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맥내 투여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5초

개에서 Medetomidine 진정에 대한 Yohimbine의 길항작용 (Medetomidine Sedation and Its Antagonism by Yohimbine in Dogs)

  • 허경희;이재연;최경하;조진행;박창식;김명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43-347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개에 있어서 medetomidine에 대한 yohimbine의 길항효과를 알아 보는데 있다. 총 6 마리의 잡종견 (수: 4 마리, 암: 2 마리)을 본 연구에 2주일의 휴약기간을 두고 반복실험을 하였다. 개들의 평균 연령은 4.3세 (2-6세) 이였고, 평균체중은 3.8 kg (2.7-4.6 kg) 이였다. 그룹 M은 대조군으로서 medetomidine을 $40\;{\mu}g/kg$ 용량으로 근육 내 투여하고 15분 후에 saline을 0.2 ml/kg 용량을 정맥 내로 투여하였다. 그룹 MY는 실험 군으로서 medetomidine을 $40\;{\mu}g/kg$ 용량으로 근육 내 투여하고 15분 후에 yohimbine을 0.11 ml/kg 용량을 정맥 내로 투여하였다. 마취시간에 대한 평가로 induction time, sternal time, standing time과 walking time을 측정하였다. Vital signs으로서 심박동수, 호흡수와 직장체온을 측정하였으며, 혈액화학 치로서 glucose, total protein, ALT와 AST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medetomidine 투여 후 서맥과 호흡저하를 보였으나, yohimbine 투여 후에는 심박수의 증가와 호흡수의 증가를 나타냄으로써 yohimbine이 medetomine으로 유발된 호흡저하와 서맥을 길항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Medetomine 투약 후 yohimbine을 투여한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흉와시간, 기립시간과 보행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키는 영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개에서 yohimbine은 medetomidine에 대한 양호한 길항작용을 나타내었다.

오인된 심부 정맥 혈전증에 대하여 항응고제 투여 후 발생한 급성 구획 증후군 (Acute Compartment Syndrome after Anticoagulant Therapy to Misdiagnosed Deep Vein Thrombosis)

  • 황석하;전호승;우영균;임성태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77-181
    • /
    • 2019
  • 급성 구획 증후군은 정형외과적 응급 질환이며, 구획 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비가역적인 조직의 괴사를 유발한다. 이것은 기능적 장애, 하지의 손실 및 심할 경우 신 기능 저하를 유발하여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 환자가 초기에 통증과 종창을 호소하는 경우 심부 정맥 혈전증과 유사하여 두 질환 간의 감별이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마사지 후 좌측 하퇴부의 통증과 종창을 보이는 환자를 심부 정맥 혈전증으로 오인하였고 항응고제를 투여하여 발생한 급성 구획 증후군에 근막 절개술을 시행하였고 만족스러운 치료 결과를 얻었으며, 문헌 고찰과 함께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The comparison of blood-brain barrier permeability of free radical scavengers, PBN and its derivatives in rat

  • Lee, Na-Young;Kang, Young-Sook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92-92
    • /
    • 2001
  • ICAP법을 이용하였을 때 뇌내 약물량은 SS20-0098은 PBN보다 4.5배 큰 값을 나타내었고 정맥투여 후 2시간에서의 뇌내 약물량은 SS20-0098과 PBN이 거의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PBN과 SS20-0098은 octanol partition 계수(log P)가 각각 1.23, 2.26로 지용성인 큰 SS20-0098이 혈액 내에서 대사를 저지시키는 방법으로 투여되었을 때는 비교적 더 많은 양이 뇌로 이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Cimetidine의 Theophylline 약동학 및 대사과정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Cimetidine on Theophylline Disposition and Metabolic Pathways)

