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맥로 확보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8초

구급차 내에서 수행한 구급대원의 정맥로 확보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intravenous access of paramedics in ambulances)

  • 김진현;심규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77-18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구급차의 주행조건에 따른 구급대원의 정맥로 확보 시도 횟수를 분석하여 신속한 정맥로 확보를 위한 주행 기준을 제시하고, 실험 전 후 자신감 변화를 비교해 구급대원의 정맥로 확보 자신감을 높이는데 있다. 연구기간은 2017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이고, 연구 대상은 119 구급대원 30명(1급 응급구조사 20명, 간호사 10명)으로 구급차 주행 조건을 6가지(정차 구간, 평지 구간, 비포장 구간, 과속 방지턱 구간, 곡선 구간, 경사로 구간)로 설정하여 정맥로 확보 시도 횟수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정차 구간과 평지 구간 주행조건에서는 시도 횟수차이가 없었고(p=.161) 비포장(p=.003), 과속 방지턱(p=.005), 곡선(p=.022), 경사로(p=.003)구간 주행조건에서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발생했다. 실험 전 후 자신감은 실험 후 자신감이 유의하게 상승(p=.000)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주행 중 구급차 내에서의 신속한 정맥로 확보를 위해서는 차량을 정차시키거나 평지를 주행할 때 시도하는 것을 권장하며,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정맥로 확보 자신감을 유지시켜야 할 것이다.

방사선사 직무에서 조영제 정맥 주입 행위에 대한 인식도 분석 (Analysis Perceptions of Intravenous Injection Behavior of Contrast Medium in Radiological Technologists' Task)

  • 강중호;성열훈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3-63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방사선사의 조영제 정맥확보 및 주입에 대한 직무 인식도를 분석하여 미래인력 대응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임상의 방사선사 총 172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특성, 직무 우선 순위, 방사선사의 조영제 정맥확보 및 주입에 대한 인식도로 구성된 측정도구로 설문조사하였다. 통계분석은 기술통계, 빈도 분석, 독립표본 T-test 검정, ANOVA 분석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현재 임상 방사선사는 방사선사의 미래인력 대응안으로 정맥확보 및 조영제 주입 행위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한 업무 가중성은 낮게 평가하였다. 둘째, 정맥확보 및 조영제 주입 행위에 대한 두려움은 유의한 차이를 보여 모든 방사선사의 직무보다는 선택적인 직무 행위로 수행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방사선사의 정맥확보 및 조영제 주입 행위에 대한 교육과정 및 면허증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어 이에 대한 구체적인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 넷째, 방사선사의 정맥확보 및 주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국민 의료서비스 향상과 방사선사 전문성 강화 및 직무 확장의 토대로 기대할 수 있다.

중증 혈우병 항체 환자에서 시행한 말초삽입 중심혈관 카테터의 유용성 (Availability of peripheral inserted central catheters in severe hemophilia patients with inhibitors)

  • 박영실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2호
    • /
    • pp.1359-1362
    • /
    • 2008
  • 혈우병 환자에서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침은 응고 인자의 보충으로, 그를 위해 안전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정맥 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중심 정맥으로의 port는 전신 마취와 일정한 입원이 필요하고, 혈우병 환자에서 시행할 경우 보험 삭감의 문제도 있다. 본 저자는 두 명의 중증 혈우병 항체 환자에게 말초 삽입 중심 정맥관을 삽입하였다. 환자들은 잦은 출혈 소견 때문에 응고 인자를 투여 받았으며, 그로 인하여 혈관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환자 나이는 7세와 11세였다. 제 8 응고 인자 활성도는 모두 1% 이하였으며, 제 8 응고 인자 항체 수치는 각각 160과 26.3 BU/mL였다. 말초 삽입 중심 정맥관은 초음파 인도 하에, 외래에서, 국소 마취로 쉽게 삽입되었다. 말초 삽입 중심 정맥관 삽입은 잦은 출혈을 보이는 혈우병 환자에게 사용해 볼 수 있는 방법이다.

