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격차해소정책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고령사회를 대비한 정보격차해소 정책방안 고찰

  • Son, Yeon-G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1
    • /
    • pp.32-43
    • /
    • 2008
  • 본 연구는 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고령층 정보격차해소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먼저 정보격차에 관한 이론적 쟁점을 살펴본 후 해외 주요국들의 고령층 정보격차해소 현황을 소개하고, 고령사회 도래에 따라 고령층의 정보사회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고령층 정보격차해소 방안을 고찰하고 있다. 향후 빠르게 진행될 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고령층 정보격차해소 정책방안으로서 정보격차 진화의 단계별로 제1유형, 제2유형, 제3유형으로 분류하여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제1유형에서는 정보의 접근성, 제2유형에서는 정보의 활용성, 그리고 제3유형에서는 정보의 수용성을 기준으로 정보격차가 분화된다. 이 유형들은 그 일부가 정책방안을 구상함에 있어 중복 고려될 수 있다. 제1유형에서는 보편적 접근 및 서비스를 지향하는 입장에서 정보기기에 대한 균등한 접근기회 보장 및 인적 네트워크 강화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제2유형과 제3유형에서는 고령층의 사회참여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정보활용 능력 및 세대 간 의사 소통 능력의 증진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하겠다. 이와 같은 대응방안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대책으로 접근해 나갈 필요가 있다.

A Study of Digital Divide Issues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과 이슈)

  • Kang, S.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6 no.1 s.67
    • /
    • pp.36-46
    • /
    • 2001
  • 급격한 정보화 진행과 함께 계층, 소득, 지역간의 정보격차가 심화되고 있으며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정보격차 문제가 점차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따라서 정보화의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정보격차의 피해를 극소화시키는 정책이 요구된다. 이러한 정보격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요건으로는, 모든 사람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편적 정보 서비스 확대, 인터넷 접속비용 및 재정지원을 통한 정보접근능력 강화, 교육 및 인식의 제고를 통한 정보이용능력 향상 등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소요되는 사회적 비용을 줄이면서 어떤 정책을 가장 효율적으로 결정하고 실행하는가 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일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이슈로는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사회적 비용을 투자로 보는 인식의 전환, 정보격차를 해결하기 위한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 정보격차의 문제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한 통계자료 확보 및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충분한 자금확보가 요구된다.

A Study on Education Factors to Solve Digital Divide for Marriage Immigrants (결혼이주여성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방안에 관한 연구)

  • Jung, Young-A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b
    • /
    • pp.675-678
    • /
    • 2011
  • 이 논문은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인 결혼이주여성들이 사회통합을 하는데 필요한 교육정책에 관한 논의인데, 그 중에서 한국사회를 구성하는 기존 구성원들과의 정보리터러시 격차해소를 위한 교육정책에 주목하였다. 지금까지 다문화 가정의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들은 대부분 언어격차의 해소를 위한 것이었다. 기본적으로 그들에게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격차의 해소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의 활용능력과 정보의 습득이 곧 여러 가지 삶의 질이나 다양한 기회의 획득에 중요하게 작용하므로 결혼이주여성들이 빠른 사회통합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언어교육뿐만 아니라 정보리터러시 격차해소를 위한 교육정책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교육의 현황을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정보리터러시 기준에 기초하여 정보교육의 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구성요소 및 세부항목을 추출하여 정보교육 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정보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mputer Use Policy for the Digital Divide of Marriage Immigrants (결혼이민자들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컴퓨터 활용 정책방안 연구)

  • Bang, Sung 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181-184
    • /
    • 2019
  •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들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그 수단 중의 하나로서 정보격차 수준의 완화를 통하여 정보불평등에 따른 사회불평등을 해소시켜 주기 위한 정보화교육 활성화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혼이민자의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결혼이민자를 위한 공공기관과 그들이 자주 이용하는 기관의 정보화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에 따른 정보 접근권의 확대, 둘째, 인터넷을 통한 사회참여 활동 기회제공을 위한 시스템 구축마련, 셋째, 디지털기기를 이용한 이체, 송금, 계좌조회, 공인인증서, 세금납부, 각종 민원서류발급, 공과금, 고지서 확인, 각종 복지 및 보조금 신청, 공공서비스 관련 정보검색 등의 업무 능력 향상을 위한 '찾아가는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 확대, 넷째, 인터넷 비이용자들을 위한 교재개발과 체계적인 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교육기관 지원정책 확대, 다섯째, 결혼이민자를 위한 컴퓨터 자격증반의 운영을 활성화를 통한 취업 및 창업의 기반을 지원해주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Considerations of the Library Policy Establishment to Resolve Digital Divide of Older Adults (노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도서관 정책수립의 고려사항)

  • Yoon, Hye-You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8 no.4
    • /
    • pp.77-105
    • /
    • 2017
  • As our society enters an aged society, i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o resolve digital divide of older adults. However, the digital divide of the older adults are generally neglected compared to other information poo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considerations for library policy development in order to resolve the digital divide of the older adults. The study examined regulation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Informatization and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lso it investigated guidelines and current status of services to older adults in the library. The study suggested that public libraries should be used as a basic base for the services to resolve the digital divide to older adults across the country, and the services should be organized systematically and sustainably through public libraries.

