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확산의도

Search Result 14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Effect of e-Learning Characteristic on the Adoption Intention (이러닝 특성이 채택의도에 미치는 영향)

  • Kwon, Sun-Dong;Yun, Suk-Ja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6-142
    • /
    • 2007
  • 인터넷은 학교 교육은 물론 기업의 교육을 변화시키고 있다. 인터넷을 학습에 활용하는 이러닝(electronic learning)은 1990년대 말에 도입되어 7년 이상 경과되었다. 이러닝은 오프라인교육(집체교육)에 비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비용이 저렴하며 반복학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이러닝은 지역간, 계층간 교육 불평등을 해소하면서 사회 구성원의 학습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러닝은 평생교육의 일환으로 학교 교육은 물론 기업 교육과 사회 교육을 변화시키면서 점차 확산되고 있다. 지금까지 이러닝에 대해 연구된 논문들은 주로 이러닝을 사용하게 하는 주요 요인에 대해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러닝은 초기에 기대했던 만큼 크게 확산되지는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확산되지 않은 요인을 확인하고 이러닝 보급을 확산시킬 방안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이러닝에 대한 연구의 초점이 이러닝을 왜 채택하지 않고 있는가에 맞춰져야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을 왜 사용하지 않는가라는 기존의 입장과는 정반대의 관점에서 이러닝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주요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1: 이러닝 단점은 채택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2-1: 이러닝장점은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2-2: 이러닝장점은 용이성을 통해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2-3: 이러닝장점은 유용성을 통해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3-1: 재미는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3-2: 재미는 유용성을 통해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3-3: 재미는 용이성을 통해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4: 유용성은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5: 용이성은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6: 용이성은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자발적으로 이러닝을 채택할 수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PLS 분석도구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설6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 PDF

Factors Affecting the Resistance of Innovation Technology based Smartphone Environment (스마트폰 혁신기술이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

  • Nam, Soo-Tai;Jin, Cha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137-13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과 혁신확산이론을 기반으로 스마트폰 혁신기술 저항에 관한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외부변수는 기술수용모델의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사용 용이성 그리고 혁신확산이론의 적합성과 복잡성을 4개 변수를 두고자 한다. 예측변수는 혁신저항 변수를 두고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하여 개념모델을 완성하였다. 또한 혁신저항 변수가 인지된 위험 요인을 매개하여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경남지역 및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자 한다. 인구통계학인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19로 하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경로분석은 Smart PLS를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adoption-diffusion and use-diffusion of the digital convergence product : Focusing on the camera phone (디지털융합제품의 수용-확산 및 사용-확산에 관한 연구 : 카메라폰을 대상으로)

  • Yoo, Sang-Jin;Shon, Jung-Im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4 no.4
    • /
    • pp.101-115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the diffusion process of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focused on camera phon to compare the traditional adoption-diffusion model with use-diffusion model proposed by Shih and Venkatesh(2004). The results suggested that observability, perceived usefulness, innovativeness, relative advantage have effects on the intention of repurchase in the adoption-diffusion model. On the other hand, the intention of repurchase has been affected by technological sophistication, satisfaction, innovativeness, relative advantage in the use-diffusion model.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traditional adoption-diffusion model could be applied to the cases of the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In addi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use-diffusion model is superior to the traditional model in analyzing the diffusion of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The Antecedents of eWOM Credibility and Its Impact on Secondary eWOM Intention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eWOM Involvement- (온라인 구전 신뢰성의 선행요인과 2차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구전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Zhang, Hai;Park, Ju-Sik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4 no.1
    • /
    • pp.81-101
    • /
    • 2015
  • This study considered eWOM communication not as persuasion process but as diffusion process and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eWOM spread. eWOM diffusion process can be divided into initial transmitting process and retransmission process.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informational traits(level of agreement, vividness, neutrality) of eWOM on the intention to retranmit eWOM and moderating effect of eWOM involvement. Research sample was gathered from young people because they are familiar with online communication process. Statistical analysis showed informational traits of eWOM all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the credibility of eWOM, credibility of eWOM influenced on the intention to retransmit eWOM significantly, and eWOM involvement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information traits of eWOM and the intention to retransmit eWOM. And then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 was discussed based on these findings.

  • PDF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e Satisfaction of Ubiquitous Service (유비쿼터스 서비스 만족도의 선행요인 및 결과요인)

  • You, Jae-Hyun;Park, 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7.05a
    • /
    • pp.403-418
    • /
    • 2007
  • 최근 새로운 정보기술 패러다임인 유비쿼터스가 등장함에 따라 그에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들이 도입되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제품이나 서비스가 아무리 혁신적이고 훌륭하다 하더라도 고객이 실용적이지 못하다고 인지하거나 만족하지 못하면 그 제품이나 서비스는 시장에서 더 이상 확산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과 결과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기업이 향후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용자를 확대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유비쿼터스 서비스 만족도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모델을 제시하고 실증하였다. 그 결과 편재성, 상황기반 제공성, 친화성과 같은 유비쿼터스 특성요인은 유비쿼터스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을 높이고, 이 지각된 유용성은 유비쿼터스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을 높이고 만족도는 재이용의도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마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유비쿼터스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적 시사점을 토의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마지막에 제시하였다.

