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시스템 성공

Search Result 1,808,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developer and user on information system (개발자와 사용자의 정보시스템에 대한 인지차이 연구)

  • Yeo, Hyu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347-348
    • /
    • 2014
  • 정보시스템 성공 모형은 1992년 DeLone and McLean의 D&M 모형이 2003년 개선모형에 이르기 까지 이커머스, 교육시스템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사용되어왔으며, 메타분석이 이루어 질 정도로 그 적용 연구의 수 또한 많지만, 이는 최종사용자(End-user)기준으로 이루어졌으며 사용자가 어떠한 요인들을 정보시스템의 성공 선행요인으로 인지하는지에 대한 결론을 줄 수 있으나 개발자(Developer)가 이를 적용하기에는 자신들의 인지하는 품질과 양적인 비교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떤 부분을 얼마나 노력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A은행의 정보시스템 개발자와 사용자를 대상으로 D&M 정보시스템 성공 모형을 적용하고, 다중집단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여 그 차이를 설명하고자 한다.

  • PDF

An Empirical Assessment of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Planning (전략적 정보시스템 계획의 주요성공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 Suh, Chang-Kyo;Lee, Jong-Eun;Park, Jong-Chae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4 no.2
    • /
    • pp.273-291
    • /
    • 2002
  • For many organization, a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planning (SISP) continues to be a critical issue. This paper is an empirical study of what is being done in Korea with respect to SISP. A survey questionnaire was mailed to the major 1000 Korean companies. In this research, the experiences of 51 companies contribute the SISP practices including the success factor of SISP. Forty-three percent of th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ir companies undertook some form of SISP. We also compared finding with the state of SISP practices in Singapore.

Assessing e-Book Success Model based on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정보 시스템 성공 모형을 적용한 e-Book 성공 모형의 평가)

  • Oh, Chang-G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9 no.4
    • /
    • pp.61-82
    • /
    • 2012
  • With the proliferation of the e-Book industry, people are increasingly interacting with e-Book as information systems. While e-Book contains the components regarded as an information system(IS),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ssess the success of e-Book from IS perspective. This study proposed and empirically evaluated an e-Book success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s were applied to the data collected by questionnaire from 241 users of e-Book. Every relationship among constructs was significantly supported by the data. This finding provided theoretical implications to extend existing e-Book research into the broader IS research area. Furthermore, this study illustrated the use of multi-group structural analysis to test the differences in structural weights between high e-Book and high paper book utility groups. The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in setting different relationships and allocating appropriate paths to vitalize the e-Book market were discussed.

An Exploratory Study on IMS Performance Modeling Using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정보시스템 성공 모델 모형을 이용한 IMS 성과측정 모형의 탐색적 연구)

  • Kim, Kyung-Ih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3
    • /
    • pp.127-140
    • /
    • 2014
  • This study is performed to measure a performance of IMS using Delone & McLean's Information Success Model as a practical analysis for IMS implementation and their effects. For this, I reviewed the pre-research literatures to attain the measurement factors for IMS implementation and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For inspecting the hypotheses, answered the questionaries to the IMS manag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to improve the user's will, they have to focus on the service quality. The second, to improve the user's satisfaction, focus on the system quality. Finally, which affect on the performance is user's will rather than satisfaction.

Korean Dialogue System for Car Information Service (차량 정보 서비스용 한국어 대화 시스템)

  • Choi, Sung-Kwon;Kwon, Oh-Woog;Huang, Jin-Xia;Roh, Yoon-Hyung;Lee, Ki-Young;Kim, You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281-284
    • /
    • 201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는 2010 년부터 2015 년까지 5 년간에 걸쳐 모바일 플랫폼 기반 대화모델이 적용된 자연어 음성인터페이스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2010 년에는 대화 시스템의 전반적인 모습을 설계하였고, 2011 년에는 대상 도메인으로 도시 관광용 영어 대화 시스템을, 2012 년에는 대상 도메인으로 차량공조, 응급조치 등과 같은 차량 정보 서비스용 한국어 대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2012 년에 개발한 차량 정보 서비스용 한국어 대화 시스템을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차량 정보 서비스용 한국어 대화 시스템의 성능 평가는 운전 경험이 있는 평가자 20 명에 의해 이루어졌다. 평가자는 웹 평가 도구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주어진 40 개의 차량 정보 관련 대화 미션을 태스크로 하여 차량 정보 서비스용 대화 시스템과 대화를 하였다. 평가는 태스크 성공률과 대화턴 성공률로 나누어 측정되었으며 태스크 성공률은 87.8%, 대화턴 성공률은 86.7%였다.

