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년퇴직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Report on the Future of American Dentistry and Preparing for Retirement of Dentists (미국 치과의학의 장래와 치과의사들의 정년퇴직을 위한 준비)

  • Park, Gi-Cheol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9 no.1 s.380
    • /
    • pp.39-44
    • /
    • 2001
  • Y2K의 computer virus를 우려하면서 새로운 기대와 희망을 걸었떤 새 천년의 시작은 정말로 다사 다난했다고 보겠다. 미국의 대통령 선거체제의 현대화와 전체적인 개혁을 시사했다. 그러나 역사는 일상 생활의 반복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모든 사람들이 절실하게 감지하도록 했다. ADA의 신임회장단은 대의원 총회의 수임사항으로 마련된 미국 치과의학의 장래에 대한 보고서를 여러 전문분야를 대표하는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빈틈없이 작성하고 있다. 또한 노령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에 대비하여 치과분야에서 정년 퇴직 후, 보람있는 여생을 보낼 수 있도록 미국 치과의사들이 정년퇴직을 위하여 빈틈없는 준비를 할 수 있도록 ADA는 치과인력의 수요와 충족을 비롯한 여러 가지 필요한 정보를 회원들에게 알리고 있다.

  • PDF

A Study on Employment of Aged Workers in Korea (중.고령자 고용안정과 촉진에 관한 연구)

  • 신영수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3 no.1
    • /
    • pp.147-180
    • /
    • 2000
  • 1997-98년의 외환위기는 한국경제 전반에 걸쳐 커다란 변화를 초래하였다. 특히 노동시장에서도 200만 명의 전례 없는 대량실업을 경험하였다. 이전의 고학력 실업과 생산직 노동력 부족이라는 두 가지 큰 특징으로부터 성, 학력, 연령에 관계없는 전 노동력에서의 대량실업이라는 특징을 경험하게되었다. 불경기에서의 기업 구조조정은 많은 직장인들로 하여금 통상적인 정년을 채우지 못하고 조기 퇴직해야 하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특히 50세 이상의 중·고령자 조기퇴직은 그들이 가정경제를 책임지는 가장으로서의 가정적 불안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실업자 보호를 위한 비용지출이 증대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현상은 직장에 남아있는 근로자들의 고용불안으로 확대되어 근로자들의 의사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채 그 동안 정착된 고용관행(60세 전후 정년퇴직, 연공서열형 보수체계, 등)이 쉽게 무너지고, 사용자 중심의 새로운 고용관행(계약직, 연봉제, 단시간 근로형태, 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고용안정과 촉진을 위한 정책대안과 촉진을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함으로써 개인에게는 적합한 직종에서 일할 기회를 부여하고, 사회적으로는 실업문제의 해결로 사회복지비용의 지출을 최소화한다는 차원에서 연구되었다. 일반적으로 채용 면에서는 퇴직된 중·고령자도 신구인력과 경쟁적일 수박에 없으므로 비록 경기가 회복되더라도 재취업의 어려움은 여전히 남을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오랫동안 피고용자로서 근무해 왔기 때문에 신규 자영업에 진출하기도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어 이들의 경제활동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의무고용률 의 조정, 퇴직 전 전직훈련의 의무화, 고령자 창업보육센타의 설립, 신규채용이나 퇴직에서 제한연령의 완화 및 철폐, 서비스 산업에서의 고령자 적합직종의 개발, 등이 그것이다.

  • PDF

독자기고: 사료산업과 함께한 소중한 28년

  • Kim, Gu-Hyeon
    • 사료
    • /
    • s.52
    • /
    • pp.55-57
    • /
    • 2011
  • 이 글은 (주)카길애그리퓨리나에서 28년 동안 근무해온 김구현 상무가 정년퇴직을 하면서 아쉬운 마음을 담아 본지에 기고한 글이다. 김 상무는 충남대학교 축산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국제경영학 MBA 학위를 취득한 후 한국사료협회 기획 조사부에 입사하면서 사료산업과 인연을 맺기 시작했다. 이후 그는 농림수산부 곡물수입 업무로 파견근무를 하였으며, (주)카길애그리퓨리나에는 지난 1984년 1월 1일 곡물수입 부장으로 입사하여 회사의 요직을 두루 거치며 지난 7월 3일 상무이사를 끝으로 정년퇴직을 했다.

  • PDF

A Study on Public Enterprise Workers with Wage Peak System -Population, Economic and Organizational Aspects- (인구·경제·조직 측면에서 공기업 임금피크 근로자 분석)

  • Youn, Jae-Hee;Lee, Su-Gy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
    • /
    • pp.174-186
    • /
    • 201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economic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wage peak workers in public enterprises and their relationship between wage peak system and retirement, which is faster than other areas where the number of elderly workers is growing. The study targets 211 wage peak workers in 19 public enterprises engaged in the wage peak system, considering the level of aging and the size of wage peak worker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post retirement cost, retirement saving and investment amount had an effect on wage peak satisfaction, wage peak acceptance, retirement preparation and retirement attitude. Next, aspects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position, job title, working period, remaining retirement age, participation in retirement preparation program and wage peak appli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effective wage peak system for the aged society was required to discuss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by job group, position rank, economic level, and educational level of aged people such as welfare, education and former support.

