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량적

Search Result 13,371,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A Case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IT Investment Performance (IT 투자성과의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평가의 상관관계에 관한 사례연구)

  • Lee, Jae-Beom;Hong, Yu-Jin;Chang, Yun-Hi;Kim, S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683-692
    • /
    • 2006
  • IT투자 성과의 정량화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많은 학계와 연구단체에서 IT투자 성과의 화폐가치 전환 및 정량적 평가를 위한 다양한 측정방법들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이들 기법을 활용하여 IT투자 성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기업들이 점차 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IT투자성과의 정량적 평가 기법을 도입한 기업의 실무자들은 화폐가치로 전환되어 도출된 결과들이 가시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IT가 제공하는 실 효과를 제대로 반영하여 평가되었는지에 대하여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IT투자 성과의 정량적 평가 결과를 기존의 많은 연구를 통해 IT투자 성과의 정성적인 평가로 입증된 사용자 만족도로써 설명이 가능한지를 사례 기업의 정량적 평가결과와 사용자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사례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정보화 효과금액은 사용자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합리적인 정보화효과금액의 도출을 위해서는 조직 내에서 시스템의 효과를 정량화할 수 있는 지표 개발 및 화폐전환데이터의 관리가 중요하다. 셋째, IT ROI는 시스템간의 성과를 비교하는 것에는 부적절하며 개별시스템의 성과 및 효율성 측정 기준으로 사용한다. 넷째, 정량적 평가가 여전히 시스템의 전략적인 부분 등에 대한 평가에는 미흡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 만족도의 사용이 가능하다.

  • PDF

Analysis of software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 using ISO/IEC 25023 (ISO/IEC 25023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정량적 평가지표 분석)

  • Kim, Suwook;Park, Yoo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1
    • /
    • pp.7-12
    • /
    • 2019
  • Variety of companies which carry out R&D projects supported by government are proposing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 business plans. However, Many companies have difficulties in aspects of selecting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 and in some cases they have troubles to get results from selecting unsuitable evaluation index. First of all, both methods of gathering the data to be analyzed and the products which are tested by the accredited testing institutes classifying by industrial sectors are classified as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 selected by the company according to the eight quality characteristics of ISO/IEC 25023 Standard. Second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es classified into eight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ISO/IEC 25023 standard, the tendency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es selected mainly by the companies will be understandable. It is hopefully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to select a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 to evaluate the quality of software products.

Uncertainty analysis of quantitative rainfall estimation based on weather radars (기상레이더 기반 정량적 강수추정에서의 불확실성 분석)

  • Lee, Jae-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3-23
    • /
    • 2017
  • 기상레이더는 강우량을 바로 추정하지 못하는 특성으로 인해 정량적 강우산출 과정 중에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불확실성 발생 요소가 존재하나 이를 정량화하고 저감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원인을 살펴보면, 첫째, 기상레이더의 관측에서부터 정량적 강우량 추정까지 일련의 과정에 대한 포괄적으로 불확실성 정량화와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며, 둘째, 전체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되는지 제시하지 못하므로 각 단계별 불확실성이 전체 불확실성 대비 어느 정도 비율이 되는지 제시하지 못한다.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들은 불확실성을 줄이고자 여러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어느 정도 효용성이 있는지 불확실성 측면에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aximum Entropy(ME)와 Uncertainty Delta Method(UMD)를 이용한 접근방법을 제안하여 기상레이더를 활용하여 정량적 강우량을 추정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단계별로 불확실성이 어떻게 전파되는지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전역을 대상으로 2012년 여름철(6~8월)에 발생한 18개 강우사례를 이용하여 품질관리(Open Radar Product Generator 품질관리 알고리즘, fuzzy 알고리즘), 강우추정(Window Probability Matching Method, Marshall-Palmer 관계식), 후처리보정(Local Gauge Correction 기법, Gauge to Radar ratio 기법)단계만을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기상레이더 정량적 강우추정 단계별 불확실성을 정량화하였다. 정량화결과, 최종적으로 관측단계의 불확실성보다 최종 불확실성이 줄어들었으나, 강우추정 단계에서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떤 강우추정식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레이더 강우추정결과가 매우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불확실성 정량화 방법을 통하여 첫째, 전체 및 단계별 불확실성을 정량화할 수 있고, 둘째, 최종 불확실성 대비 각 단계별 불확실성을 비율을 제시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수행단계별로 불확실성 전파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향후 정량적 레이더 강우추정 과정에 있어서 불확실성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파악과 이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보다 정확한 정량적 레이더 강우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Shelf-life Prediction Model of Tofu Using Mathematical Quantitative Assessment Model (수학적 정량평가 모델을 이용한 두부의 유통기한 예측 모델의 개발)