지식관리시스템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구교봉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0.11a
    • /
    • pp.3201-3210
    • /
    • 2000
  • 무형재화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아울러 무형자산이 기업의 핵심역량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지식을 개인 및 조직 상호간 공유 또는 전이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요건을 충족시켜주는 지식관리시스템이고, 시스템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 사례를 토대로 분석하여 지식을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구축하였다.

  • PDF

An Integrated Model on the Determinants of Successful Post-M&A Information Systems Integration: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wo Financial Firms in Korea (인수.합병 이후 성공적인 정보시스템 통합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적 모델 연구: 국내 금융기관 비교사례분석 중심으로)

  • Lee, Chang-Jin;Lee, Jung-Hoon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1 no.2
    • /
    • pp.45-66
    • /
    • 2009
  • A number of companies are considering for merger and acquisition (M&A) as one of business strategies for their growth and survival. However, many of them do not create the synergy they had sought, and failed M&A, often result in negative outcomes in terms of productivity, market share, profitability and turnover of qualified employees. There have been numerous research studie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uccess and failure of M&A, and it has been found that with the increasing dependence of many companies on information systems, post-M&A IS (information systems) integration success has a critical effect on the success of M&A. However,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on post-M&A IS integration success, and most have been restricted to integration of IS organizations or physical information systems. In order to conduct a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uccess of post-M&A IS integration, this study surveyed preceding researches on not only information systems but also strategic management, economics, finance, HRM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 management. Based on the findings,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model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post-M&A IS integration has been proposed. The proposed model categorizes the factors into perspectives of M&A, strategy, organization, HRM and IS, and provides an empirical evaluation of each factor on the success of IS integration based on comparative case studies.

A Study on the Success Model for the Establishment of Big Data System in Public Institutions (공공기관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성공모형에 관한 연구)

  • Lee, Gwang-Su;Kwon, Jung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1
    • /
    • pp.129-139
    • /
    • 2022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ich factors affect successful big data system construction,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identify the success model and success factors necessary for public institutions to build big data systems. Therefore, the preceding and related studies related to this study were reviewed, and success factors for the establishment of a big data system were derived based on this. As a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users of institutions that have established or planned to build a big data system, and a structural equation (AMO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success fac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rganizational support factors, development support factors, user support factors,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system quality, use, and net benefit were derived as success factors for building big data systems, and a success model was presented. This can be seen as significant and academic contributions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of the success model for building an information system reflecting big data characteristics,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building a big data system in public institutions in the future.

Studie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Success Factors of ERP Adoption (ERP 주요성공요소간의 상호영향관계와 ERP 성과에 미치는 영향)

  • Chang, Hwal-Sik;Ok, Seok-Jae;Park, Kwang-Oh
    •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v.17 no.1
    • /
    • pp.113-130
    • /
    • 2008
  • 현대의 기업조직들은 역동적 경영환경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많은 기업들이 정보기술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1990년대 중반에 등장한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관리)는 이러한 정보기술의 대표적인 것으로 통합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기업의 연계된 업무기능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ERP시스템은 효용 및 효과 대비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 우리나라의 많은 기업들이 ERP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ERP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ERP 도입 성공요소에 관한 내용이 주류를 이룬다. 그러나 이러한 주요성공요소들은 주로 시스템 개발과정의 특성만을 포함하곤 주요성공요소를 몇 개의 범주로 묶어 제시하는데 그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들 주요성공요소 간에 존재하는 상호영향관계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ERP CSF(Critical Success Factor : 주요성공요소)간에 존재하는 상호영향관계, 그리고 그러한 영향관계가 전체 ERP 성과에 어떤 효과를 가져다 주는가에 대한 총체적인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ERP 주요성공요소 간에 존재하는 복잡한 상호영향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여 이들 간에 상호영향관계 및 선행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다만, 일반적으로 BPR로 인하여 조직이 많이 변화하면 변화에 대한 사용자의 적응은 떨어질 것으로 생각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관계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조직이 얼마나 많이 변화하였는가보다는 변화관리가 사용자가 적응하는데 더 많이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나고 있다. 결국 BPR의 정도 또한 변화관리를 통해서는 사용자의 적응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Success Factor of m-commerce; A case of DoCoMo′s i-Mode Service (기술언어가 m-commerce의 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소고 - i-mode 서비스를 중심으로 -)

  • 김광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305-314
    • /
    • 2001
  • 본 논문해서는 m-커머스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히고 있는 NTT DoCOMo의 i-mode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어 성공요인과 그러한 성공을 이끌어 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한 웹 페이지 기술언어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에 근거하면, i-mode 서비스의 대대적인 성공은 끊임없이 Positive Feedback의 계기를 만들어 냄으로써 가능하게 되었는데, 그것은 다름 아닌 C-HTML이라는 웹페이지 기술언어의 채용이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