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격시험

Search Result 12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Performance comparison of PA(public address) power amplifier with different output level (출력 레벨에 따른 전관방송용 파워앰프의 성능 비교)

  • Kim, Hyeryoung;Im, ChaeHun;Kwon, DongHyun;Jeong, In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151-15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전관방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관방송용 파워앰프에 대해 TTA에서 개발한 시험규격을 설명하고, 주요 시험항목에 대해 출력 레벨에 따라 어떠한 특성이 나타나는지 시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시험을 위해 현재 상용으로 판매되는 정격출력이 260 W, 360 W, 480 W, 600 W 인 앰프를 사용하였고, 각각의 앰프에 대해 정격출력, 1/2 정격, 1/4 정격, 1/8 정격, 10W, 1W 일 때 주파수 응답, 신호대잡음비, THD+N 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향후 본 논문의 시험 데이타가 전관방송용 앰프의 성능을 가늠할 때 중요 지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Bearing Life Evaluation of Automotive Wheel Bearing Considering Operation Loading and Rotation Speed (작동하중과 회전속도를 고려한 자동차용 휠 베어링의 수명평가)

  • Lee, Seung Py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0 no.6
    • /
    • pp.595-602
    • /
    • 2016
  • An automotive wheel bearing is important part that translates rotating motion and bears vehicle weight. Recently,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s for $CO_2$ emission reduction and fuel economy regulation, the requirements for the weight reduction and miniaturization of vehicles has increased. Therefore, life evaluation technology of the bearings has increased in necessity. Since the bearing life is affected by many parameters such as bearing geometry, bearing specifications, and vehicle specifications, it is difficult to predict. In this paper, the bearing life was tested by varying the applied load and rotation speed and comparing them with the basic rating life and modified rating life that were suggested in ISO standards.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est life and theoretical life and modified rating life than basic rating life was to be relatively well predicted by test life.

Test ressults of an inverter system for 750kW gearless wind turbine (750kW 풍력발전 시스템 전력변환장치의 시험)

  • Kwon, S.J.;Son, Y.G.;Jang, S.D.;Suh, J.H.;Oh, J.S.;Shin, S.I.;Hwang, J.S.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1771-1774
    • /
    • 2005
  • 가변속 직접 구동형 영구자석 농기발전기와 감속기(38:1)를 2 MW의 유도전동기축에 직결로 결합하여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통하여 발전기 단자전압을 인버터의 출력으로 계통에 전력을 전송하는 시험을 전기연구원에서 수행하였다. 인버터 출력 60 Hz의 상용전원으로 계통과 연계되는 동기발전기의 정격출력은 800 kW이며, 손실분을 제외한 인버터의 정격출력은 750 kW이다. 동기발전기는 속도 9 rpm에서 발전을 시작하여 정격속도인 25 rpm에서 정상적인 출력을 내도록 되어있다. 시험은 유도전동기 속도를 가변으로 각각의 속도에서 발전기 단자전압과 토오크를 측정하고, 정격속도에서 토오크 제어를 통한 최대전력을 측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시험결과 분석 및 계통사고, 발전기 단락사고와 같은 극한상황에서 전력변환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시스템에 대한 국내 규정에 준하는 시험에 대한 결과를 보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combination of tests on circuit breakers at 50Hz and 60Hz (차단기의 50/60Hz공용주파수 정격의 시험방법에 관한 검토)

  • Suh Yoon Taek;Park Seung Jae;Lee Yong Han;Kim Maeng Hyun;Yun Hak Dong;Kim Dae W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summer
    • /
    • pp.630-63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전력 계통에서 보호기기로 사용되는 차단기의 50/60Hz 공용주파수 정격의 시험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그 과정으로 차단기의 개발시험 항목에 대한 시험목적, 전류투입차단시 차단기에 미치는 영향 및 국제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관련 적용규격을 고찰하고 50 Hz 및 60 Hz 공용정격으로서 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진공청소기 모터의 가속시험법 개발