  • Shin Il-Shik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 /
    • v.10 no.1
    • /
    • pp.11-16
    • /
    • 2005
  • 식물성 단백질의 주요 공급원이며 우리나라 전통식품 중의 하나인 두부의 유통기한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고자 온도와 초기균수에 따른 두부 부패세균의 성장 실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바탕으로 균의 성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근의 증식 지표인 최대증식속도상수(k), 유도기(LT), 세대시간(GT)은 온도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초기균수에 따른 유의 적 인 차이 는 없었다(p<0.05). 최대증식속도상수와 온도 및 초기균수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수학적 정량평가모델인 square root model을 이 용하여 두부 부패 세균의 성장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모델$({\surd}{\kappa}=0.016861(T+6.87095))$을 개발하였으며 실험치와 예측치의 상관계수는0.969이었다. 이 예측 정량평가모델로부터 예측한 최대증식속도상수와 두부의 관능적 부패시 점을 반영 한 Gompertz 변형 모델을 이용하여 두부의 유통기한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Spoilage-critrion(hr)=\frac{2{\times}Ln2+Ln[(Nmax/No)-1])}{k}$을 개발하였다

  • PDF

Simulation System for Quantitative Deformity Analysis (정량적 기형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 홍헬렌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154-160
    • /
    • 2000
  • 기형부위의 구조적 복합성으로 인하여 부상이나 질병을 진단하거나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형부위의 정량적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기형부위간 관계를 정의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2차원 진단영상들을 공간적으로 구성하여 가시화하고 단일 객체 및 다중 객체의 이동, 회전, 확대/축소, 컬러링 등과 같은 조작기능을 제공하며, 기형부위의 길이, 체적, 각도 등의 측정치를 제공한다. 본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사용자가 작업부하량을 줄이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이루어졌으며, 시스템간 사용되는 메시지 처리를 위한 메시지 제어기, 기형부위별 가시화와 조작을 위한 기형가시화 및 조작기, 기형 부위의 수치적 분석을 위한 정량적 분석기, 그리고 각종 환자 정보를 위한 영상 데이터베이스 관리기로 구성된다. 본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기형부위의 효과적인 가시화와 조작 뿐 아니라 정량적 분석치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기형분석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범용의 데스크탑 컴퓨터상에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PDF

만곡형전개판의 유동특성해석에 관한 수치해석적 및 실험적 연구

  • 박경현;이주희;현범수;배재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7-38
    • /
    • 2001
  • 그물 전개판과 같은 복잡한 유동장에서 동작을 하게되는 몰수체의 역학적 특성을 예측하고 성능향상 위해서는 수반하는 유동장의 거동을 파악하는 것이 필연적이다. 일반적인 계측기를 이용한 정량적인 계측방법과 고전적인 유동가시화 방법(flow visualization)으로는 유동장의 정량적인 정보 또는 정성적인 정보만을 제공하여 유동 해석에 필요한 정량적인 결과를 얻기 힘들었다. (중략)

  • PDF

Comparative on Impact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of ERP Systems on Korean Firms (국내 기업 ERP 시스템 도입의 정성적.정량적 성과 비교)

  • Kang, Da-Yeon;Chang, Hwal-Sik;Kim, Jong-K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4
    • /
    • pp.142-153
    • /
    • 2009
  • As many companies have adopted and used ERP systems, concerns about ERP performance also have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qualitative variables and quantitative variables measuring ERP performances. Qualitative research, widely used in MIS research, typically examines perceived usefulness of ERP, such as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system satisfaction. Quantitative research, often done in accounting research, usually examines ERP performance based on financial statements. An empirical study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qualitative variables measuring perceived usefulness of ERP; 2)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also observed among the quantitative variables based on financial statements; 3)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as found between the qualitative variables and quantitative variables measuring ERP performance.

