육 찬부(贊否)에 따라 유아의 정보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정보활용능력 일반교양과목 운영에 관한 연구 - 서울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Subjects as a General Education: A Case of a D University in Seoul)

  • 이광휘;한만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9-138
    • /
    • 2020
  • 이 연구는 정보활용능력을 대학 일반교양과목으로 개설하고 교육하는 데 주요 역할을 한 대학도서관의 사례를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저자이기도 한 대학도서관 사서는 교수자로서 2학기 동안 2개 반의 강의를 실행하는 등 전반적인 운영에 참여하였다. 또 강좌에 대한 교육 전후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2019년 1학기 27개 학과 43명, 2학기 25개 학과 4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학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얻을 수 있었다.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참고할 수 있는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 이 연구는 정보활용능력과 미디어 활용능력을 통합한 교양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으며, 향후 정보활용교육 방안 개선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정보올림피아드 초등부 지역예선 교재 개발 연구 (The Study on Developement of Textbook for The Elementary Students' of Preliminary Korea Olympiad in Informatics)

  • 김태훈;김종훈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69-275
    • /
    • 2010
  • 현대사회에서 IT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짐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IT분야의 인재육성에 관심을 기울인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학교교육과정은 컴퓨터 교과를 배제하고 있으며 그나마 이루어지는 컴퓨터 교육도 컴퓨터의 활용 측면에만 치중되어 있다. IT인재는 컴퓨터 활용 능력만이 아니라 컴퓨터의 기본 원리와 이를 통한 문제해결능력이 함께 강조되어야 하며 이러한 교육은 학교교육과정의 근본인 초등교육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의 기본 원리와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을 위한 한국정보올림피아드 초등부 지역예선 교재를 개발하고자 한다.

  • PDF

교원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급수제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Model of Grading System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Applying Information of Teachers)

  • 김정랑;김철;박선주;마대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20-127
    • /
    • 2000
  • 정보사회를 맞이하여 교육정보화에 대한 많은 노력들이 기울여지고 있다. 특히 정보사회에서의 교원은 정보 통신 및 정보 처리 기술 등을 교수 학습활동, 학생관리, 학사 및 행정업무 등 제반 교육활동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요구가 높아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원들의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해 교육현장에서 꼭 필요한 정보기술분야를 교육내용으로 선정하여 원격연수자료를 개발하고, 교원들의 정보활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급수를 부여하였다. 교원정보활용능력 급수제는 정보사회에 교원이 갖추어야할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기준이 될 것이다.

  • PDF

SMART 교육 방법을 활용한 정보영재의 교육방안 (Education plan for informatics gifted using SMART education methods)

  • 박재형;최정원;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447-449
    • /
    • 2014
  • 스마트 기기와 무선 네트워크의 발달은 정보에 대한 접근과 활용방식의 변화, 지식을 생산하고 공유하는 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교육환경의 변화 속에서 정보영재 학생들을 효율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는 적절한교육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정보영재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여러 가지 응용소프트웨어 사용 방법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응용소프트웨어 사용 방법은 학습활동에 필요한 문제해결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지만 정보영재 학생들에게 협업 능력 등 미래사회에 필요한 학습자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MART 교육 방법을 활용한 정보영재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영재 학생들에게 미래사회에 필요한 협업, 의사소통능력, 사고력,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추후에 정보영재 학생을 위한 SMART 교수학습 모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정보활용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 김승희;홍세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9-85
    • /
    • 2016
  • 본 연구는 정보활용교육의 효과를 메타분석 방법으로 통합하여 제시하고자 45편의 연구에서 총 69개의 효과크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무선효과 모형을 적용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활용교육의 전체 효과크기 평균은 0.72(Hedges'g)로 Cohen의 해석기준에 의하면 중간 이상 크기를 보였다. 둘째, 정보활용 교육을 단독형태와 교과연계형태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두 가지 유형 모두 중간 이상 크기의 효과가 있으며 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셋째, 정보활용교육의 효과크기는 측정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변인별 효과크기는 정보활용능력, 인지적 특성, 문제해결능력, 학업성취,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정의적 특성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상학년, 연구설계 유형, 측정도구 형태가 효과크기의 차이를 설명하는 조절변수로 나타났다. 메타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정보활용교육은 교육유형, 연구특성 등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이며 중간크기 이상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교육CEO의 직무별 정보활용 역량 진단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Tool of Educational CEO's Information Competency based on Job Categories)

  • 서순식;장윤정;김현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73-182
    • /
    • 2008
  • 교원은 정보화 사회의 변화와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자신의 직무와 직급에 따라 정보활용 역량을 지속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교원이 정보활용 역량 구축을 위해,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화 연수과정을 선택하는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표준화된 정보활용능력 기준제시가 필요하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정보활용능력 평가와 기준들은 정보통신기술의 소양 수준을 측정하는데 머물고 있어 교원이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활용능력의 충족 정도를 진단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단위 학교의 관리자로서 교육 정보화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함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교육CEO의 정보활용 역량 진단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CEO가 수행하는 직무(job), 임무(duty), 과업(task)을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CEO의 직무를 (1)학교 발전의 비전제시, (2)교수 학습 지원, (3)조직과 자원의 관리, (4)대외협력의 4가지 영역으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4가지 직무영역을 기준으로 선행 연구 결과를 유목화 하여 임무, 과업을 도출하였고, 직무에 따른 임무, 과업별로 관련된 ISST 요소를 결합하여 직무-ISST 이원분류표를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CEO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활용능력 수준을 자가 진단할 수 있는 63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 PDF

컴퓨터활용능력향상을 통한 학업성취도 향상효과의 관계 연구 (Degree on The Relations of Studies Achievement Improvement Effect through Computer Utilization Skill Improvement)

  • 고은복;김종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58-163
    • /
    • 2006
  • 컴퓨터 보급률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정보의 공유나 교환이 매우 쉬운 웹의 특성을 이용하여 초등학생들도 학습문제를 해결하는데 컴퓨터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게임과 채팅 등 오락 중심의 주된 사용은 컴퓨터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있는지에 의문을 갖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컴퓨터활용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대상 학습자별로 개별적 주기적으로 시행하였다. 그 후, 컴퓨터활용능력의 향상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향상 여부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 PDF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과 사회자본의 관계: 디지털 기기 이용 효능감 매개효과 검증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Ability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al Capital: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Device use Efficacy)

  • 김준수;조우홍;장영은;변길희;최대훈;김미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327-33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실시한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 25.0 통계프로그램으로 개인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정보화기기 중 PC, 모바일 기기 활용능력,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독립변수로 하고 노인의 사회자본을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남성보다 여성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았고, 나이가 많은 사람, 월평균 소득이 높은 사람, 다른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노인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수인 PC활용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고,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과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자본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매개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pc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경로와 모바일기기 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매개효과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정보화기기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교육기관의 노력과 단순한 컨텐츠 위주의 교육에서 보다 실용적이고 즉시적인 교육 콘텐츠 전환 등 실천적 노력에 대해 제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