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기술 성과평가

Search Result 787,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A Study on the Primary Factors of Internal and External Competency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 Software Company (중.소 소프트웨어 기업의 성과 향상을 위한 내.외부 역량 요인에 관한 연구)

  • Yoo, Sang-Jun;Ki, Byoung-Gun;Choi, Jong-Hwa;Leem, Choon-Seong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4 no.1
    • /
    • pp.17-31
    • /
    • 2009
  • The importance of software has been growing rapidly owing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Internet and e-business applications. The traditional approaches to software evaluation are based on the development process perspective, and their major concerns are no strongly related to use or customer-oriented evaluation of software. According to resource-based theory, company's resource is consisted of human, technology, market value, and finance.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d by product satisfaction and service satisfaction.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factors of human resources, technology, customer satisfaction are selected to evaluate software company's competence This research suggests the factor effecting on sales performance. And then statistical methods are used for verify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 and sales performance.

A Study on the Evaluation Factors and the Performance of Internet Venture Business Types (인터넷 벤처비즈니스의 유형별 평가요인 및 성과에 관한 연구)

  • Lee, Myeong-Ho;Lee, U-Hyeong;Heo,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317-320
    • /
    • 2000
  • 지난 1999년은 우리나라에서도 그 어느 때 보다 벤처기업에 대한 관심이 커졌던 한 해였다. 특히, 정보 통신분야는 기술의 발전속도가 빨라 참신한 사업 아이템과 우수한 기술만으로 새로운 시장의 창출이 가능한 분야가 계속 생겨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정보통신 시장은 계속 확대 추세 일로에 있다. 이러한 벤처기업에 대한 관심의 고조에 따른 많은 부작용들이 나타나고 또한 벤처기업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국내ㆍ외적으로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의 경우 1980년대 중반부터 벤처산업에 대한 연구가 조금씩 진행되었으나 주로 벤처산업의 행태나 벤처 캐피탈회사의 유형을 밝히는 것, 그리고 국가적 차원에서 벤처산업에 대한 지원방향을 논의하는 것이 연구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최근 들어, 벤처기업성과와 관련된 연구들이 조금씩 진행되었으나 연구 주제가 협소하여 전반적으로 벤처기업의 성과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평가요인들을 고찰하여 보고 이를 벤처기업의 유형화연구와 연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이들 평가요인들이 성과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결국, 국내 벤처기업들의 평가요인들의 객관적인 도출과 벤처기업들의 전략적 유형화 연구를 덧붙여 연구함으로써 벤처기업의 평가에 활용코저 하는 것이다.

  • PDF

Service System to promote the Use of National R&D Technical Information (국가연구개발 우수유망기술정보 이용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 구축)

  • Joo, Won-Kyun;Choi, Ki-Seok;Kim,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145-148
    • /
    • 2011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제고가 과학기술계 주요 이슈로 부상되면서 사업의 경제적 성과창출에 초점을 둔 기술이전 및 사업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 하는 NTIS는 국가연구개발성과를 부가가치 창출로 연계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 우수유망기술정보 서비스를 도입하였다. 우수유망기술정보는 국가연구개발과제에 대한 최종평가 결과가 우수한 과제의 연구성과(기술) 중 기술이전·사업화의 가능성이 있거나 후속연구를 통해 기술이전 사업화가 가능한 기술을 칭한다. NTIS에서는 2008년부터 우수유망기술정보 DB를 구축하였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수유망기술정보서비스와 관련된 국내외 현황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대내외 환경변화 및 공익적인 사업성격을 고려하여 NTIS 우수유망기술정보서비스의 활용과 관련한 현황을 파악하였고,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더 나아가서 향후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A Study on Evaluation System based on Characteristics of BcN (BcN 특성 관점의 평가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 Na, Yun-Ji;Ko, Il-Seok;Cho, Young-Suk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6 no.3
    • /
    • pp.49-58
    • /
    • 2006
  • Currently there are many standards of network management. They are :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for Internet management), CMIP (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standardized by ITU-T and ISO), RMON (Remote network MONitoring-for distributed management of the LAN segment), and so on. Especially RMON has created the many concerns in order to manage subnetworks of a large network, but it has negative aspects. For instance, routers or hubs with RMON capability are expensive to a network manager because of adding heavy management cost. Moreover it imposes a heavier burden on network manager, because it must use a network management tool which will be additionally needed with RMON device. This paper proposes a model of PC based RMON Agent system. The RMON Agent system monitors the traffic on LAN segment through the use of a Virtual Device Driver (VxD), based on PC. In term of cost this model will replace the expensive RMON device, and eventually enable a network manager to manage LAN segment more efficiently, due to reduced cost.

