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과 교육과정

Search Result 57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lternative Measures for Improvement of Information Literacy as Cross Curricula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범 교육과정으로서의 정보 활용 능력 위상 강화 방안)

  • Song, Gi-Ho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2 no.2
    • /
    • pp.29-50
    • /
    • 2011
  • An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and propose some ways strengthening its role as a cross-curriculum. Analyses show that information literacy is a basic competency of creative person composing the educational human figure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In the school knowledge, its position is a procedural knowledge to create new ideas, also it is a interdisciplinary thinking skill under the instructional method. Therefor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covering media and ICT literacy should exist as a main cross-curriculum to be a selective subject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finally, one of learning skills, its definition should be cleary stated such as information research and access, information analyses and interpretation, information synthesize and presentation.

A Study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Seaming planning document with ICT on Nation Language Art in University of Education (교육대학에서 국어과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

  • Im, Cheon-Taek;Joo, Kang-Sik;Lee, Jae-M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458-467
    • /
    • 2004
  • 본 연구 개발은 초등학교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에 대한 이해와 과정안 개발 및 수업에서의 활용 능력을 길러주고, 아울러 향후 ICT를 활용한 국어과 교육을 교육과정에 반영할 경우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개발의 내용은 국어과 ICT 활용 교육 관련 문헌 및 자료 탐색, 자료 및 수업 운영 실태 분석, 국어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학습 내용 및 목표 분석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ICT 교수 학습과정안 개발 결과물의 수정 검토 및 서버 탑재, ICT 교수 학습 과정 개발 과정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모색이다. 본 연구 개발을 위하여 2003년 2학기 강좌인 '국어과 교재 연구(2학점)'와 통합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추진하였다. 본 강좌에서는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모형 안내, 과정안 작성 방법 지도, ICT 활용 수업의 분석,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컴퓨터 소양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과정안의 개발은 학기 과제로 추진하였다. 본 연구 개발 과제의 수행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국어과 6학년 ICT 교수 학습 과정안 180차시와 연구 보고서 1종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 개발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 모형 및 과정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작성 능력을 길러주었다. 둘째, 연구 보고서에 제시된 국어과 ICT 자료 개발 및 활용 실태, 예비 교사의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위한 강의 계획과 개발을 위한 실제 지도 과정은 향후 관련 강의나 연구를 설계하고 교육과정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예비 교사들이 개발한 자료는 현장 교사들이 국어과 수업을 운용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 개발 결과 드러난 문제점과 보다 나은 연구와 강의를 지향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의 특성과 개발 내용에 비추어 볼 때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기간이 짧았다. 따라서 강의 시수를 늘리는 방안, 관련 강좌를 추가로 개설하는 방안, 기존 강좌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둘째, 예비 교사의 수준을 고려할 때 여러 가지 '부가 자료'를 포함하는 ICT 교수 학습 과정안을 1인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상당한 부담을 안겨 주었다. 대안으로는 개발 관련 강자를 1년 단위로 계획하여 운용하는 방법, 학생 4-5명 당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방법, ICT 교수 학습 과정안 자체만 개발하고 학습지, 교사연구자료, 자율학습 자료 등은 생략하는 방법 등이 있다. 셋째, 학생들의 컴퓨터 소양 기능이 부족한 상태에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과제로 부과할 경우 좋은 결과물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교육대학의 교육 과정 편성 체제를 감안하면 컴퓨터 강좌와 교과 교육 강좌를 통합 강좌 형태로 운영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만하다. 넷째, 교수 학습 모형의 경직성과 실제 교수 학습 변인을 고려한 활용이나 변형에 대한 탐구가 여전히 부족했다는 점이다. 앞으로는 이를 몇 가지의 모형 틀 속으로 자꾸 끓어 내려고 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모형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그 틀을 열어줄 필요가 있다.

  • PDF

A DESIGN OF QBASIC-BASED PROGRAMMING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STUDENT (QBASIC을 이용한 초등학교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연구)

  • Kim, Cheol-Dong;Park, Pha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b
    • /
    • pp.151-155
    • /
    • 2007
  • 초등학교의 컴퓨터교육은 국가에서 발표한 정보통신기술교육 지침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는 이 지침이 소프트웨어 활용에 치중하였던 관계로 초등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정보통신기술교육의 비판 중 하나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문제해결력, 창의력 등 고등 사고능력을 기르는 교육이 되지 못하고 워드프로세서, 파워포인트, 엑셀 등 주로 응용 소프트웨어를 다루는 교육에 치중해 왔다는 것이다. 2005년 12원에 발표된 초 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에는 문제해결능력을 기르기 위한 논리적 사고력 향상을 위하여 초등학교 단계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공식적으로 밝히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 현장에서 이러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시행할 때 어떠한 도구와 내용을 갖고 어떻게 교수해야 하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방법으로 QBASIC 기반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universities curriculum based on overseas higher Informatics standard curriculum (해외 고등정보 표준교육과정 기반의 국내 대학 교육과정 비교분석)

  • Woo, HoSung;Kim, JaMee;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20 no.1
    • /
    • pp.27-38
    • /
    • 2017
  • The United States (CS2013) and Japan (J07-CS) constitute a standard informatics curriculum that reflects a changing society at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standard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tandard composition of higher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The subjects were composed based on the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university curriculum and content knowledge in Korea.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Informatics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has evolved into a curriculum reflecting the changing computing environment. The information curriculum of domestic colleges included only 52% of the knowledge area of CS201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xample of the composition of subjects based on the curriculum composition policy of Japan and to provide a basis for the curriculum composition without the standard informatics education course of the college in korea.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in United States of CD-ROM MEDLINE (미국의 정보학교육)

