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량자기

Search Result 36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statistical 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hydration heat and autogenous shrinkage of concrete (콘크리트 수화발열 및 자기수축 특성의 정량적 분석을 위한 통계적 방법)

  • Lee, Eui-Bae;Lee, Hyung-Jun;Koo, Kyung-Mo;Na, Chul-Sung;Kim, Gyu-Yong;Kim, Moo-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04a
    • /
    • pp.645-648
    • /
    • 2008
  •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hydration heat and autogenous shrinkage of high strength concrete in early age, statistical method present numerically hydration heat and autogenous shrinkage was studied. First of all, hydration heating velocity and autogenous shrinking velocity as quantitative coefficients which represent the main properties of hydration heat and autogenous shrinkage were proposed. Two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by statistical analysis and were equal with the regression coefficient.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statistical analysis method, data of hydration heat and autogenous shrinkage gathered by a real experiment were analyzed by it. In results, properties of hydration heat and autogenous shrinkage of high strength concrete in early age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lso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hydration heat and autogenous shrinkage with numerical value were possible.

  • PDF

1.5T 자기공명영상기기에서 수소 자기공명분광법을 이용한 모델용액 내 포도당의 정량분석 및 임상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 이경희;이정희;조순구;김용성;김형진;서창해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2001.11a
    • /
    • pp.173-173
    • /
    • 2001
  • 목적: 1.5T 생체용 자기공명영상기기를 이용한 수소자기공명분광법으로 용액 내 물질의 정량분석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0.01%에서 50%까지의 여러 농도를 갖는 포도당+증류수 혼합액의 모델용액을 만들어 생체용 자기공명영상기기와 시험관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분광기에서 각각 수소 자기공명분광법을 시행하여 스펙트럼을 얻었다. 또한 12명의 당뇨환자에서 방광내의 소변에 대해 생체용 자기공명영상기기에서 스펙트럼을 얻고 소변을 추출하여 시험관 NMR 분광기에서 수소자기공명분광법을 시행하였다 각각의 방법으로 얻은 스펙트럼 상에서 포도당 농도에 따른 포도당/물 피크의 면적 비의 변화를 구하였고, 통계처리는 상관분석과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회귀식을 산출하였다. 또한 생체용 자기공명영상기기를 이용하여 얻은 결과가 객관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시험관 NMR 분광기에서 얻은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PDF

Co/Pd 다층박막의 자구형상 및 자구동력학

  • 최석봉;신성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156-156
    • /
    • 1999
  • 자성박막에 존재하는 자기구역의 형상 및 동력학은, 자성박막의 학문적 연구와 응용기술 개발의 핵심을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분야의 하나로서, 최근 크게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광자기 재질로 각광받고 있는 Co/Pd 다층박막에서의 자기구역 형상 및 자기구역 동력학을 연구하였다. 전자빔 진공증착 시스템을 사용하여, Co 층의 두께와 Pd층의 두께, 그리고 전체 층수가 변화하는 일련의 Co/Pd 다층박막 시료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모든 시료가 명목두께에 대하여 4%의 정밀도로 제작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제작된 시료의 자기 및 광자기 성질은 자기이력곡선 등을 측정하였다. 또한 고성능 광자기 Kerr 현미경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성박막에 존재하는 자기구역의 형상 및 자기구역 동력학을 관찰하였다. 이 장비는 1,000배의 배율에서 0.3$\mu\textrm{m}$의 공간분해능을 가지며 실시간 자기구역 영상을 CCD 카메라를 통해 컴퓨터에 저장함으로써, 자지구역 거동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자성다층박막에 존재하는 자기구역의 형상을 이론적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다층박막 구조에서의 정자기 에너지를 일반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이론을 유도하였다. 이 이론을 통해 다층박막의 자성층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자기구역의 형상이 단일 자기구역 형상에서 줄무늬 자기구역 형상으로 천이함을 예측할 수 있었고, 이러한 지구구역 천이현상을 Co-Pd 다층박막의 자화역전현상을 연구하였고, 새로운 자구동력학 정량분석기술을 개발하여 Co/Pd 다층박막에 적용함으로써 자화역전의 자구벽 이동속도와 핵형성 확률을 각각 정량적으로 구하였다. 이러한 관찰 및 분석기술을 통하여, Co/Pd 다층박막의 층구조에 따라 대조적인 자화역전현상이 존재함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대조적인 자화역전현상을 결정짓는 요인을 연구하기 위해서 나노자성학이온을 이용한 자화역전현상을 결정짓는 요인을 연구하기 위해서 나노자성학이온을 이용한 자화역전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자성박막의 거시적 자기성질에 의해 이러한 대조적인 자화역전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자성박막의 거시적 자기성지에 의해 이러한 대조적인 자화역전현상이 결정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또한, 미시적 자기이력곡선 측정을 통하여 자성박막구조에 따른 국소적인 구조불균일성을 관찰하였고, 이러한 구조불균일성 또한 대조적인 자화역전현상을 결정하는 큰 요인임을 논의하였다.

  • PDF

A comparison study on regression with stationary nonparametric autoregressive errors (정상 비모수 자기상관 오차항을 갖는 회귀분석에 대한 비교 연구)

  • Yu, Kyusa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9 no.1
    • /
    • pp.157-169
    • /
    • 2016
  • We compare four methods to estimate a regression coefficient under linear regression models with serially correlated errors. We assume that regression errors are generated with nonlinear autoregressive models. The four methods are: ordinary least square estimator, general least square estimator, parametric regression error correction method, and nonparametric regression error correction method. We also discuss some properties of nonlinear autoregressive models by presenting numerical studies with typical examples. Our numerical study suggests that no method dominates; however, the nonparametric regression error correction method works quite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