손금과 정맥혈관 패턴매칭을 이용한 비접촉 출입 보안시스템 설계 (Design of a Contactless Access Security System using Palm Creases and Palm Vein Pattern Matching)

  • 김기중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27-334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라즈베리파이 기반으로 손바닥 정맥혈관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950nm파장을 가지는 근적외선 LED 광원 장치와 손금을 획득하기 위한 백색 LED 광원 장치를 가지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획득한 정맥 및 손금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 전처리 과정(흑백화, 평활화, 이진화, 블러링, 세선화 등)을 통하여 정맥과 손금이 혼합된 위조 방지 및 보안이 강화된 고유 패턴이 추출 가능한 영상처리 기술을 구현하여 보안성이 강화된 시스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원천 기술을 확보하였다.

관상정맥동 유입부 폐쇄를 동반한 좌심형성부전 증후군 환자의 Norwood 수술 중 좌상대정맥 절단 후 발생한 저박출증 - 1예 보고 - (Low Cardiac Output after Division of the Left Superior Vena Cava during a Norwood Operation for Hypoplastic Left Heart Syndrome in a Patient with Coronary Sinus Orifice Atresia -A case report-)

  • 최은석;김웅한;박성준;곽재건;서정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2호
    • /
    • pp.161-163
    • /
    • 2010
  • 좌심형성부전 증후군을 진단 받은 여자 아이가 생후 12일에 Norwood 수술을 받았다. 수술 중 우연히 발견된 좌상대정맥은 수술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절단하였다. 수술 후 점진적인 저박출증을 보인 환아는 수술 후 7시간 째 사망하였다. 부검 결과 관상정맥동 유입부가 폐쇄되어 있고, 관상정맥동과 심방 사이에 교통이 없었으며, 좌상대정맥이 관상정맥동 혈류의 유일한 통로였다. 수술 중 우연히 좌상대정맥이 발견된 환자에서, 좌상대정맥이 심장 정맥혈류의 유일한 통로일 수 있으므로 좌상대정맥을 보존해야 한다.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요인 (The Effect Factors of Survival rate in the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 조병준;김선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60-766
    • /
    • 2014
  • 본 연구는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비교분석하여, 심정지환자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2010년 일개 도에서 119 구급대가 이송한 18세 이상 심정지 환자 4,092명으로 하였고, 구급일지와 심폐정지환자 응급처치 세부상황표, 인명소생 추천서를 유스타인 형식 조사지에 기록하였다. 연구결과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산소공급, 기도유지, 정맥로 확보, 병원도착 소요시간, 현장처치시간, 발생장소, 일반인에 의한 심폐소생술, 동승 구급대원의 자격, 자발순환 회복장소 등이었다. 결론적으로 심정지 환자에 대한 119 구급대의 응급처치는 생존율을 유의하게 높였다. 조기 제세동, 산소공급, 기도유지, 정맥로 확보 등 병원전 응급처치가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119 구급대 중 1급 응급구조사의 인원증가를 위한 정책을 제정하고, 119 구급대의 응급처치 시행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개선해야겠다.

도관으로 사용된 심부정맥 (Deep Vein as a Graft Conduit)

  • 이길수;천성빈;오원섭;류세민;이봉기;김형래;김근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4호
    • /
    • pp.441-446
    • /
    • 2010
  • 이상적인 도관은 직경이 커야 하고, 조직 독성이 적으며 감염에 강하고 장기 성적도 좋아야 한다. 대복재정맥은 실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만족할 만한 혈류를 위해서는 때때로 시간을 기다려야 할 필요가 있다. 저자들은 단시간 내 적절한 혈류확보를 위한 생체도관으로서 표재성 대퇴정맥을 사용한 2예를 보고한다.

