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공동이용

Search Result 732,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Enhancing Information Sharing in the Public Sector: An Empirical Study (행정정보공동이용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Yoon, Kwang Seok
    • Informatization Policy
    • /
    • v.19 no.4
    • /
    • pp.83-104
    • /
    • 2012
  • Information sharing is one of the key factors enhancing government efficiency and public convenience. However, critics argue that Korean government is now facing various kinds of barriers such as insufficient collaboration among agencies, inappropriate statutes, and technical problems. Thus, this study aims to develop policy alternatives that help resolve the existing problems suggested above. In order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employ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s ways to investigate different dimensions of information sharing in government. Both survey and interview include six dimensions such as organization, technology, culture, management, policy and law.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government needs to implement following alternatives; developing its own database that helps support government decision making,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continuous extens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object information and affiliated agency, and developing a statute dealing with government information sharing.

  • PDF

A Joint Learning Model for Speech-act Analysis and Slot Filling Using Bidirectional GRU-CRF Based on Attention Mechanism (주의집중 메커니즘 기반의 양방향 GRU-CRF를 이용한 화행 분석과 슬롯 필링 공동 학습 모델)

  • Yoon, Jeongmin;Ko, Youngjo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252-255
    • /
    • 2018
  • 화행 분석이란 자연어 발화를 통해 나타나는 화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을 말하며, 슬롯 필링이란 자연어 발화에서 도메인에 맞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미리 정의되어진 슬롯에 대한 값을 찾는 것을 말한다. 최근 화행 분석과 슬롯 필링 연구는 딥 러닝 기반의 공동 학습을 이용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특허상담 도메인 대화 말뭉치를 이용하여 공동 학습 모델을 구축하고 개별적인 모델과 성능을 비교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공동 학습 모델에 주의집중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성능이 향상됨을 보인다. 최종적으로 주의집중 메커니즘 기반의 공동 학습 모델이 기준 모델과 비교하여 화행 분류와 슬롯 필링 성능이 각각 3.35%p, 0.54%p 향상되어 85.41%, 80.94%의 성능을 얻었다.

  • PDF

The regularization and reciprocal use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행정정보의 표준화와 상호 운용성)

  • Lee, Yae-Yeo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c
    • /
    • pp.1445-1448
    • /
    • 2003
  • 1980 년대부터 각 기관에서는 기관별로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전산화고 있으며, 또한 구축한 행정정보를 공동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과 움직임이 활발하게 추진되어 오고있다. 특히 1998 년 $\ulcorner$행정정보 공동이용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제 1574 호)$\lrcorner$ 이 마련되었고 행정자치부는 정보공동활용에 필요한 표준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또한 정보통신부는 1998 년부터 공공정보의 민간이용 활성화계획을 수립하여 공공정보를 필요로 하는 민간기관 및 민간에게 필요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행정정보는 기관별 업무별로 독립적으로 생성되어 행정기관에서 정보 접근시 각각 접근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각 기관별 업무별로 구축되어진 행정정보를 공동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메타데이터레지스트리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설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haring and Activation Plan of Electronic Resources (전자정보 공동 활용방안 및 활성화 연구 - C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 Ahn, Young-heui;Lee, Eung-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4.08a
    • /
    • pp.227-235
    • /
    • 2004
  • 국내 대학도서관 및 연구기관에서는 컨소시엄에 가입해 전자정보를 구독하고 있다. 저렴한 비용으로 많은 자료를 구독해 예산 절감효과는 있으나 이용 및 활용면에서는 극히 미비한 실정이다. 지역간 전자정보를 공동 활용하는 방안으로는 전자정보를 공동 수서해 근거리에 위치해 있는 대학도서관에서는 상호대차 및 정보공유 협정을 맺어 이용시키는 것이 효율적이며, 이용성활화 방안에 대해서는 천안의 C대학교 홈페이지를 사례로 하여 살펴보았다. 전자정보의 이용활성화는 이용자 편의형 통합 인터페이스를 추축하여 전자정보 원문에 대한 다양한 접근점을 이용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구현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안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A Study on Union Utilization of Academic Journals (학술지 공동이용에 관한 연구)

  • Chun, Young-Choon;Im, Song-Ok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29 no.3
    • /
    • pp.43-62
    • /
    • 1998
  • This study examines the way of making use of the science journals sharing with many users, who even do not work for the same institute. It may help to make the information as much as available with minimum financial burden to users. This is needed expecially when we recognize the fact that the amount of information supply is being increased rapidly while the financial environments around us are becoming aggravated.

