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서비스만족도

Search Result 1,08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Satisfactions of Tourism Information DB Services in HiTEL (HiTEL의 관광정보 DB서비스 정보만족도에 관한 연구)

  • 박희석
    •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atabase
    • /
    • v.1 no.2
    • /
    • pp.71-102
    • /
    • 1994
  • 현대는 고도 정보화사회(information society)로서 DB의 가치는 점점 증가하고 전반적인 DB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많이 발전하여 우수한 정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관광정보 DB서비스의 가치는 아직까지 거의 인식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보단계에 있는 관광정보 DB서비스의 만족도를 측정함으로써 국내 관광정보 DB서비스의 수준을 파악하고 관광정보제공자에게 개선해야 될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관광정보 DB서비스의 개념을 정립하고 관광정보 DB서비스의 현황을 고찰하고자 Bailey와 Pearson의 연구에서 제시한 39가지 요인 중에서 관광정보 DB서비스와 관련된 요인을 추출하고 의미를 재정의하여 HiTEL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첫째, 정보서비스의 메뉴별 선호도 둘째, 관광정보 DB서비스의 만족도 셋째, 관광정보 DB서비스의 각 메뉴별 선호도와 만족도 넷째, 이용자 특성별로 각 메뉴의 선호도를 비교분석 다섯째, 관광정보 DB서비스의 만족요인을 분석하였다. 관광정보 DB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평균치(4.0)보다 저조한 3.85로서 저조하게 나타나고 있다. 즉, 관광정보의 이해도(4.55)는 평균보다 다소 좋은 반면, 다른 관광정보의 만족도는 평균치 보다 저조하다. 특히 관광정보의 연결사정(3.68)과 관광정보의 제공속도(3.44)가 아주 낮게 나타났다. 한편 HiTEL이 제공하는 관광정보 DB서비스의 각 메뉴 중에서 가장 자주 이용되는 메뉴는 알림나라(40.2%)이며, 아시아나항공(22.5%), 농협일렉트로뱅크(13.7%), 대한항공(9.8%), 위너스 OK서비스(6.9%), MEET/매경SCOUT(6.9%)의 순으로 관광정보는 전반적으로 골고루 이용되고 있다. 또한, 메뉴별 관광정보 DB서비스의 만족도가 평균만족도보다 낮은 것은 알림나라(3.48), 농협일렉트로뱅크(3.84), 대한항공(3.90), 위너스OK서비스(3.95)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메뉴별 이용자의 계층별 선호도는 첫째, 남성은 알림나라(40%), 아시아나 항공(23.16%), 농협일렉트로뱅크(12.63%)를 많이 이용하나, 여성은 알림나라(42.86%), 농협일렉트로뱅크(28.57%)를 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별 선호도는 나이가 많을수록 단순 관광안내정보인 알림나라, 농협일렉트로뱅크보다는 보다 항공관련 정보를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별 선호도는 학생과 사무직에 종사하는 사람이 가장 많은 메뉴를 이용하며, 전문직, 관리직, 기술직은 대체적으로 항공관련정보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학력별 선호도는 고학력자일수록 많은 메뉴를 이용하고 있으며, 다섯째, 가입시기별 선호도는 가입한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항공관련정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식검색서비스 사용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Chae, Gyeong-Seop;Jeong, In-Geu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229-236
    • /
    • 2007
  • 지식검색서비스의 사용자들이 많아지면서 정보를 획득하고 전파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단순히 사용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개인이 느끼는 자신의 컴퓨터 활용능력에 따라 지식검색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상이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만족도에 정보 품질과 서비스 품질, 재미, 웹 사이트 신뢰도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절 변수로 사용한 자기 효능감은 서비스 품질에 대해서만 조절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기 효능감은 정보품질과 재미, 웹 사이트 신뢰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앞으로 지식검색서비스 사용자 만족도에 대한 연구들이 더욱 활발히 진행되고 사용자들을 유인할 수 있는 컨텐츠의 개발에 도움이 되고 사용자들의 손쉬운 정보 공유와 활용에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with the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s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국회도서관 의회정보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Cho, Chan-Sik;Kim, Won-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9 no.1
    • /
    • pp.95-113
    • /
    • 2012
  • The construction of an information super highway and diffusion of the internet brings about a lot of changes in the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s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In the same vein,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s should provide information services which satisfy users according to their information needs and the changes. In light of that, this study aims at enhancing users' satisfaction and suggesting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s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ccordingly, this study surveys assemblymen and their assistants of satisfaction in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s and suggests some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 Study 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Satisfaction Survey (정보서비스시스템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