Automatic Design (자동설계)

  • 백남주
    • Journal of the KSME
    • /
    • v.18 no.1
    • /
    • pp.28-33
    • /
    • 1978
  • 이 설계점의 평가와 수정작업을 최적화라 한다. 최적화조작이 자동화되는 조건은 (1)설계점을 얻 는 것이 경험이나 직관에 의해서, 구하기가 어려울 겅우 (2) 설계점의 정량적 결정이 중요한 경우 (3)정량적 평가가 가능한 경우 최적화의 완전히 자동화 하기 위해서는 설계점에 대한 평가가 정 량화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외관등과 같은 미적요소가 덜어있는 것은 현재로서는 정량적평가가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이 3개 조건 가운데서 특히 중요한 것은 (3)의 정량적 평가의 가부다. 이것이 불가능하거나 곤란할때는 최적화조작을 인간이 하여야하고 자동설계 system은 Man- Machine system이 된다. 이 대표적인 예가 CRT를 사용한 CAD system이다. 이에대해 설계점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때는 computer를 주체로한 system을 만들수 있고 이것을 AD ststem 에서는 계획적인 탐색법(최적화의 수법)을 쓴 수 있고 설계의 속도는 매우 빠르다. 그러나 이 system에서는 설계도중에 check가 힘들게 된다. CAD system에서는 설계점의 탐색이 시행착오적 이다.

  • PDF

Mining Generalized Fuzzy Quantitative Association Rules with Fuzzy Generalization Hierarchies (퍼지 일반화 계층을 이용한 일반화된 퍼지 정량 연관규칙 마이닝)

  • 한상훈;손봉기;이건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1.05a
    • /
    • pp.8-11
    • /
    • 2001
  • 연관규칙 마이닝은 트랜잭션 데이터를 이루고 있는 항목간의 잠재적인 의존관계를 발견하는 데이터 마이닝의 한 분야이다. 정량 연관규칙이란 부류적 속성과 정량적 속성을 모두 포함한 연관규칙이다. 정량 연관규칙 마아닝을 위한 퍼지 기술의 응용, 정량 연관규칙 마이닝을 위한 일반화된 연관규칙 마이닝, 사용자의 관심도를 반영한 중요도 가중치가 있는 연관규칙 마이닝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 논문에서는 중요도 가중치가 있는 일반화된 퍼지 정량 연관규칙 마이닝의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부류적 속성의 퍼지 개념 계층과 정량적 속성의 퍼지 언어항 일반화 계층을 일반화된 추출하기 위해 이용한다. 이것은 속성들의 수준별 일반화 계층과 속성의 중요도 가중치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융통성 있는 연관규칙을 마이닝할 수 있게 해준다.

  • PDF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Mediating Role of Marketing on Customer Satisfaction Focused on the Aviation Service (항공서비스에서 고객 만족에 대한 마케팅 조절 효과 분석)

  • Kim, Joong-Kwan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8 no.3
    • /
    • pp.227-248
    • /
    • 2016
  • World aviation market has been expanded every year caused by improvement of economic level quality of individual life, increase of the development of tourist industry. Aviation companies have compete to develpe the service program for the maintaining of sustainable choice by customer and develop the market sha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customer service strategy which is based on the 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by providing a differentiated service quality. This paper is focusing on the investigation with the mediating role of commitments on customer satisfaction in Aviation company. For this purpose, we do literature reviews, develop research model and conduct an empirical research. The literature review covers theoretical discussion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re variables for hypothesis setting. This analysis shows the airline service 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and re-choice intention.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airlines' systematic management and strategic development on airline service factors for better airlines' customer servi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