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보활용능력 교육

검색결과 989건 처리시간 0.031초

대학생을 위한 정보 활용능력과 글쓰기 교육의 연계.협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nection/Cooper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and Writing Instruction for Academic Students)

  • 한만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7-133
    • /
    • 2011
  • 이 연구는 정보 활용능력 교육과 글쓰기 교육의 연계 협력의 이론과 실제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정보 활용능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구성과 관련된 통찰력을 얻고자 하였다. 우선 정보 활용능력이 가진 모호성과 다양한 개념을 통해 정보 활용능력 교육 또한 일률적인 지침이나 표준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음을 밝혔다. 또 다양한 정보 활용능력 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글쓰기와의 연관성을 비중 있게 다룬 이론적 배경을 살펴 본 뒤, 실제로 글쓰기 교육을 정보 활용능력 교육과 연계하여 협력적으로 실행한 미국 유타 대학과 캐나다 윈저 대학의 사례 연구를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상황에서 정보 활용능력 교육과 글쓰기 교육의 연계 또는 협력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현직교원과 예비교사간의 정보활용능력 격차 분석 (An Analysis on Gap of the Ability to Utilize Information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 김형진;남영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43-52
    • /
    • 2012
  • 학습자의 정보활용능력은 학습자의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자기주도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중등학교에서 정보소양 및 정보활용교육은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면 없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중등학교에서 학습자의 정보활용능력 계발은 교사의 교과 수업을 통해 이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며, 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은 매우 중요한 능력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직교원과 예비교사의 정보활용능력 실태를 조사하고 이들간 정보활용능력 격차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현직교원과 예비교사의 종합 정보활용능력 지수는 각각 74.4점과 50.5점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은 현직교원의 약 68%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시 도교육청 및 교원양성기관은 예비교사의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수립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 PDF

교수.학습을 중심으로 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자기 평가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 Self-Evaluation Tool for Teachers' Ability to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ased on Teaching.Learning)

  • 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583-593
    • /
    • 2005
  • 교육인적자원부는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을 주도해 나가는데 가장 중심이 되는 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안들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신장에 관한 대부분의 노력들은 정보통신기술을 교육활동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보다는 기술 소양 능력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에 관한 국내 외의 평가 도구를 비교 분석하고 각 도구의 장점을 바탕으로 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자기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평가 도구를 통해 실제 교수-학습 활동 지도 능력과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을 총체적으로 통합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PDF

교육격차에 따른 정보활용능력 격차 완화를 위한 학교도서관 교육 서비스 사례 연구 -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의 I·II영역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School Library Educational Services to Reduce the Information Literacy Gap Due to the Education Gap)

  • 강봉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07-329
    • /
    • 2018
  • 본 연구는 경제적으로 열악한 교육환경의 학교에 학교도서관 교육 서비스를 투입해 학교별 교육격차에 따른 정보활용능력 격차를 완화시킬 수 있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환경이 극도로 열악한 상황에 있는 B 고등학교의 1학년을 대상으로 10차시 도서관활용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한 사례를 정리하였다. 215명 학생을 대상으로 정보활용교육을 실시하고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정보활용능력을 비교해 정보활용교육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 B 학교와 사전검사를 함께 진행하였으나 B 학교의 결과가 현저히 낮게 조사되어 사전 동질성 검정에 실패했던 다른 학교의 정보활용능력 사전검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별 고교 학비 지원 학생 비율과 정보활용능력이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점을 구명한 선행연구를 본 연구 결과와 비교했다. B 학교의 정보활용교육 사후검사 결과가 B 학교보다 양호한 교육 여건을 가진 13개 학교를 포함한 15개 학교의 정보활용능력 사전검사 평균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값을 가졌다. 이에 학교도서관의 핵심 서비스인 정보활용교육으로 교육격차에 따른 정보활용능력 격차를 완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검증했다. 본 연구가 열악한 교육환경에 있는 학교의 학교도서관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활성화시켜 학교도서관이 공공재로의 기능을 극대화해 갈 수 있는 계기가 되고, 교육과정 속에 정보활용교육이 체계적으로 정착해갈 수 있도록 하는 근거가 되기를 기대한다.