  • 최완수;박상준;박상득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211-218
    • /
    • 2000
  • 진공청소기 제품의 시장불량을 조사한 결과 모터의 불량이 전체 불량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조금씩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진공청소기 모터의 출하 전, 불량품 검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속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가속시험을 통해 사업부의 신뢰성시험 납기 단축 및 시험비용 절감 뿐아니라 모터에 대한 가속시험 기술력 확보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가속수명시험 시 스트레스인자는 모터의 브러쉬 마모 가속을 위해 정격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하였다. 가속모형으로는 전압스트레스를 인가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역자승(Inverse Power) 모형을 사용하였다. 가속시험 결과 정격의 120% 전압에서 가속계수 4.3이 얻어졌다. 이는 수출 모델의 경우 현재의 시험시간 42일을 10 일로 단축하여 76%의 시험시간이 절감되어 시험 가능 횟수가 4배로 증가되는 결과를 얻었다. 추가적으로 다양한 On/Off 시간 변환 시험을 실시하였으나 현시험법과의 고장 모드 (브러쉬 마모로 인한 회전정지) 및 고장유형이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On/Off 시간변환을 통한 가혹시험의 경우 주의를 필요로 함을 나타낸다.

  • PDF

A test facility for Large Scale Inverter Pole Using Resonant Circuit (공진회로를 이용한 대용량 인버터 폴 시험설비에 관한 연구)

  • Yoo, H.H.;Han, Y.S.;Suh, I.Y.;Kim, D.H.;Choo, J.B.;Jang, B.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0d
    • /
    • pp.206-208
    • /
    • 2006
  • 대용량 인버터의 구성요소인 단상 인버터를 시험하는 방식에 대해 제안하였다. 단상 인버터의 설계 및 제작이 완료되면 설계상, 제작상의 문제점을 점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실제 운전조건에 근사한 상태인 정격전압, 정격전류를 스위칭 하여 정격 전류를 충분히 도통하는 실험을 수행하여 성능의 검증이 필요하다. 본문에서는 단상 인버터 폴 2대를 이용한 이러한 시험조건을 제공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 PDF

A test result of dynamic character about low voltage electric machine under voltage sags (순간전압강하에 대한 저압기기의 응동특성 실험결과)

  • Lee, Geun-Joon;Lee, Hyun-Chul;Jeong, Sung-Won;Gim, Jea-H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1b
    • /
    • pp.40-42
    • /
    • 2007
  • 본 논문은 전기기기에 순간전압저하를 발생 하였을 경우 응동특성에 대한 영향을 계측하였다. 실험 방법은 AVR에서 Sag 발생기인 IPC에 입력한 후, IPC에서 전압의 크기와 시간을 조정하여 실험기기에 순간전압 강하를 발생하였다 실험기기는 PLC, 전자접촉기, 400[W]고압방전램프를 시험하였다. PLC시험에서 무부하와 정격부하에 따라 특성 의 변화가 생겼으며, 정격부하에서 Voltage Sag의 영향을 더 받았다 전자접촉기의 시험은 위상을 $0^{\circ},\;30^{\circ},\;60^{\circ},\;90^{\circ}$로 변화하여 Voltage Sag 발생시켜 계측하였으며, 위상의 변화에 따라 특성곡선이 변화하였다. 고압방전램프시험은 고압나트륨램프와 수은램프, 메탈헬라이드에 Voltage Sag를 발생시켰다. 방전램프의 시험결과 고압나트륨램프의 특성곡선이 가장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해 순간전압저하에 대한 저압기기의 특성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여 전력시스템의 설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기대된다.

