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량적평가

Search Result 5,548,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A Case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IT Investment Performance (IT 투자성과의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평가의 상관관계에 관한 사례연구)

  • Lee, Jae-Beom;Hong, Yu-Jin;Chang, Yun-Hi;Kim, S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683-692
    • /
    • 2006
  • IT투자 성과의 정량화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많은 학계와 연구단체에서 IT투자 성과의 화폐가치 전환 및 정량적 평가를 위한 다양한 측정방법들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이들 기법을 활용하여 IT투자 성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기업들이 점차 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IT투자성과의 정량적 평가 기법을 도입한 기업의 실무자들은 화폐가치로 전환되어 도출된 결과들이 가시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IT가 제공하는 실 효과를 제대로 반영하여 평가되었는지에 대하여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IT투자 성과의 정량적 평가 결과를 기존의 많은 연구를 통해 IT투자 성과의 정성적인 평가로 입증된 사용자 만족도로써 설명이 가능한지를 사례 기업의 정량적 평가결과와 사용자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사례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정보화 효과금액은 사용자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합리적인 정보화효과금액의 도출을 위해서는 조직 내에서 시스템의 효과를 정량화할 수 있는 지표 개발 및 화폐전환데이터의 관리가 중요하다. 셋째, IT ROI는 시스템간의 성과를 비교하는 것에는 부적절하며 개별시스템의 성과 및 효율성 측정 기준으로 사용한다. 넷째, 정량적 평가가 여전히 시스템의 전략적인 부분 등에 대한 평가에는 미흡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 만족도의 사용이 가능하다.

  • PDF

Analysis of software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 using ISO/IEC 25023 (ISO/IEC 25023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정량적 평가지표 분석)

  • Kim, Suwook;Park, Yoo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1
    • /
    • pp.7-12
    • /
    • 2019
  • Variety of companies which carry out R&D projects supported by government are proposing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 business plans. However, Many companies have difficulties in aspects of selecting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 and in some cases they have troubles to get results from selecting unsuitable evaluation index. First of all, both methods of gathering the data to be analyzed and the products which are tested by the accredited testing institutes classifying by industrial sectors are classified as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 selected by the company according to the eight quality characteristics of ISO/IEC 25023 Standard. Second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es classified into eight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ISO/IEC 25023 standard, the tendency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es selected mainly by the companies will be understandable. It is hopefully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to select a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 to evaluate the quality of software products.

Automatic Design (자동설계)

  • 백남주
    • Journal of the KSME
    • /
    • v.18 no.1
    • /
    • pp.28-33
    • /
    • 1978
  • 이 설계점의 평가와 수정작업을 최적화라 한다. 최적화조작이 자동화되는 조건은 (1)설계점을 얻 는 것이 경험이나 직관에 의해서, 구하기가 어려울 겅우 (2) 설계점의 정량적 결정이 중요한 경우 (3)정량적 평가가 가능한 경우 최적화의 완전히 자동화 하기 위해서는 설계점에 대한 평가가 정 량화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외관등과 같은 미적요소가 덜어있는 것은 현재로서는 정량적평가가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이 3개 조건 가운데서 특히 중요한 것은 (3)의 정량적 평가의 가부다. 이것이 불가능하거나 곤란할때는 최적화조작을 인간이 하여야하고 자동설계 system은 Man- Machine system이 된다. 이 대표적인 예가 CRT를 사용한 CAD system이다. 이에대해 설계점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때는 computer를 주체로한 system을 만들수 있고 이것을 AD ststem 에서는 계획적인 탐색법(최적화의 수법)을 쓴 수 있고 설계의 속도는 매우 빠르다. 그러나 이 system에서는 설계도중에 check가 힘들게 된다. CAD system에서는 설계점의 탐색이 시행착오적 이다.