  • PDF

재난정보관리를 위한 재난안전데이터 표준화 기술 개발

  • Kim, Byeong-Sik;Lee, Dong-Seop
    • Water for future
    • /
    • v.52 no.1
    • /
    • pp.40-51
    • /
    • 2019
  • 본 연구를 통해 재난안전데이터의 공동활용을 위해 다양한 관점에서의 데이터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4차 산업혁명에서의 데이터의 위치와 빅데이터에서의 데이터 융합, 공공데이터 이용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에서도 볼 수 있듯이 재난안전정보 뿐만 아니라 데이터는 수요자 중심의 활용과 이용으로 새로운 데이터의 가치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재난안전정보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공동활용을 위해 재난안전정보 관점에서 비정형 자료의 데이터 수집,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및 데이터의 표준(안), 재난안전정보의 교환 표준(안) 및 공동활용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재난안전정보의 공동활용 체계를 구축하여 정보공유 및 재난안전정보의 추적, 활용이 가능하게 하여 신속하게 대국민 재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 경험기반의 재난관리 및 지능형 재난관리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orean Question Generation Using Co-Attention Layer of Answer and Passage (정답과 구절의 공동 주의 집중 계층을 이용한 한국어 질문 생성)

  • Kim, Jintae;Noh, Hyungjong;Lee, Yeonsoo;Kim, Harks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315-320
    • /
    • 2019
  • 질문 생성이란 구절이 입력되면 구절에서 답을 찾을 수 있는 질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작업으로 교육용 시스템, 대화 시스템, QA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질문 생성에서 정답의 단어가 질문에 포함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절과 정답을 분리한다. 하지만 구절과 정답을 분리하게 되면 구절에서 정답의 정보가 손실되고, 정답에서는 구절의 문맥 정보가 손실되어 정답 유형에 맞는 질문을 생성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리된 정답과 구절의 정보를 연결시켜주는 정답과 구절의 공동 주의 집중 계층을 제안한다. 23,658개의 질문-응답 쌍의 말뭉치를 이용한 실험에서 정답과 구절의 공동 주의 집중 계층이 성능 향상에 기여해 우수한 성능(BLEU-26.7, ROUGE-57.5)을 보였다.

  • PDF

P2P System for Simultaneous Support of Joint Buying Information based on Menu (개선된 메뉴 기반 공동구매 정보 동시제공 P2P 시스템)

  • Kim, Boo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286-1287
    • /
    • 2012
  •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분산 처리 분야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P2P 기술의 유용성이 분산 환경에서 입증되고 있다. 이러한 P2P 시스템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의 역할을 하는 서버와 피어들로 구성된 P2P 시스템은 일반적인 자원 보유 서버로 구성된 시스템에 비해 서버의 부하가 적은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식당에서 음식 메뉴를 제공함에 있어서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공동 구매에 있어 개선된 정보와 연계되어 효과적으로 진행되는 P2P 시스템을 제안한다.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공동 구매 정보는 P2P 시스템을 이용하는 피어에 의해 제공되고, 이러한 중계 정보는 P2P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형태이다.

Information Service Quality Management in Data Governance Perspective (in Public Information Sharing System) (데이터 거버넌스 관점의 정보서비스 품질관리 (행정정보공동이용시스템 중심으로))

  • Go, Woon-Hyuk;Min, Dae-Hong;Lee, S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402-1405
    • /
    • 2012
  • 데이터 품질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기업에서는 효과적인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정보서비스의 품질 관리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 거버넌스 관점에서 행정기관 간 정보연계를 통해 민본 녹색 행정을 위한 '행정정보공동이용시스템'의 데이터 품질관련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향후 정확하고 안전한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을 위한 정보서비스 품질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대안으로서 데이터 거버넌스 관점의 행정정보 공유 데이터 품질관리체계 구축을 제시하는 바이다.

Th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Online Community - Based on Undergraduates' Perceptions - (온라인 공동체 이용의도의 영향요인 - 대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

  • Kim, Gu
    • Informatization Policy
    • /
    • v.18 no.2
    • /
    • pp.23-48
    • /
    • 2011
  • This empirical study is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llege students'intention of using online communities by focusing on the social influence, online community identification and attitude toward using online community,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popular online community site is Cyworld, and was found to provide additional services like cafes, blogs, facebook, etc. Second, the social influence in the proposed model has been classified as a subjective norm, perceived usefulness of social influence has been identified as a significant variable, and online community identification of subjective norm was significant. Third, the model configuration in a path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e indirect effect of online community identifica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affect usage intention of online communities was larger than a direct effec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usage intention of online communities, online community identifica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as well as by attitude toward using online community need to be considered as ways to improve were identifi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