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보확산의도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5초

이러닝 특성이 채택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e-Learning Characteristic on the Adoption Intention)

  • 권순동;윤숙자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6-142
    • /
    • 2007
  • 인터넷은 학교 교육은 물론 기업의 교육을 변화시키고 있다. 인터넷을 학습에 활용하는 이러닝(electronic learning)은 1990년대 말에 도입되어 7년 이상 경과되었다. 이러닝은 오프라인교육(집체교육)에 비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비용이 저렴하며 반복학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이러닝은 지역간, 계층간 교육 불평등을 해소하면서 사회 구성원의 학습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러닝은 평생교육의 일환으로 학교 교육은 물론 기업 교육과 사회 교육을 변화시키면서 점차 확산되고 있다. 지금까지 이러닝에 대해 연구된 논문들은 주로 이러닝을 사용하게 하는 주요 요인에 대해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러닝은 초기에 기대했던 만큼 크게 확산되지는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확산되지 않은 요인을 확인하고 이러닝 보급을 확산시킬 방안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이러닝에 대한 연구의 초점이 이러닝을 왜 채택하지 않고 있는가에 맞춰져야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을 왜 사용하지 않는가라는 기존의 입장과는 정반대의 관점에서 이러닝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주요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1: 이러닝 단점은 채택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2-1: 이러닝장점은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2-2: 이러닝장점은 용이성을 통해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2-3: 이러닝장점은 유용성을 통해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3-1: 재미는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3-2: 재미는 유용성을 통해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3-3: 재미는 용이성을 통해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4: 유용성은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5: 용이성은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6: 용이성은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자발적으로 이러닝을 채택할 수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PLS 분석도구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설6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 PDF

스마트폰 혁신기술이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ffecting the Resistance of Innovation Technology based Smartphone Environment)

  • 남수태;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7-13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과 혁신확산이론을 기반으로 스마트폰 혁신기술 저항에 관한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외부변수는 기술수용모델의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사용 용이성 그리고 혁신확산이론의 적합성과 복잡성을 4개 변수를 두고자 한다. 예측변수는 혁신저항 변수를 두고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하여 개념모델을 완성하였다. 또한 혁신저항 변수가 인지된 위험 요인을 매개하여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경남지역 및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자 한다. 인구통계학인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19로 하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경로분석은 Smart PLS를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디지털융합제품의 수용-확산 및 사용-확산에 관한 연구 : 카메라폰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adoption-diffusion and use-diffusion of the digital convergence product : Focusing on the camera phone)

  • 유상진;손정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01-11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융합 기술의 대표적인 제품이라 할 수 있는 카메라폰을 대상으로 전통적인 확산모델인 TAM을 비롯한 수용-확산모델과 최근 Shih and Venkatesh(2004)에 의해 제시된 사용-확산 모델의 비교를 통해 디지털융합제품의 확산과정을 규명하였다. 수용-확산 모델을 적용한 분석결과에서는 관찰가능성, 인지된 유용성, 혁신성, 상대적 이점 등이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사용-확산 모델을 적용한 분석결과에서는 기술정교성과 만족, 혁신성과 상대적 이점 등이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신제품 확산과정에 대한 소비자 관점에서의 이론적 모형에 있어서 주류를 이루고 있는 TAM을 비롯한 수용-확산 모델이 카메라폰과 같은 디지털 융합기술의 확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기존 제품의 사용을 통해 형성된 기술적 정교성과 만족을 중심으로 하는 사용-확산모델이 디지털 융합 제품 확산에 보다 설득력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온라인 구전 신뢰성의 선행요인과 2차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구전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Antecedents of eWOM Credibility and Its Impact on Secondary eWOM Intention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eWOM Involvement-)

  • 장해;박주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1호
    • /
    • pp.81-101
    • /
    • 2015
  • 본 논문은 온라인 구전의 성격을 설득 커뮤니케이션이 아닌 확산 커뮤니케이션 측면에 초점을 두고 온라인 구전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온라인 구전 확산과정은 크게 1차 구전(최초 구전전달)과 2차 구전(기존 구전정보의 재전달)으로 나눌 수 있으며 본 연구는 2차 구전의도에 미치는 온라인 구전의 정보적 특성의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인터넷 환경에 익숙한 20대, 30대 젊은 층을 주로 하였으며,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 실제로 게시된 온라인 구전정보를 읽게 한 후 본 연구의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구전의 동의성, 생생함, 중립성 모두 온라인 구전 신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구전 신뢰성은 2차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온라인 구전에 대한 관여도는 온라인 구전 신뢰성과 2차 구전의도간의 관계에서 조절변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시사점 및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였다.

  • PDF

유비쿼터스 서비스 만족도의 선행요인 및 결과요인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e Satisfaction of Ubiquitous Service)

  • 유재현;박철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03-418
    • /
    • 2007
  • 최근 새로운 정보기술 패러다임인 유비쿼터스가 등장함에 따라 그에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들이 도입되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제품이나 서비스가 아무리 혁신적이고 훌륭하다 하더라도 고객이 실용적이지 못하다고 인지하거나 만족하지 못하면 그 제품이나 서비스는 시장에서 더 이상 확산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과 결과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기업이 향후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용자를 확대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유비쿼터스 서비스 만족도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모델을 제시하고 실증하였다. 그 결과 편재성, 상황기반 제공성, 친화성과 같은 유비쿼터스 특성요인은 유비쿼터스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을 높이고, 이 지각된 유용성은 유비쿼터스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을 높이고 만족도는 재이용의도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마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유비쿼터스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적 시사점을 토의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마지막에 제시하였다.