  • PDF

Development of Shelf-life Prediction Model of Tofu Using Mathematical Quantitative Assessment Model (수학적 정량평가 모델을 이용한 두부의 유통기한 예측 모델의 개발)

  • Shin Il-Shik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 /
    • v.10 no.1
    • /
    • pp.11-16
    • /
    • 2005
  • 식물성 단백질의 주요 공급원이며 우리나라 전통식품 중의 하나인 두부의 유통기한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고자 온도와 초기균수에 따른 두부 부패세균의 성장 실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바탕으로 균의 성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근의 증식 지표인 최대증식속도상수(k), 유도기(LT), 세대시간(GT)은 온도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초기균수에 따른 유의 적 인 차이 는 없었다(p<0.05). 최대증식속도상수와 온도 및 초기균수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수학적 정량평가모델인 square root model을 이 용하여 두부 부패 세균의 성장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모델$({\surd}{\kappa}=0.016861(T+6.87095))$을 개발하였으며 실험치와 예측치의 상관계수는0.969이었다. 이 예측 정량평가모델로부터 예측한 최대증식속도상수와 두부의 관능적 부패시 점을 반영 한 Gompertz 변형 모델을 이용하여 두부의 유통기한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Spoilage-critrion(hr)=\frac{2{\times}Ln2+Ln[(Nmax/No)-1])}{k}$을 개발하였다

  • PDF

Feasibility Study on the Risk Quantification Methodology of Railway Level Crossings (철도건널목 위험도 정량평가 방법론 적용성 연구)

  • Kang, Hyun-Gook;Kim, Man-Cheol;Park, Joo-Nam;Wang, Jong-Bae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7.05a
    • /
    • pp.605-613
    • /
    • 2007
  •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quantitative risk analysis such as complexity of model, we propose a systematic methodology for risk quantification of railway system which consists of 6 steps: The identification of risk factors, the determination of major scenarios for each risk factor by using event tree, the development of supplementary fault trees for evaluating branch probabilities, the evaluation of event probabilities, the quantification of risk, and the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accident situat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address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 methodology, this framework is applied to the prototype risk model of nation-wide railway level crossings. And the quantification result based on the data of 2005 in Korea will also be presented.

  • PDF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f Distribution Centers (물류센터 운영평가 모텔)

  • 곽재식;임석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477-480
    • /
    • 2000
  • 오늘날 많은 제조업체 또는 물류업체는 물류의 효과적 수행을 위해 물류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물류센터의 효과적 이용을 통한 물류문제 해결은 기업운영에 있어서 주요 해결과제 가운데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러한 물류센터를 운영하고 관리함에 있어서 물류센터의 전략적 의사결정과 투자계획의 수립을 위해 물류센터의 수행도 측정을 통한 정량적인 평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기업물류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여러가지 물류활동 측정지표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물류센터들의 수행도 측정을 위해 체계적으로 정의화되고,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유력한 정량적 평가방법이 아직 제시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물류센터의 특성을 Cost(비용), Operation(설비운영). Quality(성과), Speed(속도), Flexibility(유연성), Safety(안전성)등 모두 여섯 가지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성을 통해 물류센터를 정량적으로 평가한다. 이중 Safety(안전성)를 기본으로 삼고 나머지 주요인자들의 정량적 평가치 들을 통해 물류센터의 종합적인 수행도 평가 모델을 제시하였다. 물류센터의 운영평가는 궁극적인 공급체인관리망(SCM: Supply Chain Management)의 완성과 기업의 업무효율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 PDF

Design the generation process of software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 using ISO/IEC 25023 (ISO/IEC 25023을 활용한 소프트웨어의 정량적 평가지표 생성 프로세스 설계)