  • 장인진;이선희;신재국;신상구;박찬웅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3-90
    • /
    • 1990
  • Cimetidine이 theophylline의 약동학적 특성과 대사과정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코자 6마리의 개를 대상으로 일주일간 정맥내 cimetidine(30mg/kg/day)투여 전후에 단일 용량의 정맥투여에 따른 theophylline의 약동학적 parameter 및 뇨중 theophylline 대사물 배설의 변화를 교차 실험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대조실험에 비해 cimetidine투여후 theophylline의 청소율은 평균 31%(P<0.05)감소하였고 혈장반감기는 29%(P<0.01)연장되었다. 그러나 steady-state의 분포용적 및 혈장 단백 결합의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Theophylline의 주 대사물인 3-methylxanthine, 1-methyluric acid 및 1,3-dimethyluric acid의 24시간 뇨증 배설량은 cimetidine투여후 모두 감소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아니었으며 개별대사물의 배설 분획은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cimetidine이 theophylline의 demethylation과 8-hydroxylation대사과정 모두를 비선택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청소율을 감소시키고 반감기를 증가시킬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alpha}_1-Adrenoceptor$ Agonist로서의 Oxymetazoline -가토혈압(家兎血壓) 상승작용(上昇作用)- (Oxymetazoline as an ${\alpha}_1-Adrenoceptor$ Agonist -A pressor effect in the rabbit-)

  • 박영태;최수형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9-67
    • /
    • 1982
  • 1) 여러가지 말초(末梢) 조직(組織)에서 ${\alpha}_1-adrenoceptor$의 agonist로 알려져 있는 oxymetazoline의 측뇌실내(側腦室內) 투여(投與)는 urethane마취가토(麻醉家兎)의 혈압상승(血壓上昇)을 일으켰다. 이 상승(上昇)은 guanethidine, chlorisondamine처리(處理)로 거의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고, phenotolamine, guanethidine과 chlorisondamine 또는 부신결찰(副腎結紮)과 guanethidine처리하(處理下)에서는 억제(抑制)되었다. 2) 측뇌실내(側腦室內) oxymetazoline에 의한 혈압상승(血壓上昇)은 측뇌실내(側腦室內) prazosin투여후(投與後)에는 현저(顯著)히 감약(減弱)되었으나 yohimbine 및 piperoxan의 영향(影響)은 받지 않았다. 3) Reserpine처리(處理) 가토(家兎)에서도 측(側) 뇌실내(腦室內) oxymetazoline은 혈압(血壓) 상승(上昇)을 일으켰으며, 이도 측(側) 뇌실내(腦室內) prazosin투여후(投與後)에는 현저(顯著)히 감약(減弱)되었으나 yohimbine의 영향(影響)은 받지 않았다. 4) 전신마취(全身麻醉) 가토(家兎) 및 척수가토(脊髓家兎)에서 정맥내(靜脈內) oxymetazoline은 혈압상승(血壓上昇)을 일으켰으며 이 상승효과(上昇效果)에 대(對)한 정맥내(靜脈內) ${\alpha}_1-adrenoceptor$ antagonist의 길항능력(拮抗能力)은 prazosin, phentolamine, yohimbine의 순(順)으로 강(强)하였다. 5) 본(本) 실험성적(實驗成績)은 oxymetazoline이 혈압조절(血壓調節)에 관여(關與)하는 가토(家兎) 뇌조직(腦組織) 및 가토(家兎) 혈관근(血管筋)에서는 ${\alpha}_1-adrenoceptor$ agonist로 작용(作用)함을 가리키고 있다.

  • PDF

개에서 Alfaxalone과 Remifentanil의 병용 지속주입 마취법 비교 평가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with Alfaxalone and Remifentanil in Dogs Premedicated with Xylazine or Acepromazine)

