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공간

Search Result 16,258, Processing Time 0.04 seconds

Improvement of the Local Government's Spatial Information Policy - A Case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지방자치단체 공간정보정책 개선방안 연구 - 서울특별시 공간정보정책 및 시스템 분석 사례 -)

  • Choi, Jun-Young;Won, Jong-Seok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5 no.1
    • /
    • pp.17-30
    • /
    • 2015
  • Local governments' spatial information policies are very important in that it can increase the relatedness to upper policy regarding the share, openness and converged utilization of spatial information and contribute to voluntary participation and creative uses linked to big data. However, local governments' spatial information policies require enhancement since it need to update framework spatial data, to deriv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and to share the data. In this research, we compared the spatial information policies and related system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analyzed the local governments' spatial information policy enforcement plans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utilization survey on 32 spatial information systems. In the result, for the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s' spatial policies, on-demand updating of base map using the as built drawings linked to field work departments, securing up-to-date public domain spatial information through the NSDI system, sharing of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the spatial information platform and benchmarking of best practices related to the spatial information based policy participation are suggeste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Geographic Information Encoding Service System based on GML (GML 기반 지리공간 정보 엔코딩 서비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Son, Hoon-Soo;Kim, Dong-O;Lee, Yong-Soo;Han, Ki-J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1a
    • /
    • pp.91-97
    • /
    • 2003
  • 지리공간 정보가 사용되는 분야나 환경에 따라 사용되는 표준 데이타 포맷이 다르므로 다른 환경의 지리공간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환경에 맞는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지리공간 정보를 상호 운용이 가능하도록 지리공간 정보를 엔코딩해 주는 지리공간 정보 엔코딩 서비스 시스템이 요구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리공간 정보를 OGC의 GML 3.0으로 엔코딩해 주는 GML 기반 지리공간 정보 엔코딩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특히, 지리공간 정보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엔코딩하기 위해 엔코딩 방법을 정의하는 매핑 규칙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GML 기반 지리공간 정보 엔코딩 서비스 시스템을 활용해 공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인 ZEUS에 구축된 지리공간 정보를 GML 3.0으로 엔코딩 하거나, 역으로 GML 3.0을 ZEUS의 지리공간 정보로 엔코딩하여 상호 운용할 수 있다.

  • PDF

정보화시대의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 Jeong, Mun-Seop
    • 정보화사회
    • /
    • s.107
    • /
    • pp.41-48
    • /
    • 1996
  • 공간정보는 국토공간의 물리.환경적, 사회.경제적, 법.제도적 특징 등을 모두 포함한 정보라고 하겠다. 즉 공간정보는 지형.지물, 소유권을 나타낼 뿐 아니라 공간에서 일어나는 각종 활동에 대한 통계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이므로 통합정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종래에는 통합정보의 개념에서 공간정보가 구축된 것이 아니고 지형과 지물등을 나타내는 정보는 건설교통부와 국립지리원에서, 소유권을 나타내는 정보 즉 지적과 토지소유권과 관련된 정보는 내무부에서, 공간내에서 발생하는 사회, 경제적 활동을 나타내는 정보는 통계청과 지방자체단체 및 기타 기관에서 생성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Korean Spatial data Distribution Infrastructure for the interoperability of heterogeneous distributed spatial databases (이기종 분산 공간데이타베이스 상호운용을 위한 국가공간정보유통체계의 설계 및 구현)

