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접합면

Search Result 51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Layout of Digital Logic Gates (디지털 논리게이트의 레이아웃)

  • Choi, J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790-79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처음 레이아웃을 접하는 학생들이 쉽게 레이아웃을 할 수 있도록 논리게이트의 입력 수에 따른 소스/드레인 접합면의 개수 및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드레인 접합면의 개수를 간단한 수식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회로에서는 직렬로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의 경우 하나의 접합면으로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또 다른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으로 동작하도록 레이아웃 된다. 그리고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드레인 접합면의 개수를 줄어야만 논리게이트의 동작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출력단자를 구성하는 드레인 접합의 개수를 수식으로 제시하고 설명함으로서 초보자도 쉽게 레이아웃을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of Design Method and Shear Transfer Capacity on the Horizontal Interface of PC Composite Beams (PC 합성보의 수평접합면 전단력 전달성능 평가 및 설계법 분석)

  • Moon, Jeong-Ho;Oh, Young-Hun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5 no.1
    • /
    • pp.81-9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horizontal shear strength on the interface between PC and cast-in-place concrete for PC composite beams. Six specimens were tes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horizontal interface with different surface condition and stirrup detailing. Except for SF-291B specimen failed in flexural compression, strengths and deformation capacities of five specimens were determined by horizontal shear failure. Horizontal shear strengths by composite horizontal shear or shear friction in current codes could be used to predict the horizontal shear capacity of the interface for specimens. Also detailing for stirrup by PCI design provision could be used to accomplish the composite action in the interface.

Microstructural Study of Self-Bonded Interface in Amorphous PEEK Matrix Resin for High Performance Composites (복합재료 기지재용 무정형 PEEK 필름의 Self-Bonding에 따르는 계면 미세 조직 연구)

  • Jo, Beom-Rae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8 no.5
    • /
    • pp.429-435
    • /
    • 1998
  • 무정형 PEEK 필름의 self-bonding 공정 시에 일어나는 결정화 현상이 접합 면에서 개발되어지는 self-bonding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무정형 PEEK 필름의 결정화 현상은 접합 시의 공정변수에 따라 변화하며, self-bonding 공정 동안 접합 면을 가로질러 PEEK의 결정들이 성장함에 따라 접합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접합온도가 높을수록 접합 면을 가로지르는 결정들의 성장 정도가 낮은 온도에서 접합시켰을 때의 경우보다 훨씬 커서 결과적으로 높은 self-bonding 강도를 보였다. 각각의 시편들을 전단 파괴시킨 후 행한 파단면 관찰에서는 self-bonding 강도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더욱 조밀한 물결무늬 파면과 dimple 형태와 유사한 파면 형상들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접합공정 시 접합 면을 가로지르는 PEEK 결정들의 성장 정도가 self-bonding 강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었다.

  • PDF

LEGO-like 리벳 패키징 방법에 의한 밀봉 실장

  • Lee, Eun-Seong;Kim, Un-Bae;Song, In-Sang;Mun, Chang-Ryeol;Kim, Hyeon-Cheol;Jeon, Guk-Jin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6.06a
    • /
    • pp.599-600
    • /
    • 2006
  • 본 연구는 솔더의 리프로우 현상으로부터 제안되었다. 솔더는 원형 흡착 층 위에서 녹게 되면 단위 면적당 표면 에너지를 최소화 하려는 특성 때문에 구형이 되는데, 이는 자기정렬 기구의 핵심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되는 새로운 설계가 기존의 설계와 가장 큰 차이점은 그림 1에서 처럼 솔더의 리프로우에 의해 측면 접합을 한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기존 실장 기술은 접합 면과 피 접합 면이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서로 맞닿아야만 접합이 이루어 지는 "intimate contact" 원리인 반면,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개념은 접합 면과 피 접합 면이 쏠더에 의해 끼워진 상태에서 측면 접합되는 원리이 기 때문에 접합 면끼리 서로 인접하지 않아도 접 합은 자연적으로 완성되어 접합면의 표면상태에 충분히 둔감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림 1의 (b)는 개념도 (a)를 구현하기 위한 제작 공정을 보여준다. 버섯 모양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공정과 측벽에 UBM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공정이 핵심 공정이며 이외의 접합 공정은 기존의 방법과 달리 매우 간단하게 완성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으로 제안된 방법으로 구현되는 실장결과와 그 기본적인 기계적 강도, 기밀 특성을 살펴 보았다. 그리고 RF 소자의 실장에 있어서 제안된 방법에 의한 전기적 연결의 기초 결과에 대해서 논의한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Interface Shear Strength of Concrete in Vertical Construction Joint (콘크리트 수직시공이음 접합면의 전단강도에 대한 실험적 연구)

  • Kim, Ook-Jong;Kim, Young-C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19 no.2
    • /
    • pp.125-129
    • /
    • 2004
  • In masive concrete placement, cracking problem due to hydration heat is frequently encountered. One of measure to solve this problem is to make a construction joint. However, it is cumbersome to make it by chipping the surface of joint. In this study, push-out test for 18 specimen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interface shear strength of consturction joints whose surfaces were prepared with three methods; chipping, rib-lath, folded rib-lath. Compared to the specimens made with conventional surface chipping, those with rib-lathe showd excellent preformance increasing shear resistance capacity and the role of shear key conceived by folding rib-lath played important role in enhancing shear resistance.

