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접촉대

Search Result 39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Poly-metamorphism of Pre-Cambrian to Paleozoic metasedimentry rocks in Janggunbong area, Korea-Crustal evolution and environmental geology of the central part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Korea- (장군봉 일대 선캠브라아대.고생대 변성퇴적암류의 다변성작용-북부 소백산육괴의 중앙부 지역의 지각진화와 환경지질-)

  • 김기영;김형식;오창환;박찬수;강지훈;류영복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5 no.2
    • /
    • pp.168-187
    • /
    • 1996
  • In the study area Uanggunbong-Samgunri area), Precambrian metamorphic complex, (Taebacksan gneiss complex, Hyundong gneiss complex, and Taebacksan schist complex) had undergone three different regional metamorphisms at least before Paleozoic. The Paleozoic sediments in the study area also had undergone three different metamorphisms at least. The first is low pressure type regional metamorphism, the second is low pressure type contact metamorphism due to the intrusion of Chunyang granite, and the last is medium pressure type metamorphism caused by thrust in south of Janggunbong area. The first metamorphism formed the prevailing metamorphic zones in the Paleozoic metasediments and the metamorphic grade of the first regional metamorphism increases from the chloritoid zone, through the staurolite zone, garnet zone, staurolite+biotite zone, and to the andalusite+biotite zone. The second metamorphism affected both Pre-Cambrian and Paleozoic metasediments located close to the Chunyang granite. The effect of the contact metamorphism is restricted to the very narrow zone around the granite. The third metamorphism that produced kyanite, is restricted to the very narrow region near the thrust fault in the south of Janggunbong with an E-W trend.

  • PDF

A study on the Contactless Power Supply System for Linear Driving System (선형 구동 시스템에 적용한 비접촉 전원장치에 관한 연구)

  • Hwang, Gye-Ho;Lee, Yeung-Sik;Moon, In-Ho;Cho, Sang-Joon;Lee, Bong-Sub;Jung, Do-Young;Kim, Dong-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b
    • /
    • pp.1045-1046
    • /
    • 2006
  • 최근 반도체 및 FPD 산업에서 Glass의 사이즈, 무게의 증가함에 따라 물류 이송 장비의 전원장치인 비접촉 전원장치의 크기와 용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또한, 클린룸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물류 이송 장비 시스템의 길이가 길어지고 Vehicle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대의 Vehicle간 독립제어가 가능하고, 물류 이송 장비의 구조가 직선부분과 곡선부분이 혼용되어진 구조에서도 사용 가능한 정전류 비접촉 전원장치의 주요 전력변환 토플로지 별 해로해석, 제어방법을 제시하였고 특히 직 병렬 공진 컨버터의 회로해석,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이 특성평가를 바탕으로 정전류 비접촉 전원장치의 시제품을 제작하여 저항성 부하와 선형 구동 시스템에 적용한 Vehicle 2대를 부하로 사용하여 실험을 행하여 실제 적용, 가능함을 보이고자 한다.

  • PDF

Granite Landforms in the Vicinity of Seungil-gyo Bridge at Cheorwon, Central Korea (철원군 승일교 인근의 화강암 지형 경관)

  • LEE, Min-Boo;HAN, Joo-Yup;KIM, Chang-Hwa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9 no.4
    • /
    • pp.27-37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granite landforms formed by Hantan-gang fluvial erosion and deposition, or by weathering in the area neighboring the Seungil-gyo bridge in Cheorwon-gun Gangwon-do Korea, in which the contact zone of Myeongseongsan granite and Cheorwon lava plateau creates a unique landform. Major granite landforms are deeply weathered hill, sheet erosional landform, paleo-landform surface and paleosoil, micro-fluvial landforms such as pothole and groove, granite rampart, sand bar and boulder bar, former riverbed. And river cliffs on a weakly weathered dome act as a barrier to lateral shifting of the river.