  • PDF

고등교육기관의 평가인증제가 대학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 Yun, Mun-Do;Seo, Yeo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753-783
    • /
    • 2017
  • 본 연구는 고등교육기관의 평가인증제가 대학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1주기 기관평가인증제가 대학 균형성과표(BSC) 4가지 관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고등교육기관의 1주기 평가인증제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대학 조직의 균형성과표(BSC) 및 1주기 기관평가인증제의 성과분석에 대한 선행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독립변수인 기관평가인증제 즉,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의 정도,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가 대학 균형성과표(BSC)의 고객관점, 내부프로세스 관점, 학습과 성장 관점, 재무 관점의 4가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검증하였다. 기존의 1주기 기관평가인증제의 성과분석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주로 평가인증제 체제 자체의 성과와 각 평가요소에 있어서 대학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성과를 분석함으로써 정작 기관평가인증제가 평가인증의 평가대상인 대학의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에 대한 분석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기관평가인증제가 대학의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첫째, 기관평가인증제중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과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 BSC의 고객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 정도는 고객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관평가인증제 중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과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 BSC의 내부프로세스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 정도는 내부프로세스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관평가인증제 중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 정도와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 BSC의 학습과 성장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은 학습과 성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관평가인증제 중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과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 BSC의 재무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 정도는 재무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와 자체평가 과정을 통해 실질적인 교육체계 혁신이나 내부프로세스 효율성 향상으로 인해 교육의 질이 개선되어 학생의 만족도와 선호도가 높아지며, 아울러 안정적 재원확보와 재원의 효율적 관리를 가져오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인식과 관심은 인증 획득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게 하고,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를 통해 인증평가에서 요구하는 기준 이상을 충족하도록 학습과 혁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령인구의 급감 등 급변하는 대학의 대내외 환경에서 생존을 넘어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평가인증제를 다양한 대학의 경영성과로 연계할 경영전략 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PDF

A Design of Evaluation Management System for Information Security System (정보보호시스템 평가관리시스템 설계)

  • 강연희;방영환;이강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868-870
    • /
    • 2003
  • 정보화 역기능으로부터 주요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안전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정보보호시스템을 사용하여 정보보호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정보보호시스템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또한, 정보보호시스템의 수가 많아지고 다양화됨에 따라, 시험/평가업무량도 증대 될 것이며 국내 평가관리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종 평가기관에서 평가의 효율성(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평가업무를 수행)을 기하기 위해 세부평가기술의 통합하고 평가결과 관리를 위한 그룹웨어인 정보보호시스템 평가관리시스템(EMS)을 제시한다.

  • PDF

국제표준 활동, 성과 잇따라

  • Korea Information Security Agency
    • 정보보호뉴스
    • /
    • s.133
    • /
    • pp.24-26
    • /
    • 2008
  • 기술이 보편화되고, 그 기술을 응용한 다양한 제품이 등장하기 위해서 기초 기술에 대한 국제표준화가 필수적이다. 특히, IT 분야에서의 표준은 시장 경쟁력뿐만 아니라 국가 경쟁력뿐만 아니라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다. 이는 미국, 유럽 등 국제 IT 기술표준을 주도하는 국가들이 IT 선진국으로 평가받고 있다는 점만 봐도 잘 알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얼마 전 KISA의 연구과제가 국제기구의 기술표준으로 채택됐다는 소식은 국내 정보보호 기술 수준과 그 영향력이 해외에서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하다.

  • PDF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IT Asset Management Through Application of Balanced Scorecard in the Public Organizations (BSC를 활용한 공공기관의 정보기술 자산 관리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Choi, Jun-Hyeog;Kim, Hyung-J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6
    • /
    • pp.191-199
    • /
    • 2012
  • By the way, in light of the knowledge, even public institutions are paying much attention to the management of IT assets for achieving organizational goals. Recently, some public institutions adopt balanced scorecard for enhancing efficiency in operations and management of total administrations. To be interested, some key performance indicators(KPI) of the balanced scorecard reflect the three aspects of IT assets and their possible outcomes.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positive effects of IT asset management through balanced scorecard at public institutions. Specifically, we selected and classified KPIs into different categories depending on three aspects of IT assets, internal process change, and organizational outcomes. To address relationships of KPIs among the categories, we specified each category and developed as a variable respectively. A middle-sized city provided us with 138 KPIs for the development of scales.

Implementation of a Teaching and Learning Evaluation System (교수-학습 평가 시스템 구현)

  • 이미영;한현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256-258
    • /
    • 2004
  •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은 교육시스템의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한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많은 연구와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교육평가시스템은 부족한 편이다. 현재의 교육평가의 경우 교수자가 기계적으로 학습자의 응답에 대해 정, 오답을 체크하고 단순히 점수화 된 결과만 출력한다. 학습자 오답 응답에 대한 교수자의 적절한 피드백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학습자의 학습곤란 및 학습결손에 대한 정보 취득이 어려운 현실이다. 또한 교수자 자신의 교수방법과 교수 내용 혹은 출제된 문제의 적절성 등에 대한 정보 취득은 어려울뿐더러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여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비효율적이며 단순 평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교수-학습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평가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난이도와 이원분류를 문제 출제 시 적용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자동으로 분석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이러한 평가시스템을 통하여 학습자의 인지도 및 학습장애 등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으며 교수자는 출제된 문제의 적절성과 교수방법 또는 교수 내용 등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EA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and the Application Case (EA성과평가 모델의 설계 및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

  • Lee, Seok-Kyun;Lee, Young-Min;Rhew, Sung-Yul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6D no.3
    • /
    • pp.395-406
    • /
    • 2009
  • Korean government has operated EA by the act on efficient introduction of information system and operation, etc. But the evaluation system for EA and the criteria don't prepare well. Particularly, There is no model for EA performance measurement and the way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derived 8 areas and 17 criteria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the Performance Reference Model of U.S FEA and Korea. And we also derived 8 areas and 10 criteria for it based on the OMB EA Assessment Framework and the EA maturity model in Korea. We propose the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f the five areas that consists of the business performance, customer performance, process, human resource and the technology for EA performance evaluation. To verify the model, we applied the model to three organizations and evaluated EA performance. In addition, we compared the performance result with the performance evaluation area of EA maturity model of Korea to verify the result. We also analyzed the criteria of the proposed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with the current EA maturity model and Performance Reference Model of Korea.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we verified of the proposed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t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