  • 이득우;권준희;김윤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03-105
    • /
    • 2001
  • 국토정보화의 기반준비 단계인 ‘1차 국가 GIS 사업’기간 동안, 상당량의 수치화된 공간 정보가 축적되었고 이들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지리정보시스템이 국가기관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사용중인 지리정보시스템은 조직적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공간데이타베이스의 이질성 및 폐쇄성으로 인해, 공간정보의 상호운용 측면에서 한계성을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만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분산 이기종 공간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공간정보를 표준화된 방법으로 통합검색하며, 상호운용 가능토록 하는 국가공간정보유통체계를 설계 및 구현한다. 본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단일 유통게이트웨이, 복수개의 유통노드, 지리정보공급기관을 국가통신망을 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컴퓨팅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공간정보유통망을 검색망 및 전송망으로 분리 설계한다. 검색망에서는 메타데이타의 검색 및 전송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으로서 OpenGIS OLE DB Provider 기반 데이터제공자 컴포넌트를 구현한다. 또한 데이터제공자 컴포넌트를 통해 전송된 이기종 공간데이타베이스로부터의 WKB 형태의 공간정보를 상호운용할 목적으로, 공간데이타 구조와 처리에 대한 인터페이스 표준화를 실시한 MapBase 컴포넌트를 활용하여 공간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분석 및 상호운용을 구현한다.

  • PDF

공간정보산업 기술동향 - ETRI 연구과제 중심으로

  • Kim,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86-186
    • /
    • 2010
  • 최근 들어, 2차원/3차원의 랩 또는 항공/위성 영상의 공간정보를 웹 상에서 서비스 하고 이러한 공간정보에 다양한 정보들을 융 복합하여 사용자들에게 보다 높은 수준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개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예를들어, Microsoft사의 경우는 사용자 참여형(Participatory) 센서 웹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SenseWeb 관련 기술 개발 및 시범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데, SenseWeb 시스템에서는 전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센서들을 연계하여 웹 상에서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SenseWeb 시스템을 이용하여 센싱정보와 Bing Map의 공간정보를 융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SensorMap 시스템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SensorWeb/SensorMap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시범 프로젝트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Google사의 경우는 기존에 서비스 되고 Google Eearth/Map을 기반으로 실시간 센싱정보를 연계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와 다양한 사용자들의 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연계 및 융합하여 제공하기 위한 Google Fusion Table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Oracle사의 경우는 센싱정보를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정보들에 대하여 이벤트 처리, 패턴 분석, 그리고 상황인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EP(Complex Event Processing)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Nokia사의 경우는 기존의 고정 센서노드들 이외에 모든 모바일 폰을 이동이 가능한 센서노드로 가정하고 이러한 모바일 센서노드들로부터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센싱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공간정보 기반으로 서비스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꾸준히 추진해 오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공간정보와 센싱정보 또는 기타 사용자 정보와의 융 복합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기술들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로 다양한 공간정보와 센싱정보의 융 복합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u-GIS 융합 엔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u-GIS 융합 엔진에서는 구체적으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다양한 센싱정보의 효율적 수집, 분석, 관리를 위한 GeoSensor 데이터 저장/관리 기술과 센싱정보-공간정보의 실시간 융합 분석 기술에 대해서 소개를 하고자 한다. 둘째로, 이러한 공간정보, 센싱정보 그리고 기타 사용자 정보들을 웹 상에서 효율적으로 매쉬업하여 2차원 및 3차원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국토정보 제공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공간정보 센싱정보 그리고 기타 사용자 정보와의 연계를 위한 매쉬업 엔진 기술 그리고 실시간 3차원 공간정보 제공 기술 등에 대하여 소개를 하고자 한다. 끝으로, 영상 기반의 효율적인 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멀티센서 데이터 처리 기술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를 하고, 앞에서 설명된 핵심기술들 이외에도 향후 추가로 요구되는 기술개발 내용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을 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f Customized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Chronic Disease Patients Based on PHR. (PHR 기반 만성질환자 맞춤형 공간정보 서비스 시스템 설계)

  • Shim, Jae-Sung;Park, Seok-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568-57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PHR과 만성질환 및 공간정보에 대하여 분석하고, 식당, 커피숍 등과 같은 실내공간에서 PHR 정보를 활용하여 자가 건강관리에 필요한 맞춤형 공간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는 PHR 기반 만성질환자 맞춤형 공간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서비스 공간정보 관리 기능과 사용자 정보 관리 기능 및 맞춤형 공간정보 매칭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절차를 설계하였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eographical SQL: a Spatial Query Language for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공간 질의어 Geographical SQL의 설계 및 구현)

