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컴퓨터 과학)교육

Search Result 45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Improvement Sought Through A Study on the State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for Elementary Teachers (초등학교 교사들의 컴퓨터과학 교육 실태 조사를 통한 컴퓨터 교육의 개선방안)

  • Lee, Sung-Rae;Kim, Chul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37-44
    • /
    • 2010
  • 현대 사회는 미래의 지식과 정보의 시대에 대비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컴퓨터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날로 커져가고 있다. 이에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컴퓨터 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연간 34시간 이상 컴퓨터를 교육하도록 명시하고 있지만 가장 기초적이라 할 수 있는 초등학교에서의 컴퓨터 교육이 교사들에 의해 제대로 시행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태를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컴퓨터과학 교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정보통신윤리 개정 지침안에 대한 교사 교육이 의무화되어야 하며, 컴퓨터과학 교수학습 방법 및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기능 연수가 개설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정보통신기술 교재 교사용 지도서가 전문화, 체계화 되어야 한다. 셋째, 컴퓨터과학 교육을 수업 현장에서 쉽게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개발하여 보급해야 한다. 넷째,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 과정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Computer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컴퓨터 과학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외국 컴퓨터 과학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 Choi, Mi-Seon;Jeong, In-Kee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61-68
    • /
    • 2005
  • 지금까지 컴퓨터 교육은 많은 발전이 있어왔고 제 7차 교육과정에서 매주 1시간씩 정보통신 기술교육을 함으로써 교과로서의 컴퓨터교육으로 한걸음 나가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은 정보소양 및 ICT 활용교육에 치중하는 등 많은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의 컴퓨터 교육과정과 관련된 연구를 중심으로 현행 교육의 실태와 컴퓨터 교육의 방향을 파악하고,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을 본질적인 과학으로서 접근한 ACM 교육과정과 인도, 미국 등 외국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며, 외국의 교육과정과 우리나라의 초등 컴퓨터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초등학교 컴퓨터 과학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중등 수학 및 컴퓨터과학 교육에서 컴퓨터 교육의 연결성 및 통합성

  • Jeong, Chi-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303-324
    • /
    • 2000
  • 수학 교육에서 새로운 정보기술의 교육적 사용의 범위는 커지고 교육 모형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중등 수학교육에서의 변화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미국 및 한국의 수학 교육계의 폭넓은 지지를 받는 NCTM의 컴퓨터 및 정보기술 활용에 관한 규준들의 교육적 의미, 방법, 효용 등을 정리하였다. 이어서 컴퓨터과학 교과과정에 포함된 수학 분야에 대한 컴퓨터과학자 Hamming의 견해를 소개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의 중등 교육에도 컴퓨터과학 교과가 시행될 것을 예정하면서 수학 교사들이 미리 컴퓨터과학을 교과과정을 이해함으로 통합 교과적 요소, 특성 그리고 역할 관계를 알아보았다.

  • PDF

Challenges in Science, Mathematics, and Information Convergence Education (과학, 수학, 정보 융합 교육 활성화를 위한 해결 과제)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231-23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과학·수학·정보 융합 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한국의 융합 교육 연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국의 융합 교육이 겪는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과학·수학·정보 융합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해결 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수학·정보 융합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과학·수학·정보 융합 교육 모형 개발과 역량 기반 교육 모델, 교수-학습 및 평가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후속 연구에서는 과학·수학·정보 융합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교육 모델 개발을 진행하여야 한다.

  • PDF

Analysis of UK Computing textbooks for Middle School Informatics Education (중학교 정보 교육을 위한 영국 교과서 분석)

  • Choi, J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129-131
    • /
    • 2015
  • 정보 사회는 컴퓨터 과학이 실생활 뿐 아니라 모든 학문 분야의 기반이 되는 사회이다.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핵심 학문 분야의 인재 양성이 국가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기 때문에 컴퓨터 과학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정보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일환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정보 교육을 필수화하였고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교과서는 학습자의 가장 기본적인 학습 도구가 되는 것으로 어떤 지식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 구성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과학을 인력 양성을 위한 중요한 학문으로 인식하고 정보 교육의 활성화를 추진하여 실천하고 있는 영국의 교과서를 분석하고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Direction of Computer Science for Computer Education (컴퓨터교육을 위한 컴퓨터과학의 연구방향)