  • 홍영옥;윤성호;이현;권영삼;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28-434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xylazine 혹은 acepromazine으로 전마취된 비글 견에서 alfaxalone과 remifentanil의 병용 지속주입 마취법을 비교 평가 하였다. 10마리의 비글견을 각 5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었다. AAR군에서는 마취 유도 15분전에 acepromazine 0.02 mg/kg을 정맥 내 투여하였고 XAR 군에서는 마취 유도 5분 전에 xylazine 1.1 mg/kg을 정맥 내 투여하였다. Alfaxalone 2 mg/kg을 정맥 투여하여 마취를 유도하였으며, 6 mg/kg/hr의 alfaxalone과 0.05 ${\mu}g/kg/min$ remifentanil을 각각 정맥 내 지속주입하여 마취를 유지하였다. Bispectral index (BIS)는 마취 후 모든 시점에서 마취전과 비교해 감소하였으며 마취 중 급격한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마취기 동안의 BIS와 근전도 값은 XAR군이 AAR군에 비해 확연히 감소되었다. Xylazine 혹은 acepromazine으로 전처치한 개에서 alfaxalone 과 remifentanil의 병용 지속주입 마취법은 적절한 진통작용을 나타내었다. XAR군에서는 호흡계 기능 저하가 있었고 AAR군에서는 빈맥이 유발되어 마취법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나 임상에서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고위험 극소저체중 출생아에서 fluconazole 예방요법 (Fluconazole prophylaxis in high-risk,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김수영;이순주;김미정;송은송;최영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7호
    • /
    • pp.636-642
    • /
    • 2007
  • 목 적 : 면역력이 약한 미숙아나 저체중 출생아에 여러 가지 침습적 조작으로 인한 항생제 사용이 진균 감염, 특히 칸디다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fluconazole 예방요법이 칸디다 감염율과 사망률을 감소시켰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1,500 g 미만의 극소저체중 출생아들에 대한 예방적 항진균제 사용이 칸디다 감염의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전남대학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1,500 g 미만의 극소저체중 출생아 중 기관내 삽관이나 제대 동정맥 또는 경피적 중심정맥 삽입술을 받은 환아로, 예방적으로 항진균제를 사용하지 않았던 2005년 1월 1일부터 2005년 7월 31일까지 7개월간의 환아를 'fluconazole 비사용군'으로, 사용하였던 2006년 1월 1일부터 2006년 7월 31일까지 7개월간의 환아를 'fluconazole 사용군'으로 하였다. 사용군 29명, 비사용군 28명을 대상으로 진균 감염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임상특성과 칸디다 감염증의 발생빈도, 사망률 및 fluconazole의 약물 부작용을 관찰하였다. Fluconazole은 생후 첫 3일에 시작하여 4주간 예방적으로 투여하였으며 시행 첫 1주일은 체중(kg)당 3 mg을 3일 간격으로, 그 다음 주부터는 격일로 투여하였다. 결 과 : 두 군 사이에 재태주령, 출생체중, 성별, 쌍생아, 분만방식에 차이는 없었다. 산과적 인자인 장기 조기 양막파수, 융모양막염 및 산전 스테로이드 사용 빈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신생아 칸디다 감염증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1,000 g 미만 초극소저체중 출생아 빈도와 예방적 항생제 사용, 총정맥내 영양요법, 제대동정맥 삽입술 빈도와 유지기간, 지방유제 투여기간 및 기관내 삽관과 지속적 양압환기 사용기간에 두 군간 차이는 없었으나, 비사용군에 비해 사용군이 경피적 중심정맥 삽입술과 지방유제 사용빈도가 높았고 경피적 중심정맥관 유지기간이 길었다. Fluconazole 사용군과 비사용군 간에 진균감염의 빈도와 사망률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사용군에서 Malassezia 진균혈증이 5명 발생하였지만 칸디다 감염은 1명도 발생하지 않아 비사용군 5명(칸디다혈증 3명, 침습성 칸디다증 2명)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결 론 : 극소저체중 출생아에서 fluconazole의 예방적 투여가 칸디다 감염의 발생빈도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아 비용-효과 면에서 항진균제의 예방적 투여가 고려될 수 있겠으나, Malassezia 진균혈증의 증가 원인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암로디핀이 레파그리니드의 약물동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mlodipine on the pharmacokinetics of Repaglinide)