콘크리트 접합면의 단부응력

  • 최동욱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9 no.4
    • /
    • pp.27-29
    • /
    • 1996
  • 콘크리트보강체 접합면의 응력해석에 있어서, 비교적 얇게 타설되는 폴리머콘크리트 합성보의 온도응력해석에는 Chen방법의 적용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같으 해석방법이 콘크리트도로의 응력해석에는 적용될 수 없었는데, 이는 비교적 두껍게 타설되는 포틀랜드시멘트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을 예측하기 어려웠고 또한 도로수직단면이 균등한 온도변화를 받지 않기 때문이었다. 보강콘크리트도로에서 접합면의 응력집중에 의한 박리현상이 국내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볼 때 이에 관련된 해석기법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

Efficiency on the Field Edge Block which was used at Junction Field of Head & Neck Cancer in the Radiotherapy (두경부 종양의 방사선치료 시 접합 조사야에 사용된 조사면 끝단 차폐물의 유용성)

  • Lee, Jae-Seung;Kim, Jung-Nam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11
    • /
    • pp.235-241
    • /
    • 2008
  • If the target volume cannot be included with one field at head and neck cancer, we commonly used two or more field. It is very important to irradiate uniform dose at junction area of the fields. However, according to body shape of patient or general condition of patient, skin junction area can be matched incorrect, So overdose area or underdose area can be appeared in the junction area. This study researched therapy technique which can give uniform dose at skin junction owing to applying the edge block of lateral field at head and neck cancer. We measured the changed distance and rotational angle between central line of anterior supraclavicle lymph node and low margin of right lateral field on simulation process using the shielding block of variable rotation. As a result, the changed distance between central line of anterior supraclavicle lymph node and low margin of right lateral field was below 2mm to ${\pm}$10cm distance at central line of Y axis, changed angle was average 1.28 degree. But by using it the shielding block of variable rotation, the incorrect match at junction can be minimized. We think that this technique is very efficient one to apply this technique at head and neck cancered by the movement of organs can be not included, Therefore we have to pay attention on the process to imput MLC layer

자기장하에서 Nb/$AlO_x$//Nb 조셉슨 접합의 거동

  • 김동호
    • Superconductivity and Cryogenics
    • /
    • v.4 no.1
    • /
    • pp.28-33
    • /
    • 2002
  • 디지털 소자 구현에 가장 기본적인 조셉슨 접합의 특성 중 잘 알려진 특성이 아닌 자기장 하에서 접합의 거동을 살펴보았다. 자기장이 접합면에서 평행하게 걸린 경우에는 임계온도 이하에서도 어느 특정 온도에서 저항이 나타나는데 이는 그 때 접합을 투과하는 자속이 단자속의 정수배가 되는 경우에 해당함을 보였다. 이로부터 초전도 전극의 침투깊이의 크기와 온도의존성을 구할 수 있었다. 자기장이 접합면에 수직하게 걸린 경우에는 자기장이 볼텍스의 형태로 전극에 침투하여 전체접합을 볼텍스의 수로 나누는 역할을 함을 보였다. 이로써 자기장이 증가할수록 저항전이 폭이 증가함을 설명할 수 있었고 이는 고온초전도체의 거동을 이해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Acoustic Microscopy Study on Self-Bonded Interface of Amorphous PEEK (Acoustic Microscopy를 이용한 무정형 PEEK의 접합 계면 연구)

  • Jo, Beom-Rae;Kardos, J.L.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6 no.9
    • /
    • pp.963-971
    • /
    • 1996
  • 세라믹 강화 복합 재료의 모재로서 사용되는 무정형 PEEK가 보여주는 self-bonding 현상의 주 기구인 PEEK체인들의 확산(interdiffusion)과 뒤엉킴(entanglement)이 일어나기 위하여 PEEK의 접합 면에서 반드시 선행되어 일어나야 하는 젖음성의 정도에 미치는 접합 공정 변수의 영향을 C-mode acoustic microscopy를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self-bonding 된 PEEK시편들의 전단 변형시 전단 하중의 증가에 따라 일어나는 접합 면에서의 debonding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접합 면에서 일어나는 파괴 거동을 관찰하였다. 각각의 접합 조건에서의 젖음성의 정도는 시간과 압력의 증가에 따라 다소 증가함을 보여 주었으나, 접합 온도와는 거의 무관함을 보여 주었다. 또한 전단 파괴 시험시 각각의 접합 조건 하에서 개발된 self-bonding강도의 80%-90%이상의 전단 하중이 가해진 후부터 debonding이 시작되어, 이 후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급속도로 진행되어 파괴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물성치가 상이한 계에서 응력장 개선 연구

  • 송기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b
    • /
    • pp.30-35
    • /
    • 1997
  • 물성치가 상이한 계에서 접합면을 포함한 전 영역내의 연속 응력장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재료의 물성치가 100배 차이가 나는 직선보 예제에 대해 변위형 유한요소해에서는 접착면 상ㆍ하측에서 응력들이 불연속이며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반하여 본 연구에서의 응력장은 연속이며 접합면의 절점응력들이 이론해에 근접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연속 응력장으로 계산한 변형률 에너지는 수회 이내의 반복계산에서 이론해에 수렴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