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밀도 검증

Search Result 1,40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est of MMC HVDC Control System using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HILS를 이용한 MMC HVDC 제어 시스템 시험)

  • Lee, Dong-Gyu;Lee, Jun-Chol;Choi, Jong-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339-34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HVDC 제어 시스템의 기능 검증을 위해 구축한 RTDS 기반의 HILS(Hardware-In-the Loop Simulation)시스템 및 시험 결과를 소개하였다. MMC 기반 VSC HVDC는 다수의 직렬 연결된 SM(Sub-Module)을 개별 제어해야 하므로 기존의 LCC HVDC 및 2/3-Level 컨버터 기반의 VSC HVDC와 같은 설비들보다 훨씬 더 복잡한 VBE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짧은 시간 내에 정밀한 제어가 가능해야 하므로 높은 제어 정밀도가 요구된다. (주)효성에서는 제어 시스템의 성능 검증을 위해 RTDS 기반의 HILS(Hardware-In-the Loop Simulation)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HVDC 제어 시스템의 성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구축된 RTDS 기반의 HILS 시스템 및 시험 결과를 소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MULTI-CHANNEL PHOTOELECTRIC PHOTOMETER USING OPTICAL FIBER (광섬유를 이용한 다중채널 광전측광기 개발)

  • 이우백;김호일;문일권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10 no.1
    • /
    • pp.94-102
    • /
    • 1993
  • We have develped a four-channel photoelectric photometer for the 61cm telescope of Sobaeksan Astronomy Observatory using optical fiber. We observed a standard star with each channel to check the efficiency difference between the channels, and found no differences. To calibrate the observing accuracy and efficiency, we have observed a short period W UMa type eclipsing binary star, BV Dra. Test observations show that the photometer is very stabel and the accuracy of the data is also increased. The observing efficiency is very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single channel photometer ; at least five times faster than older one in the case of one filter observation.

  • PDF

Analysis on 3D Positioning Precision Using Mobile Mapping System Images in Photograrmmetric Perspective (사진측량 관점에서 차량측량시스템 영상을 이용한 3차원 위치의 정밀도 분석)

  • 조우석;황현덕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9 no.6
    • /
    • pp.431-445
    • /
    • 2003
  • In this paper, w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precision of 3D positioning using 4S-Van images in photograrmmetric perspective. The 3D calibration target was built over building facade outside and was captured separately by two CCD cameras installed in 4S-Van. After then, we determined the interior orientation parameter for each CCD camera through self-calibration technique. With the interior orientation parameter computed, the bundle adjustment was performed to obtain the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simultaneously for two CCD cameras using calibration target image and object coordinates. The reverse lens distortion coefficients were computed and acquired by least squares method so as to introduce lens distortion into epipolar line. It was shown that the reverse lens distortion coefficients could transform image coordinates into lens distorted image coordinates within about 0.5 pixel. The proposed semi-automatic matching scheme incorporated with lens distorted epipolar line was implemented with scene images captured by 4S-Van in moving.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ecision of 3D positioning from 4S-Van images in photograrmmetric perspective is within 2cm in the range of 20m from the camera.

Technical Trends of GNSS Signal Generator (위성항법 신호생성기 기술 동향)

  • Kim, T.H.;Sin, C.S.;Yom, I.B.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3
    • /
    • pp.98-106
    • /
    • 2017
  • GPS 등과 같은 위성항법 시스템은 정밀한 시각동기가 요구되는 동기식 이동통신망, 전력망, 금융망과 같은 분야와 사용자의 정밀한 위치를 요구하는 차량 내비게이션, 항공기 및 자동차, 측지 측량분야는 물론 향후 드론 및 자율주행 차량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그 활용도가 증가될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에서는 기본적으로 위성항법 칩셋이 내장되어 사용자 위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듯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위성항법 수신 칩셋 또는 수신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을 다양한 환경에서 검증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검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위성항법 신호생성기의 국외기술 동향을 살펴보고, 미래부 출연사업인 GNSS 전파교란 검증플랫폼 과제를 통해 개발된 GNSS 전파혼신 신호발생장치에서 확보한 실제 GPS 신호와 동기를 유지한 신호생성기술 개발 현황을 소개한다.

Development of CAM system for high speed cutting simulation in automobile part die (자동차 부품금형의 고속모의 가공용 CAM시스템 개발)

  • 장동규;김준형;양균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7.04a
    • /
    • pp.822-826
    • /
    • 1997
  • 근래에 들어, 금형생산 시간의 단축과 고정밀도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실가공전의 설계단계에서 금형 데이터를 수치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저가형 CAM시스템에서 사용된 경로표시법으 로는 이러한 검증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며 모의가공 형상의 표현에서도 비매 개변수형 곡면을 이영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3축 금형가곡에 사용되는 볼앤드밀, 평 엔드밀 공구에 대해 Z-map을 기반으로 절삭부위를 비매개변수형 곡면으로 모델링하여 모의가공을 수행하 고자 한다. 또한, 새로운 backeting영역지정 방법을 사용하여 모의가공의 효율을 높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