  • PDF

SNS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Use for SNS)

  • 왕환;김승권;윤종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1권2호
    • /
    • pp.409-413
    • /
    • 2013
  • 21세기의 인터넷은 통신기술의 진보에 따라 정보의 전달과 상업적인 거래의 플랫폼부터 점점 사람들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일상적인 공간이며, 공동체를 형성하고 자기정체성을 표현하는 사회활동 공간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사이버 공간에서 개인화, 상호작용, 참여, 사회성 등의 특징으로 대별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SNS가 갖추어야 하는 특성(시스템특성, 서비스특성, 정보특성, 감성특성)을 도출하고 이러한 특성과 서비스 채택의도간의 관련성이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SNS 특성과 서비스 채택의도간의 관련성이 개인의 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의뢰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SNS 특성이 서비스 채택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SNS 특성과 서비스 채택의도간의 관련성이 개인적 성향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보이스 피싱 행동 패턴 분석을 통한 상황 인지 및 사용자 의도 파악 시스템 (Situational Awareness and User Intention system with Behavior patterns Analysis of Voice Phishing)

  • 조단비;강승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55-857
    • /
    • 2019
  • 개인 정보의 확산 및 유출의 문제점으로 인해 보이스 피싱의 피해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보이스 피싱의 사회적 문제에 대하여 상황 인지 및 사용자 의도 파악 시스템을 적용하여 해결책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이 시스템은 음성 전화로 이루어지는 순차 정보를 텍스트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기범의 문맥적 흐름에서 행위 동사를 추출한다. 추출된 행위 동사의 순차 정보를 통해 보이스 피싱의 상황임을 인지하고, 흐름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사기범의 의도를 파악한다. 이러한 상황 인지 및 사용자 의도 파악 시스템은 개인 정보의 문제뿐만 아니라 경제적 피해 규모를 축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인터넷쇼핑동기가 정보탐색의도, 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북경소비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Internet Shopping Motivation on Information Searching Intenti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Consumers in Beijing)

  • 조나
    • 국제지역연구
    • /
    • 제16권1호
    • /
    • pp.221-239
    • /
    • 2012
  • 최근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하여 인터넷 쇼핑은 새로운 문화형식으로 우리 생활 속에 필수적 요소로 자리를 잡고 있다. 중국 인터넷 시장은 전체적인 규모나 성장에서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매우 매력적인 시장이기 때문에 많은 세계 기업들이 활발하게 진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으로 쇼핑의 경험이 있는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인터넷 쇼핑환경에서 소비자의 쇼핑동기가 어떤 요인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쇼핑동기의 각 구성요소들이 정보탐색의도, 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와 그 시사점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소비자의 인터넷 쇼핑동기는 "편의성추구", "저가격추구", "다양성추구" 및 "쾌락성추구" 4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인터넷 쇼핑동기의 각 구성차원은 정보탐색의도간의 관계에서 "편의성추구", "다양성추구"와 "쾌락성추구"는 각각 정보탐색의도에 직접적이고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가격추구"는 정보탐색의도에 직접적이고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탐색의도에 관한 기존 연구문헌을 고찰하고, 정보탐색의도는 만족도에 직접적이고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뿐만 아니라 구매의도에도 직접적이고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만족도는 구매의도에 직접적이고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홈 서비스 잠재수용자의 수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Potential Users Adoption of Digital Home Services)

  • 오재인;원종진;이종승
    • 한국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
    • pp.193-203
    • /
    • 2005
  • 우리나라는 정부의 정보화 촉진정책에 힘입어 전국에 초고속정보통신 기간망이 구축되었고, 산업 및 공공영역에서의 정보인프라를 통한 정보화 확산은 가정으로 확산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대표하는 정보화 서비스 중의 하나가 디지털 홈 서비스이다. 그러나 디지털 홈 서비스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기술적인 연구에 치중하고 있는 반면, 소비자의 향후 디지털 홈 서비스 수응 등 전략적 관점에서의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홈 서비스 수용의도에 대한 선행요인들을 고찰하고 디지털 홈 서비스의 잠재 사용자 수용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 수용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디지털 홈 서비스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측면, 예컨대 효과적인 상품개발과 마케팅을 위한 적절한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NS정보속성이 유용성지각과 확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켓메이븐경향(Market Mavenism)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SNS Information Attributes on Usability and Diffusion Intention -Moderating Effect of Market Mavenism.)

  • 김상조;정선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1호
    • /
    • pp.95-11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SNS에 적합한 정보속성을 탐색하고, SNS에서 정보의 생성과 확산에 기여하는 개인이나 집단과 그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SNS환경에 적합한 정보속성으로 정확성, 양면성, 참신성, 다양성과 경험성의 다섯 요인을 추출하고, 제 변수와 정보의 유용성 및 정보 확산 의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SNS에서 정보를 수용하고 편집하며 정보확산을 주도하는 개인 또는 소비자인 마켓메이븐의 역할과 함께 변수 간 관계에 대한 마켓메이븐경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549개의 온라인설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SNS정보속성 중에서 정확성, 양면성, 경험성 요인이 사용자의 정보유용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참신성과 다양성 요인은 통계적 인과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전체집단과 달리 마켓메이븐경향이 높은 집단에서는 정확성과 경험적 요인이 정보의 유용성지각에 약하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전체 SNS 사용자집단에서 기각되었던 참신성과 다양성 요인은 유용성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