  • Yu, Ja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7 no.2
    • /
    • pp.94-107
    • /
    • 1990
  •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grams of education in information science offered by library science schools in United States. If reviews what components consist of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and how the curriculum has been developed since it initialization in library science schools. Also associated problems in the curriculum and new trends are discussed.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Using SW Education Program for Non-Informatics Teachers on SW Education Teaching Specialization (비 정보과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Hwang, Ji-Yeon;Lee, Dagyeom;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389-390
    • /
    • 2022
  •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여 사회 전반에서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이에 따라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소양 및 역량 강화를 위하여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소프트웨어(Software, SW)교육을 비롯한 디지털 기초 소양을 강화하는 것을 개정의 중점으로 설정하였다. 이처럼 SW교육은 정보 관련 교과를 비롯한 타 교과에서도 중요하며 따라서 비 정보과 교사도 SW관련 교육 내용을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 정보과 교사에게 SW연수를 실시하였고, SW교육 수업 전문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을 확인하였다. 이는 SW연수가 비 정보과 교사의 SW교육 수업 전문성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일집단으로 이루어진 실험을 설계하여 실시하였으므로, 이러한 변화가 처치로 인한 것인지 확인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므로 통제 집단 및 실험 집단 선별 과정을 거친 후속 연구 설계가 요구된다.

  • PDF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the Cultivating the Creative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of Informatics (창의적 정보과학영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 Kim, Sung Yul;Lee, Jong Y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7 no.3
    • /
    • pp.25-39
    • /
    • 2014
  • Existing curricula for the gifted and talented of informatics are inapplicable directly to the current educational fields because its educational objectives are abstract and impractical. In particular, after the gifted and talented of informatics was defin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05 and other institutes, there is not a clear standard definition. Curriculum for the gifted and talented of informatics also varies and is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research institutes. Therefore, we propose the defini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of informatics and then suggest seven educational goals and a curriculum for the gifted and talented as well as its detailed learning contents. Finally, for proving the validity for those suggestions, this paper is verified by conducting the construct validity with a content validity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18.0 and AMOS 21.

  • PDF

The Development of SW Education Experience Program for Parents (학부모 대상 SW 교육 체험 프로그램 개발)

  • Lee, Aekyeong;So, Wonho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8a
    • /
    • pp.7-9
    • /
    • 2018
  • 최근 국내외적으로 SW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올해 중학교에서 SW 교육을 시작으로 2019년부터는 초등학교, 고등학교에서도 SW 교육이 시작될 예정이다. 앞으로 SW 교육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 컴퓨터교육 이전의 세대인 학부모에게도 SW 교육의 이해를 위한 적합한 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15년 개정 정보과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학부모를 위한 체험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평가한다. 제안된 프로그램의 이론수업은 새로운 교육과정의 SW 교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실기수업은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을 기반으로 문제 해결을 체험하도록 구성된다. 제안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부모는 정보과교육과정과 컴퓨팅 사고력을 이해하였고 SW 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증가되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Virtual Education System on the Web Environment (웹 환경에서의 가상교육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노진순;이용배;맹성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595-597
    • /
    • 2001
  • World-Wide Web으로 인하여 인터넷 상의 다양하고 고품질의 자료들을 교육 자료에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들은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좀 더 정제되고, 교육과정에 맞는 흐름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의 흐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웹 상에서 분산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디지털 문서들을 교육 목적에 맞게 새로운 순서, 즉 문맥화된 순서를 가진 자료로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하며, 문서간의 부드러운 내용 전개를 위해서 부가적인 설명이나 기존 문서에 빠져 있는 내용들을 보완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의 연구과정에서 개발된 가상교육 시스템은 교사가 교육용 지식문서를 작성하여 면대면(face to face) 교육에서는 직접 학생들을 교육할 수 있는 교육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웹을 통해서는 학생 스스로가 부족한 부분을 원하는 시간에 학습할 수 있는 능동적인 교육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교육 시스템에 가상문서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인터넷 상의 수많은 리소스들을 인용하는 것에 대한 부하를 막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상의 디지털 컨텐츠를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교사가 교육과정에 맞게 쉽게 재구성해 줄 수 있도록 가상교육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 내용에 대해 기술한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of Higher Informatics Education in Korea (한국 고등정보교육 개선 방안 연구)

  • Woo, HoSung;Kim, JaMee;Lee, WonGyu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103-105
    • /
    • 2017
  • IT의 급속한 발달은 교육에 대한 인식과 체계를 변화시키고 있다. 각국은 불확실한 사회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정보교육을 강화하고 있는 것도 IT의 발전이 국가의 경쟁력으로 반영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미국의 고등정보 교육과정 표준인 CS2013에 근거하여, 층화표집과 무선추출로 선정된 한국의 7개 대학 정보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하나의 대학을 제외한 모든 대학은 소프트웨어 개발 기초(SDF)와 프로그래밍 언어(PL)과 관련된 과목개설 비중이 15%이상 29.2%이하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플랫폼 기반 개발과 병렬 및 분산 컴퓨팅 지식영역을 세 곳의 대학만 포함하고 있었으며, 정보 보호와 보안영역은 네 곳의 대학만 포함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국가수준의 고등정보 표준교육과정이 부재한 상황에서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단초 및 고등교육의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