  • Moon, Byung-Ju;Kim, Chang-Su;Song, Jong-Chul;Son, So-Hyun;Jung, Hoe-K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3 no.5
    • /
    • pp.835-844
    • /
    • 2009
  • Lately, influence of information rises and interest about estimation satisfaction of information service is rising. However, It requires complicated and various method that measure and evaluate correct value of information service by various attributes of information. Also function and efficiency of information offer service are important. Therefore, interest for satisfaction survey to heighten contents satisfaction of information offer service, service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user of system satisfaction is increased. Therefor in This paper, measures lTFlND's User Satisfaction Index and establish information offer service strategy that improve. And wish to draw improvement way and present improvement method and way after direction through results of measurements of user satisfaction index in information offer service field.

정보통신 산업의 서비스 퀄리티 측정에 관한 연구 - 이동.휴대 통신을 중심으로 -

  • Kim, Dong-Il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2
    • /
    • pp.133-158
    • /
    • 1998
  • 최근의 많은 연구에서 정보기술에 대한 서비스제공 및 서비스 질(qualiy)에 대한 평가와 측정도구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르어져 왔다(Pitt et al 1998) 또한 서비스 주체가 인적 요인에서 무형의 매체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러한 원인은 정보기술의 응용성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서비스 관점을 정보기술의 응용분야의 한 핵심이 될 수 있는 정보통신분야의 이동 휴대통신을 중심으로 서비스 질을 평가하여 문제점과 대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정보통신분야는 기간산업으로서의 역할과 그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으며, 개별 기업차원에서도 정보기술 인프라는 중요한 경쟁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단순한 지표를 통한 비교 등의 연구 방법론에 있어서도 미비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분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초기 단계의 이동 휴대통신 분야의 핵심역량을 규명하고 향후 서비스 전략의 성공요인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비스만족 변수를 대리 측정도구로 이용하여 정보통신 기술 부분, 정보제공 부분, 비용우위 및 차별화 부분을 통해 계층적으로 접근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세부분으로 요약된다. 첫째, 정보통신기술 부분에 대해 혁신적이고 안정적일 때 서비스만족도는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통신장비 및 부가장비의 우수성도 서비스부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제공과 서비스만족과의 관계에서는 필요정보에 대한 서비스 밀착도가 높으면 서비스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정보제공 분야의 서비스 개발력은 서비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정도도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차별화 및 비용우위와 서비스만족과의 관계도 매우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비용 및 요금은 서비스만족도에 결정적 영향변수로 나타났으며, 광고 및 홍보부분도 만족도의 영향변수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서비스전략에 응용될 수 있으며, 이동 휴대통신분야의 성공요인을 가시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첫째,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의 객관적인 평가가 부족하였고 이러한 상횡에서 정보통신 기술 서비스 능력이 잘 반영되지 못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이동 통신의 분야별 연구를 통해 비교 평가가 세부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연구방법상 샘플조사의 한계와 객관적인 응답자료를 확보하기가 어려웠던 점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에서는 변수간의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측정도구가 미약하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와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 PDF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e Satisfaction of Ubiquitous Service (유비쿼터스 서비스 만족도의 선행요인 및 결과요인)