웹 신문학습을 통한 정보통신기술 소양 능력 신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Literacy Capacity through Web News-data in Education)

  • 방주혜;이용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77-82
    • /
    • 2006
  • 학습자들은 소양교육으로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활용 능력을 습득하고 이를 토대로 각 교과에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두 가지의 교육이 서로 연계하여 이루어질 때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은 가장 효과적으로 신장된다. 이러한 소양교육과 활용교육 연계선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 바로 웹 신문학습이다. 그러나 웹 신문학습이 정보통신기술 소양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검증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교육효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갖고 있었다. 이에 컴퓨터 교육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인 웹 신문학습을 수행한 후 정보통신기술 소양 능력을 측정하여 객관적인 수치로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 PDF

정보활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Variables Affecting the Information Literacy)

  • 박남진;최은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15-232
    • /
    • 2006
  • 본 연구는 수강생의 정보활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정보활용교육의 교육효과를 분석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의 정보활용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정보활용교육 수강 전후의 컴퓨터조작기술, 도서관관련지식. 도서관이용빈도 및 정보활용능력의 평균값 차이를 비교하였다. 정보활용교육 수강생의 사전교육경험과 컴퓨터조작기술, 도서관이용지식 및 자료이용빈도가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및 수강생의 수업만족도와 수강 후 견해와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初等學校) 교사(敎師)의 정보활용능력(情報活用能力)에 따른 직무(職務) 스트레스 대처방안 비교분석(比較分析) (Job Stress disposal plan comparative analysis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uter practical use capability)

  • 천현관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66-172
    • /
    • 2008
  • 초등학교 교사들은 정보 활용 능력을 기르는데 노력하였다. 그러나 교육현장은 이보다 더 많은 능력을 요구하고 있으며 초등학교 교사들마다 정보 활용 능력이 다르고, 교사들의 스트레스 정도가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정보 활용 능력의 정도와 스트레스 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극복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 PDF

대학도서관 이용자 교육이 이용자 정보활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to the Information Competency by Library User Instruction in Universities)

  • 차종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1년도 제8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5-248
    • /
    • 2001
  • 도서관이 제공하고 있는 이용자 교육이 변화된 도서관 환경을 반영한 정보 기술 및 정보 활용 능력의 제고와 평생교육을 지향하는 정보소양 능력의 습득을 위한 과정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도서관 이용자 교육이 이용자들의 정보 활용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측정하여 그 효과성과 관련성을 확인해봄으로써, 대학도서관에서의 이용자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미국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능력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of School Library in the USA)

  • 김종성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29-252
    • /
    • 2003
  • 정보활용능력 교육은 학교도서관 운영에서 가장 핵심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효과적인 정보활용능력 교육을 통해 교수 학습 과정에 통합될 수 있으며 나아가 학교도서관의 존립 근거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원리에 근거하여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선진 학교도서관 운영에 적용되는 정보활용능력 교육 체제와 내용에 대하여 경험적 관찰과 자료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분석한다. 미국 학교도서관의 현장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원리와 내용이 어떤 기준과 교과과정에 근거하는지 탐구하기 위해 국가적 기준과 여러 주의 교과과정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 조사하고 분석한 각 주별 교과과정의 내용과 체제는 우리 학교도서관 교과과정을 개발하고 운용하는 일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교사의 직무수행을 위한 ICT활용능력 자기평가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Self-evaluation Tool for the Abilities of ICT Application of Teacher to perform teacher's functions)

  • 강아영;박지은;박선주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97-203
    • /
    • 2006
  • 현대사회가 고도의 정보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인터넷을 통해 빠르고, 쉽게 커뮤니케이션을 하거나 정보를 검색, 교환하게 되었다. 이런 시대에 발맞추어 교육내용, 교육방법 등의 변화가 요구되면서 효율적인 수업이나 학급경영의 일환으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는 부분이 늘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지금 실행되고 있는 교사의 ICT활용 능력 평가도구는 활용 능력보다는 기술 소양능력을 평가하여 인센티브를 부여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어 교사들의 ICT활용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교사의 교육활동과 직무활동 전반에 ICT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제시해주고 부담을 주지 않으며 언제든지 자신의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ICT활용능력 자기평가 도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