  • PDF

A life test of metal halide and high pressure sodium lamp according to voltage variation (전원전압 변동에 따른 메탈핼라이드램프와 고압나트륨램프의 수명시험)

  • Chee, Chol-Kon;Yi, Chin-Woo;Cho, Ho-Yon;Ahn, Jae-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5a
    • /
    • pp.228-22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250W 메탈핼라이드램프와 250W 고압나트륨램프에 대하여 전원전압 변동에 따른 수명측정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전압은 220V와 220V의 80%인 176V 두 가지 전압을 사용하였다. 시험 방법은 100시간 에이징 후, 일주일마다 광속을 측정하였다. 전원전압을 변경하여 연속점등시 조도측정시험 결과는 메탈핼라이드램프의 경우 정격전압의 80%에서는 정격전압의 경우보다 초기광속의 70%에 도달하는 시간이 약 30% 단축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고압나트륨램프의 경우는 전압변동과 수명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없었다.

  • PDF

A Study on the External Fault Performance Evaluation of Grid-Connected Power Conditioning System for Residential Fuel Cell System (가정용 연료전지시스템 계통연계형 전력변환장치의 외부사고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 Lee, Jung-Woon;Seo, Won-Seok;Kim, Young-Gy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131-131
    • /
    • 2009
  • 최근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친환경적인 전력생산 요구 등의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의 전력구조가 기존의 중압 집중형 발전을 탈피한 분산전원 발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분산전원으로서의 전력생산은 공급의 안전성, 경쟁력 및 에너지의 지속성 등이 요구되어지는데, 재생에너지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 지속성의 한계 및 설치의 제약성을 탈피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현재 연료전지시스템이 가장 근접해 있는 실정이다. 즉, 도시가스 인프라가 우수하고 인구조밀 지역이 많은 우리나라의 특성상 각 가정 및 건물에 쉽게 설치하고 공급의 안전성을 갖는 건물용 연료전지는 최근 가장 각광받고 있는 분산전원 시스템 중의 하나이다. 올해부터 모니터링사업의 일환으로 수용가에 설치 될 연료전지 시스템이 얼마나 안정적으로 전기와 열을 각 가정에 공급하고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가는 건물용 연료전지의 분산전원으로서의 가능성 및 국민의 수용성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연료전지시스템은 상용전력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안정성 뿐만 아니라 상용전력의 변화에 대응하여 안정적인 운전을 하는지에 대한 평가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연료전지시스템의 성능 및 안전성평가의 일환으로 계통연계형 전력변환장치의 성능 및 안전성을 평가 하고자 한다. 연료전지 검사를 위한 계통연계형 전력변환장치의 시험평가 항목으로는 크게 정상특성성능시험, 보호기능성능시험, 과도응답특성성능시험 및 외부사고성능시험 등으로 나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사고 성능시험 항목들인 출력측 단락시험, 계통전압 순간정전?순간강하시험 및 부하차단 시험 등을 통하여 외부사고에 대한 성능 및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외부사고 성능시험의 주 목적은 시스템의 이상 운전이 아니라 외부의 영향에 따른 시스템의 안전성 및 전력품질을 평가한다. 출력측 단락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전력변환장치를 정격 출력 전압, 정격 출력 주파수 및 정격 출력에서 운전한 후, 교류 전원장치는 단락 전류를 검출하여, 사고 발생 후 0.3초 이내에 개방하도록 설정하였다. 여기서, 단락 저항 Rsc를 정격 전류의 10배 이상에 해당하는 부하와 같은 값으로 설정하였다. 스위치 SWSC를 폐로하여 단락 상태를 만들며, 이 때 전력변환장치의 출력전류와 차단 또는 정지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에 대한 판정기준은 단락전류를 검출하여 0.5초 이내에 개폐기 개방 또는 게이트 블록 기능이 동작하여 시스템을 안정하게 정지시키고 시스템 어떤 부위에도 손상이 없어야 한다. 실험 결과 파워컨디셔너의 출력전류 및 차단 또는 정지된시간이 40ms로 나타났고, 출력전류의 파형도 매우 안정함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모든 실험을 수행한 결과 외부사고에 대하여 시스템이 안전하게 정지하는 등 연료전지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