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접촉점

Search Result 66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접촉 저항법을 응용한 트라이볼로지 문제점의 해석

  • 김청균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10 no.2
    • /
    • pp.1-4
    • /
    • 1994
  • 금속과 금속이 접합할 때 발생하는 고유 저항값은 접촉소재의 종류, 접촉면의 상태, 접촉조건(하중, 온도, 정적 또는 동적인 접촉 등), 주변환경에 따라서 변한다. 소재가 접촉할 때 발생되는 저항값의 변화특성을 적극적으로 이용한 것이 전기 저항법(Electrical Contact Resistance Method)이다. 접촉 저항법의 특징은 접촉시 발생되는 저항값이 미세하게 변화한다 할지라도 모두 계측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동안의 연구는 ㅈ로 단일 접촉점(Single Contact Spots) 위주의 단편적인 실험적 연구를 통하여 접촉 저항법에 대한 신뢰도 확보에 노력하였으나, 최근에는 접촉점이 인접한 다른 접촉부위에 미치는 영향, 즉 다수 접촉점군(Multiple Contact Spots and Clusters)의 거동해석에 더욱 큰 연구 비중을 두고 있다. 접촉점군 상호간의 영향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기는 하였지만 해석모델의 적절성 여부가 실험적 데이타를 통하여 확인이 아직 안되었기 때문에 기존의 접촉저항 추정식을 직접 사용하기가 어려웠으나 최근에 볼군-원판 모델에 대한 접촉점과 다수의 접촉점군 상호간에 발생될 수 있는 접촉저항 특성을 실험적으로 해석하여 보다 정확한 해석모델이 제시되었다.

Phoneme Segmentation Method of Handwrittem Hangul Based on Vowel Structure and Heuristic Rules (모음 구조와 경험적인 규칙을 이용한 필기된 한글의 자소 분리 방법)

  • Gwak, Hu-Geun;Choe, Yeong-U;Jeong, Gyu-Sik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1
    • /
    • pp.10-19
    • /
    • 2001
  • 기존의 필기된 한글의 자소 분리 방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진다 : 1) 자소 분리가 주로 세선화된 이미지에 적용되어 세선화 결과에 크게 의존하며, 2) 자소가 접촉되었을 때 명확한 자소 분리 특징점이 발생하는 단순한 접촉만을 대상으로 자소 분리 방법이 개발되어, 특징점이 없거나 특징점이 틀리게 찾아지는 경우처럼 복잡한 접촉에서는 자소 분리 오류가 쉽게 발생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세선화를 하지 않은 이미지에서 자소 분리를 수행하며, 자소가 접촉된 경우 명확한 분리 특징점이 발생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특징점이 없거나 특징점이 틀리게 찾아지는 경우에도 자소 분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소의 접촉을 유형별로 나누고 각 유형에 대하여 모음의 구조와 상대적인 위치 정보, 접촉의 형태 및 경험적인 규칙들을 사용하여 자소를 분리한다. 제안된 자소 분리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적용된다 : 1) 입력된 낱자 이미지에서 모음을 추적한다 ; 2) 모음의 관점에서 접촉 후 발생하는 특징점의 추출이 명확한가를 판단한다 ; 3) 각 경우에 대한 접촉 유형을 확인한다 ; 4) 접촉 유형에 따른 자소 분리 방법을 적용한다. 필기된 한글 데이터베이스 PE92를 사용한 분리 실험에서 89.5%의 높은 분리율을 얻어서 제안된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 of Occlusal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on the Occlusal Contact Stability and Masticatory muscle Activities in th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측두하악장애환자에 있어서 교합안정장치가 교합안정성 및 저작근활성에 미치는 영향)