  • 신수범;유인환;이태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681-683
    • /
    • 2000
  • 컴퓨터 교육은 다양한 형태로 초.중등 학교 교육에서 확대되어 나가고 있다. 하지만, 초.중등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컴퓨터교육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올바르게 정립되지 않고 있다. 이것은 컴퓨터의 모학문인 컴퓨터과학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미국에서도 이와 같은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컴퓨터과학은 정보처리에 관한 원리를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그 응용분양가 빠르게 변하고 있어 교육과정을 확립하는데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따르지만, 다음과 같은 연구 방향은 초.중등학교 컴퓨터교육의 정상화를 꽤하는데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컴퓨터과학의 기초지식을 명확하게 제시하며, 둘째, 초.중등학교 정보소양 차원에서 필수적인 지식과 기술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셋째, 전문 교과 교육과정에서 실제 필요한 내용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 PDF

Plan the Computer Science Curriculum of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ir Computer literacy levels (고등학교 컴퓨터 교과의 수준별 교육과정 설계)

  • Kim, Ae-Kyung;Kim, Tai-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77-280
    • /
    • 2002
  • 정보과학의 발진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가장 기초적인 정보 과학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현행 중등 컴퓨터 교육은 어떠한 교과보다도 창의적인 자기 주도적 학습 및 개별학습이 필요하다. 컴퓨터 활용을 위한 교육보다는 컴퓨터 과학으로서의 컴퓨터 교육이 필요할 뿐 아니라 학생의 학습환경, 학습동기 및 흥미, 선행학습정도, 교과 수업의 참여도 등에 따라 학생 개개인의 능력 차이를 고려한 학습자의 개인의 학습능력에 맞는 수준별 교육이 필요하다. 고등학교 컴퓨터 교과 교육에서의 컴퓨터 과학으로서의 교육효과를 위해 학습자 학습 능력에 맞는 교육과정을 설계하였고 보충학습과 심화학습을 위한 자기 주도적 학습 방법인 웹에서의 학습 방법을 도입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 PDF

초중등과정에서의 컴퓨터과학교육의 역할과 필요성

  • 이원규;정효숙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22 no.5
    • /
    • pp.31-34
    • /
    • 2004
  • IT 인력개발은 일반적으로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에 대한 교육을 중심으로 대학교육에 국한되어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IT 환경의 변화나 관련 기술의 발달은 대학교육에서의 컴퓨터과학에 관한 교육체계의 변화만으로는 부족한 IT 인력의 양성이나 사회전반에 걸친 막대한 컴퓨터교육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게 한다. 우리 나라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컴퓨터교육 관련 전문가들이 좋은 방향을 제시하고 개선책을 발표하는 등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A Study on the Appropriate Course of Elementary Computer Education for the Information Society in Future (미래 정보 사회에 적합한 초등 컴퓨터 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 Jun, Soo-Jin;Han, Sun-G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87-9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미래 정보 사회에의 핵심인 정보교육에 적합한 컴퓨터 교육의 방향을 초등교육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 문헌연구를 통해 정보사회에서의 컴퓨터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을 살펴보고, 현재 7차 교육과정에서의 컴퓨터 교육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또한, ACM과 IEEE의 컴퓨터 과학 분야의 교육과정 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초등 컴퓨터 교육에서의 교육과정의 방향을 수학적, 과학적, 사회적, 철학적, 통합적 관점으로 고찰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초등 컴퓨터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8차 교육과정의 개편에 있어서 컴퓨터 교육의 발전에 도움을 주리라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Curriculum for Problem Solving Field in the Computer Science of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컴퓨터과학 교육과정 '문제 해결' 영역 개선에 관한 연구)

  • Jeong, InKee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0 no.2
    • /
    • pp.17-26
    • /
    • 2007
  • Since 2001, we have taught computer in elementary school to become the advanced country of IT in the 21C. However, it is criticized that the contents of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are weak because they are not the computer science but mainly the computer skills. In 2005, "ICT Education Guide Revision" is published. Thereafter, the curriculum has systematic frame because of the addition of the contents of computer science. However, the curriculum for improving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which is one of the abilities of human in the information society is somewhat defective. Therefore, in this paper I analysed the curriculums of problem solving field in elementary school level of some countries and proposed the revised curriculum of problem solving field of elementary computer science cour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