Retirement of Older Wage Workers in Korea: Hazard Model Analysis by Firm Size (한국 장년임금근로자들의 퇴직: 사업체 규모별 위험모형분석)

  • Lee, Chulhee;Lee, Esther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8 no.1
    • /
    • pp.31-65
    • /
    • 2015
  • This paper examines why older wage workers leave their jobs and what determine the hazard of retirement.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ged workers leaving their jobs because of formal mandatory retirement are relatively few in number and largely males employed in large establishments. Second, a higher hourly wage is associated with a greater retirement hazard, especially among male employees of large firms. Third, informal mandatory retirement puts a strong pressure towards retirement among older female workers. Fourth, poor health is the primary reason for retirement among older workers, especially for females and small-firm employees. Finally, reasonable hours and greater flexibility of work tend to lower retirement hazard. We discuss som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old-age labor market policies.

  • PDF

The Needs for Reemployment and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Abilities after Retirement in Police Officers (경찰공무원의 퇴직 후 재취업 욕구 및 취업능력개발에 관한 연구)

  • Han, Sang-Am;Sin, Seong-Won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15
    • /
    • pp.359-379
    • /
    • 2008
  • Police organization tries to recruit competent and young persons, but its concern for retiring persons is extremely little and it expels those who are not prepared to live in outside society. The studies on the management and support the retiring police officers who dedicated their lives to our society are very rar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needs for reemployment in police officers and to develop retirement systems and vocational abilities. Finally, I suggest the establishment of the unit that fully takes charge of retirement management, the method of setting up the learning organization for self-development, the effective ways to get various licenses, the offer of informations on fields of reemployment,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preparing and support programs for retirement persons.

  • PDF

경찰관 퇴직이후 경제활동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박재진;하규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59-62
    • /
    • 2023
  • 100세 인생 시대의 도래는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기성세대들이 기존의 조직구조 속에서 일할 수 있는 최고 연령이 60대 초반인 것을 감안한다면 100세 인생 시대에는 퇴직한 후에 3~40년간 살아나갈 대안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일반 직장인들에 비해 직장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하고 있는 경찰관들이 퇴직 후에 경제활동을 지속하게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년을 마친 후 연금을 받게 되는 경찰관들이 다른 직종의 직장인들과 비교하여 경제활동에 대한 필요성을 느낄 것인가?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퇴직 후에도 경제활동을 하려는 경찰관들에게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주는 것일까? 등에 대한 것을 기존 연구와 문헌들을 통하여 연구 모형과 가설을 정하고 설문 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재직 경찰관들이 퇴직 후에 경제활동을 지속하기 위한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를 위해 개인역량, 경제활동 동기, 돈과 경제에 대한 인식, 경제적 만족도와 직장 안정성, 직장 공정성과 상하관계, 교육 및 교육 참여, 은퇴 준비, 직무만족과 직무의 미래비전을 독립 변수로 하고 경제활동 지속의도를 종속 변수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 PDF

과학언론인 칼럼 - 다시 태어나더라도 과학기자 하겠다

  • Choe, Seon-Rok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9 s.340
    • /
    • pp.24-25
    • /
    • 1997
  • 나는 몇개월 전 30여년 근무해 온 신문사에서 한달 안에 나가달라는 명예퇴직 통보를 받고 2년반 남은 정년을 앞당겨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다. 그러나 나는 지난 30여년동안 과학기자로 참신한 기사를 발굴하고 보도해 온 일에 무한한 긍지와 자부심을 갖는다. 앞으로는 그동안 모아두었던 각종 자료를 정리하여 쓰고 싶었던 글을 마음껏 써 볼 계획이다.

  • PDF

The Psychological Anxiety of the Middle-Aged Men Who Expect to -Emphasizing upon the State- Trait Anxiety and the Opinion on the Present Retirement system- (정년 퇴직을 앞둔 중년 남성의 심리적 불안 -퇴직 예정자의 상태.특성불안과 현행 정년제도에 대한 시각을 중심으로-)

  • 김향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0 no.2
    • /
    • pp.159-169
    • /
    • 1992
  •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anxiety of middle-aged men who expect to retire in order to bring up the problems of present retirement system, and suggest more desirable solutions connected with social welf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non retirement group", aged 40-44(N=70) and "retirement group", aged 50-54(N=60) who were full-time employees in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zes. The psychological anxiety levels of the two groups were assessed by the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composed of 40 item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rait and state anxiety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tirement group reported the higher level of both trait and state anxiety than the non retirement.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reased anxiety level by retirement"(state anxiety-trait anxiety)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tirement group reported the higher level of increased anxiety than the non retirement group. The state anxiety of the retirement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retirement-related factors such as health st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leisure activity and plan for later life, etc. The opinion of the two groups on the present retirement system was generally negative. The two groups prefered the voluntary retirement to involuntary retirement and considered that the retirement time must be prolonged to the age of 60 or 6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