총상에 의한 간 후부 하대정맥 손상 - 1예 보고 - (Retrohepatic Inferior Vena Cava Injury by Gunshot - A case report -)

  • 유동곤;박종빈;최건무;정화성;김종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1호
    • /
    • pp.124-127
    • /
    • 2008
  • 외상에 의한 하대정맥의 손상은 사망률이 매우 높으며, 1970년대 이후로 사망률의 개선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특히 간 후부 하대정맥의 손상은 사망률이 대개 75% 이상이며, 이는 시야확보와 지혈 등의 수술적 어려움에 기인한다. 하대정맥 손상 환자의 생존은 손상의 심한 정도와 해부학적 접근가능성 등과 연관이 있다. 총상에 의한 간 후부 하대정맥 손상환자의 수술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경구진정 실패 후 피부 도포마취제를 사용한 정주진정으로의 전환 치료 (CONVERTING FROM ORAL SEDATION TO INTRAVENOUS SEDATION USING TOPICAL ANESTHETICS ON SKIN AFTER ORAL SEDATION FAILURE)

  • 이은희;김승오;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13-217
    • /
    • 2010
  • Chloral hydrate와 hydroxizine을 이용한 경구진정법은 적용대상의 나이와 체중에 따라 제한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경구 진정법은 36개월 미만, 체중 15 kg 미만의 환아에서 가장 좋은 진정 효과를 보인다. 그러나 36개월 이상 또는 15 kg 이상의 환아에 대해서는 경구진정법이 적절한 진정 효과를 얻는데 한계를 가지며, 얕은진정으로 인해 시술 중 잦은 움직임을 보여 쉽게 진정에 실패하게 된다. 진정 실패 시 고려 할 수 있는 대안은 추가적인 약제 투여로 인한 재진정의 유도나, 좀 더 깊은진정 법으로의 전환이 있다. 그러나 깊은진정법으로의 전환은 환아의 움직임과 동통의 감소를 위해 흡입마취제 및 마취기계가 요구되어 외래 진료실에서는 쉽게 선택되지 못한다. EMLA cream(Eutectic Mixture of Local Anesthesia)은 피부의 도포마취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제로 본 증례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자극 없이 정주진정 경로를 확보하여 경구진정에서 정주진정으로의 전환에 성공하였다. 만 46개월, 체중 15 kg 남아가 다발성 우식을 주소로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일반적인 행동조절 하에 치료 권유하였으나 보호자의 요구에 의해 경구진정 시도하였으며, 경구진정 실패를 고려하여 복용 전 EMLA cream을 사전 도포하였다. 경구 복용 90분 경과 뒤에도 진정효과를 얻지 못하여 보호자의 동의하에 아산화질소를 이용하여 얕은진정 유도 후, EMLA cream 도포 부위에 정맥로를 확보하였다. 총 시술 시간 2시간 30분으로 특별한 부작용 없이 성공적으로 시술을 완료하였다.

119 구급대 편성 인원에 따른 중증외상환자의 병원 전 응급처치 실태 분석 (An Analysis of Prehospital Care for Major Trauma Patients depending on the number of 119 Ambulance Crews)

  • 김종호;이효주;임용덕;한인득;이재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500-506
    • /
    • 2018
  • 본 연구는 119 구급대 편성 인원에 따른 중증외상환자의 병원 전 응급처치 실태를 분석하고자 2015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J도 소속 119 구급대원에 의해 이송된 중증외상환자 1,067명 중 438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발생한 중증외상환자는 성별로는 남성이 2인 및 3인 구급대에서 각각 242명(70.6%), 66명(69.5%)으로 더 많은 빈도를 보였으며, 이들 환자가 이송된 의료기관별로는 지역응급의료센터로 이송된 비율이 각각 44.0%(151명), 49.5%(47명)로 가장 높았다. 119 구급대 편성 인원에 따른 현장 체류시간은 2인 및 3인 구급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071), 전문기도유지술 및 정맥로 확보 시행빈도, 정맥로 확보 성공률에서도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53, p=0.362, p=1.000). 본 연구 결과 단순한 양적 충원만으로는 중증외상환자의 병원 전 처치에 대한 질 향상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전문 인력의 확보와 함께, 직접의료지도의 단순화 및 간접의료지도의 활성화, 법적 업무범위의 확대 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