  • PDF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Use for SNS (SNS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Wang, Huan;Kim, Seunggweon;Yoon, J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409-413
    • /
    • 2013
  • 21세기의 인터넷은 통신기술의 진보에 따라 정보의 전달과 상업적인 거래의 플랫폼부터 점점 사람들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일상적인 공간이며, 공동체를 형성하고 자기정체성을 표현하는 사회활동 공간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사이버 공간에서 개인화, 상호작용, 참여, 사회성 등의 특징으로 대별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SNS가 갖추어야 하는 특성(시스템특성, 서비스특성, 정보특성, 감성특성)을 도출하고 이러한 특성과 서비스 채택의도간의 관련성이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SNS 특성과 서비스 채택의도간의 관련성이 개인의 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의뢰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SNS 특성이 서비스 채택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SNS 특성과 서비스 채택의도간의 관련성이 개인적 성향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Situational Awareness and User Intention system with Behavior patterns Analysis of Voice Phishing (보이스 피싱 행동 패턴 분석을 통한 상황 인지 및 사용자 의도 파악 시스템)

  • Cho, Dan-Bi;Kang, Seu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855-857
    • /
    • 2019
  • 개인 정보의 확산 및 유출의 문제점으로 인해 보이스 피싱의 피해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보이스 피싱의 사회적 문제에 대하여 상황 인지 및 사용자 의도 파악 시스템을 적용하여 해결책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이 시스템은 음성 전화로 이루어지는 순차 정보를 텍스트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기범의 문맥적 흐름에서 행위 동사를 추출한다. 추출된 행위 동사의 순차 정보를 통해 보이스 피싱의 상황임을 인지하고, 흐름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사기범의 의도를 파악한다. 이러한 상황 인지 및 사용자 의도 파악 시스템은 개인 정보의 문제뿐만 아니라 경제적 피해 규모를 축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The Effects of Internet Shopping Motivation on Information Searching Intenti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Consumers in Beijing (인터넷쇼핑동기가 정보탐색의도, 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북경소비자를 중심으로)

  • Zhao, Na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6 no.1
    • /
    • pp.221-23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internet shopping motivations on information searching intenti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To achieve this goal,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in parall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es of internet shopping of Chinese consumers were found to be in four dimensions, "seeking convenience," "seeking low-cost," "seeking variety" and "seeking pleasures", in order of large proportions, respectively. Second, Among these four internet shopping motivations "seeking convenience,""seeking variety" and "seeking pleasures" were found to have direct,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information searching intention. But "seeking low-cost" has no positive effects on information searching intention. Third, information searching intention was found to have direc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Fourth, Customer satisfaction has an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An Empirical Study on the Potential Users Adoption of Digital Home Services (디지털 홈 서비스 잠재수용자의 수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 O, Jae-In;Won, Jong-Jin;Lee, Jong-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5.05a
    • /
    • pp.193-203
    • /
    • 2005
  • 우리나라는 정부의 정보화 촉진정책에 힘입어 전국에 초고속정보통신 기간망이 구축되었고, 산업 및 공공영역에서의 정보인프라를 통한 정보화 확산은 가정으로 확산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대표하는 정보화 서비스 중의 하나가 디지털 홈 서비스이다. 그러나 디지털 홈 서비스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기술적인 연구에 치중하고 있는 반면, 소비자의 향후 디지털 홈 서비스 수응 등 전략적 관점에서의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홈 서비스 수용의도에 대한 선행요인들을 고찰하고 디지털 홈 서비스의 잠재 사용자 수용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 수용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디지털 홈 서비스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측면, 예컨대 효과적인 상품개발과 마케팅을 위한 적절한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Effect of SNS Information Attributes on Usability and Diffusion Intention -Moderating Effect of Market Mavenism. (SNS정보속성이 유용성지각과 확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켓메이븐경향(Market Mavenism)의 조절효과-)

  • Kim, Sang-Jo;Jung, Seon-Mi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6 no.1
    • /
    • pp.95-11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information attributes suitable for SNS an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individuals or groups who contribute to the creation and diffusion of information in the SNS. The researchers extracted the accuracy, two-sided information, novelty, diversity, and experienti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acceptance and diffusion of information in the SNS, and identifi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usefulness of information and the degree of information diffusion intention. And researchers studied market maven who play the key role in creating and diffusing SNS information. A total of 6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549 questionnaires were us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onsumers considered information, which had accuracy, two-sided, and experiential attributes, as useful. But novelty or diversity information were regarded as unuseful because of motive to avoid ambiguity. In the Market Maven Group who have the ability to acquire and edit SNS information, however, there were weak or negative causality between experience and accuracy and information usability factors. but positive causality between novelty and diversity factors of information and usab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