  • 최동현;최준식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5-223
    • /
    • 2011
  • 암로디핀과 레파그리니드의 병용은 당뇨병의 합병증으로인한 고혈압 유발 시 병용 처방될 수 있다. 암로디핀과 레파그리니드의 약동학적 상호작용 연구를 위하여 암로디핀 (0.1 및 0.4 mg/kg) 과 레파그리니드를 흰 쥐에 경구(0.5 mg/kg) 및 정맥 (0.2 mg/kg) 투여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암로디핀이 cytochrome P450 (CYP) 3A4 활성과 P-glycoprotein (P-gp)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도 평가하였다. 암로디핀의 CYP3A4의 50% 효소활성억제는 $9.1{\mu}M$ 이었다. 암로디핀은 P-gp의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암로디핀 (0.4 mg/kg)은 레파그리니드의 혈장곡선하면적(AUC)과 최고혈장농도 ($C_{max}$)를 40.2% 와 22.2% 각각 유의성 (p < 0.05)있게 증가시켰다. 따라서, 레파그리니드의 상대적생체이용률 (RB)은 암로디핀과 병용투여 시 1.18-1.40 배 증가되었으며, 또한 레파그리니드의 절대적생체이용률(AB)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41.0%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다. 경구 투여 시와는 대조적으로, 암로디핀은 정맥 내로 투여된 레파그리니드에서는 약동학적 파라미터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암로디핀이 레파그리니드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킨 것은 신장배설 감소 또는 P-gp 활성억제 보다는 암로디핀이 소장 또는 간장에서 CYP3A4을 억제시켰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암로디핀과 레파그리니드의 병용투여 시 레파그리니드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사료된다.

Permeation of Ranitidine through the Intestinal Membrane : Site-, pH- and Concentration-dependency

  • Kim, Ok-Nam;Gordon L. Amido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제3회 추계심포지움
    • /
    • pp.157-160
    • /
    • 1995
  • 라니티딘은 최근 위궤양 및 십이지장 궤양의 치료에 통상적으로 많이 처방되는 히스타민 H$_2$ receptor antagonist로 작용하는 약물이다. 이 약물의 Pharma-cokinetics에 대해서는 동물 및 사람에 있어서 이미 많은 연구가 되어 있다(1-4). 수용성 약물인 라니티딘은 정상인에 있어서 경구투여 후 흡수가 신속하나 불완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경구투여 후 개개인에 따른 처고 혈중농도(Cmax)가 상당히 큰 차이를 보이며, 생체내 이용률(Bioavailability)은 평균 50% 이나 최저 27%에서 최고 88%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위를 보이고 있다. 더욱이 공복 시 경구투여 하거나(5-8), jejunum에 직접 bolus 투여후(9) 혹은 심지어는 정맥주사후의 경우(10)에도 소위 'double-peak phenomenon'이라고 불리 우는 최고 혈중농도에 있어서 bimodal pattern을 나타낸다. 이처럼 highly variable한 약물들은 생물학적 동등성(Bioequivalence) 측면에서 제제를 평가할 때 상당히 중요하고도 어려운 과제이므로, 현재 세계적인 issue가 되고 있다.

  • PDF

Vincristine을 이용한 진도견의 전파성 생식기 육종 치료 (Vincristine Therapy for Canine Transmissible Venereal Tumor in a Jindo Dog)

  • 임채웅;조성진;송주영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14-218
    • /
    • 1998
  • 2세의 암컷 진돗개가 3개월간 혈액성 질분비물과와 외음부 종창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질에 형성된 종괴는 조직병리학적 검사로 개 전파성 생식기 육종으로 진단되어 vincristine sulfate$(0.5 mg/M^{2})$을 1주 간격으로 3회 정맥주사를 실시하면서 혈액, 병리조직 검사 를 병행하였다. 종괴의 크기는 투여 후 1주부터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조직소견상 종양세포는 세포질의 공포변성, 핵농축 및 붕괴, 혹은 apoptosis가 관찰되었다. 4주째 종괴는 완전히 소실 되어 치료를 중단하였고 혈액학적 검사 결과 부작용은 없었다. 마지막 투여후 10주째 건강한 새끼 4마리를 자연 분만하여 개 전파성 생식기 육종에서 vincristine 단독 투여로 우수한 치료 효과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