  • You, Jae-Hyun;Park, 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7.05a
    • /
    • pp.403-418
    • /
    • 2007
  • 최근 새로운 정보기술 패러다임인 유비쿼터스가 등장함에 따라 그에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들이 도입되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제품이나 서비스가 아무리 혁신적이고 훌륭하다 하더라도 고객이 실용적이지 못하다고 인지하거나 만족하지 못하면 그 제품이나 서비스는 시장에서 더 이상 확산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과 결과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기업이 향후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용자를 확대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유비쿼터스 서비스 만족도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모델을 제시하고 실증하였다. 그 결과 편재성, 상황기반 제공성, 친화성과 같은 유비쿼터스 특성요인은 유비쿼터스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을 높이고, 이 지각된 유용성은 유비쿼터스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을 높이고 만족도는 재이용의도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마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유비쿼터스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적 시사점을 토의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마지막에 제시하였다.

  • PDF

Evaluating Method of User's Satisfaction for the Services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동작하는 서비스의 사용자 만족도 평가 방법)

  • Lee, Keon-Soo;Kim, Min-K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340-343
    • /
    • 2008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서비스는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대상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이때, 수행되는 서비스는 사용자로부터 명시적인 요청을 받아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상황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서비스가 사용자가 정말 원하는 서비스인가를 판단하는 것은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 평가에 중요한 기준이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서비스 수행을 보장하기 위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OCC 감정 모델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계산하고, 이 결과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와 서비스의 수행 조건을 일치시킨다. 만족도 계산 작업의 자동화를 통해 서비스의 수행 조건은 사용자의 의도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 가능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시스템에 대한 하위수준의 조정 작업 없이 자신의 행동 변화만으로 서비스의 실행 조건을 변경시킬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Open Service for Sharing of S&T Information, using the Public-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Index(PCSI) (PCSI를 이용한 과학기술정보 오픈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Hyun, Mi-Hwan;Kim, Wan-Jong;Lee, Hye-Jin;Kim, Hye-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0 no.4
    • /
    • pp.133-15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rvice quality factors that affect user satisfaction of NDSL Open Service (NOS) and to improve standards of open service for sharing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satisfaction survey. User satisfaction indexes were developed to measure the all aspects of the NOS services. The quality index, satisfaction index, and performance index were identified in this survey. According to the survey findings, the levels of social quality and social satisfaction are relatively high, this shows the positive evaluation and expectation of researchers for open services. However, relatively low level is identified in area of service process quality. Therefore, NOS requires method to help easily take advantage of OpenAPI and strategy to increase service process satisfaction and service environment satisfaction.

Factors Influencing the Customer Value and Satisfaction of National R&D Information Users (국가 R&D정보 이용자의 고객가치 및 고객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 Suh, Sang-Hyuk;Lee, Sun-Young;Lee, Byeong-Hee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5 no.4
    • /
    • pp.837-861
    • /
    • 2012
  • In the knowledge society, the importance of sharing knowledge, technology, and information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itself, information marketing is a newly emerging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which effect information customer value and satisfaction of the national R&D information service. The results show that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value. In addition, the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and the information customer valu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However, customer value of information acts as an intermediary between information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indirect effects of information quality on the satisfaction are higher than the direct effect.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service quality was not significant. After an analysis of research result, we discussed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e study as well as future result direction.

  • PDF

U-City Service Design and Research for Satisfaction of U-City Service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의 설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Lee, Kyoung-Hyoun;Kim, Hwa-Jong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170-173
    • /
    • 2009
  • 유비쿼터스도시(U-City)는 도시민의 삶의 질과 도시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U-City에서 제공하는 도시서비스는 기존의 도시서비스와는 다르게 도시민의 만족도가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이 되고 있다. U-City 서비스에 대한 도시민의 만족도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U-City 서비스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도시서비스 및 통신서비스에 관한 만족도의 측정에 대한 연구에 대한 선행조사와 측정된 도시민의 만족도를 기반으로 U-City서비스를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측정하는 방법과 이를 기반으로 U-City 서비스를 설계하는 방법에 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