  • 이민재;이영구;송주원;황규영;김장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126-128
    • /
    • 1998
  • 지리정보시스템은 공간 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를 통합하여 다루는 시스템이다. 오늘날 사용되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시스템의 질의 언어는 비공간 데이터만을 잘 다룰 뿐, 공간 데이터는 다루지 못한다. 그러므로 지리정보시스템에서는 기존의 질의어를 사용할 수 없다.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해서는 공간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새로운 공간 질의언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질의의 특징을 실펴보고 공간 질의어가 갖추어야 할 필요조건을 도출한다. 그리고, 이러한 필요조건을 만족하는 공간 질의어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기조의 질의어에 공간 객체와 공간 연산자를 서술할 수 있으며 하부 시스템에 구현된 공간 색인 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공간 스캔과 공간 조인 방법을 활요하여 빠른 공간 질의 성능을 보인다.

Analysis on the Present Condition of National Framework Data for the Disaster GIS (소방방재 GIS를 위한 국가 기본공간정보의 현황 분석)

  • Park, Hong-G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9 no.6
    • /
    • pp.659-666
    • /
    • 2011
  • The absence of present accurate geospatial information can cause us to undergo severe problems in controlling the complicate and multiplicate disaster. Our country is trying to build the Disaster Spatial Data Infrastructure (DSDI), and the key information is the national framework dat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spatial data, and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national framework data, and suggest the way to improve for the GIS application system. In order to provide a wide range of services through the national geospatial data integration system, the data management authority should be established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quality and data accuracy of the entir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In addition, the step-by-step update plan of the national geospatial data should be determined by means of the framework data. And the basic data (lowest common denominator) should be formulated to maintain the data consistency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Korean Geospatial Data Clearinghouse (한국형 지형공간 데이타 Clearinghouse의 설계 및 구현)

  • Baek, In-Gu;Lee, Kang-Jun;Han, Ki-J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9.06a
    • /
    • pp.131-145
    • /
    • 1999
  • 최근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의 처리와 공유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지만 기존 지리정보시스템(GIS)이 갖고 있던 상호 이질적인 지형공간데이타 포맷을 가지고는 효율적인 정보의 처리와 공유가 어려운 형편이다. 이러한 지형공간데이타 포맷의 문제로 인해 지형공간 데이터의 중복수집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또한 많은 시간과 경비가 중복 투자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형공간 데이타 중복수집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이미 구축되어 있는 지형공간 데이타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과 공유하고 유통하기 위하여 KGDC(Korean Geospatial Data Clearinghouse)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KGDC를 통하여 ESRI와 Intergraph사의 상용 지리정보시스템들의 데이타를 별도의 처리과정 없이 공유할 수 있으며, 또한 OGC(OpenGIS Consortium)의 OpenGIS 구현명세에 기술되어 있는 표준 OpenGIS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지형공간 데이타 서버의 데이타도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특히, KGDC는 다양한 검색 기능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손쉬운 지형공간 데이타의 공유 및 유통을 가능하게 하며, 검색을 위한 정보와 검색의 결과로 이용하기 위해 ISO/TC211 표준 메타데이타를 부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 PDF

Industrial Engineering Department,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국가지리공간정보 유통망 구축에 관한 연구)

  • Sung, Ki-Seok;Choi, Jae-Hun;Lee, Sang-Moo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2 no.1 s.3
    • /
    • pp.63-72
    • /
    • 2000
  • The architecture of the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Clearinghouse Network (NGICN) is suggested in this paper. We described the function and relationship of six elements of the NGICN. The elements are clearinghouse network gateway, clearinghouse node, geo-spatial data server, communication network, protocols and standards, and clients. The NGICN suggested in this research will prevent the duplication and improve the value of the database, and persuade the institutes or enterprises in the private sector to participate in producing the geo-spatial database. Finally it will setup the business of producing, circulating and utilizing the geo-spatial information as a new bases of Info-Communication Indust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