  • Kim, Suwook;Lee, Jongmin;Park, Yoo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5
    • /
    • pp.508-515
    • /
    • 2019
  • Although various quantitative indexes are used as criteria for deciding the success of software R & D projects, it is somewhat difficult to find which quantitative indexes are appropriate. In this paper, we propose a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 generation process for software product development using ISO / IEC25023, which is used as a standard of software quality level, to provide criteria for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 of software development. The proposed process consists of two stages. In the first step,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ubcharacteristics of ISO / IEC25023 standard specification are derived and in the second stage, we derive an evaluation indicator guides that match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ub characteristics. The proposed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 generation process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 selection of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Mediating Role of Marketing on Customer Satisfaction Focused on the Aviation Service (항공서비스에서 고객 만족에 대한 마케팅 조절 효과 분석)

  • Kim, Joong-Kwan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8 no.3
    • /
    • pp.227-248
    • /
    • 2016
  • World aviation market has been expanded every year caused by improvement of economic level quality of individual life, increase of the development of tourist industry. Aviation companies have compete to develpe the service program for the maintaining of sustainable choice by customer and develop the market sha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customer service strategy which is based on the 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by providing a differentiated service quality. This paper is focusing on the investigation with the mediating role of commitments on customer satisfaction in Aviation company. For this purpose, we do literature reviews, develop research model and conduct an empirical research. The literature review covers theoretical discussion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re variables for hypothesis setting. This analysis shows the airline service 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and re-choice intention.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airlines' systematic management and strategic development on airline service factors for better airlines' customer service.

  • PDF

Quantitative Evaluation of Escape Safety Considering Extension of Escape Time by Escape Distance and Escape Barrier (피난거리와 장해에 의한 피난시간 연장의 정량화를 통한 피난안전성의 정량적인 평가수법개발)

  • Jeong, Gun-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5
    • /
    • pp.1-7
    • /
    • 2009
  • Escape distance and escape barrier are critical elements fo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escape safety. Through theoretical demonstration and modeling in precedent studies, they have been analyzed for their generality and applicability. To make more practical evaluation method, we should quantitatively analyze the influence of each barrier and escape condition on escape safety considering various barriers in escaping routes. In this study, to develop more accurate and applicable escape analysis model, we have focused on three research methods as below: First, we derived quantified function to predict various escape barriers in escaping routes by theoretical analyses of the escape barriers and conditions. Second, we substituted the derived quantified function for an evaluation tool of escape safety suggested by precedent studies. Third, we examined applicability and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method by modeling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escape conditions and barriers.

Sensitivity analysis of reginal drought resilience evaluation factors (가뭄재난 복원력 평가 인자의 지자체 별 민감도 분석)

  • Moon, Gihoon;On, Byeong Heon;Yoo, Do Gue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93-293
    • /
    • 2022
  • 가뭄은 시간적 지속성이 타 재난에 비해 길고 공간적 피해의 범위와 편차가 크다는 점에서 지역적 특성과 가뭄대응역량에 맞는 적절한 대응과 대책 마련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바 있는 지역적 가뭄복원력평가 방법론을 기준으로, 가뭄복원력 평가 인자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뭄복원력평가 인자는 4Rs (Robustness, Redundancy, Resourcefulness, Rapidity)을 기준으로 총 18개의 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18개 지표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활용되는 세부자료는 정량자료 19개와 담당자 설문조사를 통해 산정되는 정성자료 8개를 포함하여 총 28개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자체의 복원력 평가 결과 기준, 등급별 1-2개 지자체를 민감도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고, 19개 정량자료 각각의 비율적 변화에 따른 복원력 결과의 변동성을 정량화하여 도출하였다. 또한 19개 정량자료 중, 연관성 및 계층적 관계성이 존재하는 주요 자료 그룹을 구분하고, 대상 자료의 동시적, 연쇄적 변화에 따른 복원력 평가 결과의 영향도를 정성,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가뭄 복원력에 기여하는 인자의 변화에 따라 가뭄 복원력의 증감 정도가 지자체 별도 상이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출된 민감도 분석 결과는 지자체의 현재 가뭄대응역량지표를 기준으로, 가뭄 복원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효율적 대책 및 계획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