  • Jye-Jynn Ann;Jae-Kap Choi;Jae-Hyun S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17 no.1
    • /
    • pp.73-87
    • /
    • 1992
  • 저자는 28명의 측두하악장애 환자와 31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최적기능교합의 개념에 입각하여 교합시의 치아접촉점을 동적이며 정량적인 방법으로 평가하여 교합안정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교합안정성의 개선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동시에 교근과 전측두근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치료의 경과에 따른 근활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측정항목은 개구범위, 두개하악장애지수, 치아접촉점 좌우균형치, 치아접촉점 전후균형치, 치아접촉점 평균시간간격, 치아접촉점의 개수, 접촉시간, 좌우측 교근과 좌우측 전측두근의 근활성, 근활성 비대칭 지수 등이었다. 이의 측정을 위해 T-Scan System, K-6 Diagnostic System 그리고 EM 2등을 사용하였으며 얻어진 자료에 대해 검정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교합안정장치를 이용하여 측두하악장애 환자들을 4주간 치료한 결과 전반적인 임상증상이 호전되어 개구범위와 두개하악장애지수에 있어서 뚜렷한 개선이 있었다. 2.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최대 악물기시의 치아접촉점 좌우균형치및 평균시간 간격이 큰 것으로 나타나 치아접촉이 일어나는 순간의 교합안정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3. 치료 4주후 교하안정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측정한 치아접촉점 좌우균형치및 치아접촉점 평균시간간격은 치료전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4. 치료 4주후 치아접촉점의 전후방 분포가 구치부위로 이동되는 양상을 보였다. 5.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최대 악물기시의 좌우측 교근 및 전측두슨의 근활성은 정상인에 비해 낮에 나타났으며, 이는 치료기간 동안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6.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전측두근의 근활성 비대칭지수는 정상인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치료기간 동안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Contact Surface by Using the Hot Spot (Hotspa을 이용한 접촉표면의 온도측정)

  • 정동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2.11a
    • /
    • pp.50-56
    • /
    • 1992
  • 공업재료의 표면은 수많은 돌기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돌기들의 접촉으로 진실접촉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마찰은 겉보기 접촉면적과는 무관하며 진실접촉면에서 일어난다. 표면의 한 돌기가 접촉면과 상대운동을 함으로 인하여 마찰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마찰에너지 발산의 결과로서 진실접촉면적 주위의 국부적인 표면 온도가 상승되며 따라서 표면의 평균온도가 상승된다. 이러한 표면온도를 결정하기 위한 이론적 및 실험적인 방법이 많이 제시되어왔다. 정적상태에서의 표면온도는 Block(1937)과 Jaeger(1942)에 의해 이론적으로 소개하였다. Jaeger는 열원의 위치와 상대적인 접촉운동 그리고 크기 및 경계조건 등의 특정한 조건 하에서 진실접촉점의 온도를 계산하였다. 이에 Bany와 Baber(1984)는 그들의 경계조건이 잘목 정의되었음을 지적하고 더욱 세분화된 경계조건으로 온도분포를 유도한 바 있다. Ling(1969)은 접촉점에서의 온도가 주변의 겉보기 접촉면적의 온도보다 훨씬 높다는 것을 수치해석으로 밝혀냈다. 본 연구는 고속정밀촬영기를 이용하여 진실접촉점에서 발생하는 Hot spot의 온도분포를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고 그 결과를 Geoim과 Winer의 이론식에 적용하므로 식의 유용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An Efficient Segmentation Based Recognition of Unconstrained Handwritten Touching Digits (접촉된 필기체 숫자에 대한 효과적인 분할 기반 인식 방법)

  • Kim, Gye-Gyeong;Kim, Jin-Ho;Park, Hui-Ju;Bu, Gi-D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3
    • /
    • pp.223-23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접촉된 숫자들에 대한 효과적인 분할 기반 인식 방법을 제안하였다. 접촉 숫자들을 연결획 정보와 분할 후보점을 기반으로 여섯 개의 접촉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전체 후보 분할점을 해석하여 네 개의 최종 후보 분할점을 도출하므로써 과 분할로 인한 오인식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다수의 분할 후보점으로부터 신뢰성이 높은 소규모의 분할 후보점들에 대해 우선권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최종 분할 후보점들을 찾고 인식을 시도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분할기반 방식의 인식에서 초래되는 오분할에 의한 치명적인 오인식률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NIST 접촉숫자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실험 결과 92.5%의 비교적 높은 인식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Multiple Contact Spots Simulated by Array of Balls on Contact Resistance (볼군의 다수 접촉점이 접촉저항에 미치는 영향)