A Study on Bridging the Digital Divide of K-12 Students of Multicultural Background (다문화가정 초중등학생을 위한 정보격차해소 방안 연구)

  • Lee, June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2 no.6
    • /
    • pp.41-5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bridging digital divide of the students of multicultural background. Specifically, through maximizing equ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greater intervention and comprehensive strategies in the interests of a socially inclusive information society, of benefit to the IT disadvantaged.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I reviewed a variety of policy reports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issue of digital divid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raw useful implications for the policy change. The major research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 a policy change in a support of personal computer toward public place rather than individual home, widening use of e-learning service as a tool for bridging the digital divide, and the training for teachers and parents to provide an effective education to reduce the digital divide.

  • PDF

A Study on Efficient Policies of solving the Digital Divide for Weak Layers in the Smart Phone Convergence Era (스마트융합시대 취약계층에 대한 정보격차 해소 방안)

  • Kang, Wol-Suk;Yang, Hae-Soo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1
    • /
    • pp.29-38
    • /
    • 2012
  • As smart convergence occurs, solving the digital divide issue for weak layers such as the elderly, handicapped and poor groups is becoming an emerging issue. This study aims to promote information service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weak layers and to bridge the digital divide among those under the digital switchover and the smart phone convergence environments. This study, comparing the environments of Korea and other major countries with respect to digital divide, found some differences and tried to suggest proper policies for Korea to remain as a leading IT country. We expect this study to help the government, industries, schools cope with the divide issues and establish proper policies to provide weak layers with equal opportunities to IT in the coming smart convergence era.

A Study on the way of Informatization Cooper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oward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지능정보사회를 향한 한반도 정보화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 Jin, Sang-Ki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7 no.2
    • /
    • pp.84-105
    • /
    • 2020
  • This paper is designed to deal with the gap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Koreas, which have gradually increased since the Korean W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particular, is to assess the digital and AI gap between the two parts of the peninsula in the emerg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at is rapidly innovating the industrial structures, and to present a cooperation plan for the realization of a peace economy and economic prosperity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uture. In this study, policy alternatives for assessing and bridging the digital gap between South and North were drawn using the comprehensive policy (model) for closing the digital divide, which was one of Korea's past informatization policies. The derived alternative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spark discussions for building the AI-driven society that realizes the integrated economy of the two Koreas complying with the future industrial structure.

A Study on the Resolution of Digital Divide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남북한 정보격차 해소 방안 연구 북한주민 정보화 촉진 방안을 중심으로)

  • Moon, Chun-Sik;Yang, Hae-So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2 no.4
    • /
    • pp.477-484
    • /
    • 2008
  • At the point of time needing intergrated plan in each field for preparing the unific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They show the biggest difference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expecting that cultural difference in various fields cause huge expense after unification and prevent both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from being unified. By the method of Delphi, we can clear the question of the Digital Divide we have more efficiency and systematic policy.

  • PDF

A Study on Digital Divide and Household Income: Focused on PC-based environment (정보화 수준과 소득 수준과의 관계: PC기반 환경을 중심으로)

  • Lee, Hyang-Soo;Lee, Seong-H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11
    • /
    • pp.1-8
    • /
    • 2017
  • Depending on the degree of access to information, social inequalities, especially economic inequalities, can increase. The information gap can lead to an income disparity, leading to an economic disparity. Recently, as we have evolved into a smart environment, our society is in a more complex situation in the digital divide. In the smart environment, unlike the wired Internet based environment based on the existing PC, various media services that are not tied to the transmission means are emerging and the information gap in the smart environment is causing even more serious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formatization level and income of the Korean people based on the information gap index and the results of surveys conducted on the general public in Korea.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income depending on the level of access, utilization,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by the Korean people, a new approach or change is needed in the policy or strategy for resolving the digital divide of the Korean government.In particular, it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consideration and concern for the information alienated group and efforts for the continuous support for the solution of the digital divide. The results show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formatization level of the Korean people and the household incom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 In addi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rend is positive, suggesting that the government needs various informatization policies to increase the informatization level of the general public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