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재료 기지재용 무정형 PEEK 필름의 Self-Bonding에 따르는 계면 미세 조직 연구

Microstructural Study of Self-Bonded Interface in Amorphous PEEK Matrix Resin for High Performance Composites

  • 발행 : 1998.05.01

초록

무정형 PEEK 필름의 self-bonding 공정 시에 일어나는 결정화 현상이 접합 면에서 개발되어지는 self-bonding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무정형 PEEK 필름의 결정화 현상은 접합 시의 공정변수에 따라 변화하며, self-bonding 공정 동안 접합 면을 가로질러 PEEK의 결정들이 성장함에 따라 접합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접합온도가 높을수록 접합 면을 가로지르는 결정들의 성장 정도가 낮은 온도에서 접합시켰을 때의 경우보다 훨씬 커서 결과적으로 높은 self-bonding 강도를 보였다. 각각의 시편들을 전단 파괴시킨 후 행한 파단면 관찰에서는 self-bonding 강도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더욱 조밀한 물결무늬 파면과 dimple 형태와 유사한 파면 형상들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접합공정 시 접합 면을 가로지르는 PEEK 결정들의 성장 정도가 self-bonding 강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었다.

키워드

참고문헌

  1. J. Matls. Sci. v.16 R.J.Crawford;Y.Tam
  2. Machine Design v.72 N.E.Rouse
  3. J. Adhesion v.21 R.J.Kinloch;C.M.Taig
  4. Polymer Eng. Sci. v.28 V.K.Stoke
  5. J. Chem. Phys. v.55 P.G.de Gennes
  6. J. Chem. Phys. v.75 S.Prager;M.Tirrell
  7. J. Matls. Sci. v.16 K.Jud;H.H.Kausch;J.G.Williams
  8. Micromolecules v.16 Y.H.Kim;R.P.Wool
  9. Polymer Fracture(2nd Ed.) H.H.Kausch
  10. Polymer Eng. and Sci. v.28 D.B.Kline;R.P.Wool
  11. Polymer v.23 R.H Olley;D.C.Bassett
  12. Polymer v.27 R.H Olley;D.C.Bassett;D.J.Blundell
  13. 한국재료학회지 v.5 no.2 조범래;J.L.Kardos
  14. Polymer v.22 D.J.Blundell;D.R.Beckett;P.H.Willcocks
  15. J. Appl. Poly. Sci. v.33 G.M.K.Ostberg;J.C.Seferis
  16. J. Matls. Sci. v.24 D.J.Blundell;R.A.Crick;B.Fife;J.Peacock;A.Keller;A.Wad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