  • ;Myshkin,N.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8 no.11
    • /
    • pp.2967-2972
    • /
    • 1994
  • The multiple character of the contact interaction and the collective behavior of elementary microcontacts play a significant role in all the processes occurring in the surface layers, including the failure due to friction and wear. The array of metal spheres compressed between flat plates has been used for simulation of the contact behavior of multiple contact of solids under normal loading. An experimental design has been made providing regular array of the spheres at the same size with different spatial order. Measurement of electrial contact resistance has been made using the equipment providing the adequate accuracy in the range of micro Ohms. The data on electrical contact resistance have been compared with theoretical predictions using the multiple contact model of constriction resistance. The effect of single spots number and array on conductivity of contact has been evaluated.

Grasp Points Extraction Algorithm for Vision Based Micromanipulation (비젼 기반의 마이크로매니퓰레이션을 위한 조작점 추출 알고리듬)

  • Jang, Min-Soo;Lee, Seok-Joo;Park, Gwi-T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d
    • /
    • pp.2462-246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비젼 기반의 마이크로매니퓰레이션을 위해서 임의의 형태의 오브젝트에서 조작점을 추출하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본 알고리듬은 무게 중심점과 K-L 변환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조작점을 선정하고 오브젝트와 마이크로 그리퍼가 접촉하게 되는 면에서 최외곽의 접점을 접촉점으로 선정한다.

  • PDF

Contact Point Analysis for Wheel/Rail Contact Force Calculation (차륜/레일간의 접촉력 계산을 위한 접촉점 해석 알고리즘)

  • 박정훈;임진수;황요하;김창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2 no.3
    • /
    • pp.1-8
    • /
    • 1999
  • In this paper, descibed was the derived algorithm for calculating contact point between wheel and rail and the developed method for rail modeling. The proposed methods use travelling distance to represent rail center line position vector and rail orientation with respect to Newtonian reference frame. The methods call be easily used ill multibody dynamic analysis. Two numerical examples are shown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s.

  • PDF

Diastema closure with direct composite: architectural gingival contouring (레진 직접법을 이용한 치가이개의 수복: 치은 형태 회복술)

  • Kim, Yeon-Hwa;Cho, Yong-Bum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6 no.6
    • /
    • pp.515-520
    • /
    • 2011
  • One of the most challenging task in closing anterior diastema is avoiding "black triangle" between the teeth. This paper reports a case that the closure of diastema in anterior teeth could be successfully accomplished using direct adhesive restorations and gingival recontouring. The traditional technique using Mylar strip was modified to increase the emergence profile with natural contours at the gingival-tooth interface. Mylar strip was extended out of the sulcus by approximately 1 mm high from the gingival margin, and a small cotton pellet was used to provide the emergence contour. This modified approach is acceptable for the clinical situation.

Occlusal Analysis of th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Using T-Scan II System (T-Scan II 시스템을 이용한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교합 분석)

  • Yang, Dong-Hyo;Lee, Won-Seop;Kim, Mee-Eu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2 no.1
    • /
    • pp.105-111
    • /
    • 2007
  • Correlation between occlusal contact pattern and TMD have been hypothesized and partially investigated but results are controversial and not conclusi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right-to-left difference of occlusal contact pattern, through contact points, contact force and occlusal balance, in the patients with unilateral TMD and also to evaluate its change related with TMD treatment. 36 patients with unilateral TMD from Department of Oral Medicine in Dankook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selected in this study (M:F=7:29, mean age of $29.2{\pm}14.8$ years). A computerized T-Scan II system (Tekscan, INC., USA) was employed for occlusal analysis and the simultaneity and occlusal balance through the number of tooth contact and magnitude of contact force were determined before and after TMD treatment. The number of contact points and contact force was more on the unaffected side than the affected side before treatment (p=0.056 and p=0.060, respectively) whil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sides was not found after treatment. The number of contact points and contact force on the affected side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eatment (p=0.038 and p=0.052), but the unaffected sides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addition, sides difference in relative contact force decreased from about 27% to about 12% after TMD treatment (p=0.00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likely that unilateral TMD impairs right-to-left occlusal balance and that conservative TMD treatment alleviates the imbalance, subsequently leading to more symmetrical occlusal condition with increased contact points and fo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