A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Poor Contact of Wire Connection Part in Terminal Block (단자대 전선접속개소의 접촉불량에 따른 발열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Sang-Min;Jee, Seung-Wook;Kim, Si-Kuk;Lee, Chu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48-51
    • /
    • 2011
  • 본 논문은 나사조임 단자대 내에 접속되는 전선의 접촉불량에 따른 발열특성을 분석하고자 단자대 접속개소의 조임토크를 KS C 2625에서 규정한 정상조임토크와 인위적인 불량조임토크를 변수로 설정하여 조임토크의 크기별로 동일한 부하를 인가한 후,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접속불량에 따른 발열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Geophysical Survey for Detecting the Skarn Ore Deposit (스카른광체를 탐지하기 위한 물리탐사 적용)

  • Park, Chung-Hwa;Jung, Yeon-Ho;Lee, Yong-Dong;Park, Jong-Oh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0 no.1
    • /
    • pp.71-78
    • /
    • 2010
  • The Gagok mine is a contact metasomatic deposit, located at Gagok-myeon, Samcheok city and Cheoram-dong, Taebaek city, Gangwon province. The deposit lies within the limestone of Myobong and Pungchon formations, and exists the contact of intrusive granite porphyry. In order to determine the direction and extension of mineralization in the gallery and around the entrance of the ore deposit, we used the ground magnetic survey, the direct current (dc) resistivity survey using dipole-dipole array, and resistivity tomography survey. The ground magnetic survey did not detect the anomalous zone due to ore deposit, while the dc resistivity survey and resistivity tomography survey were successful in delineating the anomalous zone related to the extension of fault toward $N50^{\circ}W$.

옥천변성대 서남부지역 변성퇴적암

  • 김성원;오창환;이덕수;이정후
    • Proceedings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05a
    • /
    • pp.1-38
    • /
    • 2002
  • 옥천변성대 서남부지역은 변성이질암의 광물조합을 기준으로 남동부부터 북서방향으로 흑운모대, 석류석대, 십자석대의 3개의 변성광물분대로 나누어진다. Oh et al. (1995a)의 연구에서 보고된 남정석들은 산출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고 변성도는 흑운모대에서 석류석대를 거쳐 십자석대로 갈수록 증가한다. 쥬라기 화강암 접촉부의 국부적인 변성암류에서는 화강암에 의한 접촉변성작용에 의해 형성된 홍주석과 규선석이 산출된다. 흑운모대의 변성 압력-온도는 4.2 - 5.1 kb, 400 - 500 $^{\circ}C$이다. 십자석대의 정누대구조를 가지는 석류석과 석류석안의 사장석, 흑운모, 금흥석, 일메나이트포유광물의 공생관계로 추정한 압력-온도 (석류석 주변부: 7.0 - 8.0 kb, 550 - 620 $^{\circ}C$; 석류석 중심부: 4.0 - 5.0 kb, 420 - 520 $^{\circ}C$) 및 십자석대 내에서 후퇴변성작용 및 접촉변성작용 받은 석류석 주변부에 기록된 압력-온도 조건(약 2.0 - 3.0kb, 450 - 55$0^{\circ}C$)과 함께 옥천변성대 서남부지역의 변성암류가 시계방향의 압력-온도 경로를 겪었음을 지시한다. 연구지역 내에서 정밀 기재된 단면들에 대한 퇴적환경을 종합하면 대체 적으로 남동부에서는 천해성 환경이 인지되나 북서쪽으로 갈수록 대륙사면을 거쳐 분지 중심의 환경으로 전이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퇴적상의 공간적 분포는 분지의 남동쪽보다 북서쪽의 침강이 우세하였던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곧 분지가 형성될 때 반지구대 (half graben) 형태로 분지가 열개 (rifting) 되었음을 의미한다. 각 변성분대에서 채취한 변성이질암으로부터 측정된 K-Ar 과 40Ar/39Ar 흑운모와 백운모 연대들은 149 - 167 Ma에 집중된다. 그리고 각 변성분대에서 동일시료에 대한 K-Ar 과 40Ar/39Ar 연대들은 동일시기를 지시함으로 연대적인 신뢰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옥천변성대 서남부지역의 변성암류를 관입하는 2개의 괴상의 화강암과 1개의 엽리화강암에서 얻어진 백운모와 흑운모들의 K-Ar 연대는 모두 156 Ma이며 옥천변성대 서남부지역의 변성이 질암의 연대와 유사하다. 이는 연구지역의 변성암류와 화강암류는 40Ar/39Ar 과 K-Ar 계의 흑운모와 백운모의 폐쇄온도 (약 300 - 350 $^{\circ}C$) 까지 동시에 냉각된 사실을 지시한다. 각섬석 편암내의 각섬석들은 복잡한 40Ar/39Ar 연대를 보여주며 일부가 평형연대를 보여주지만 특별한 의미 부여가 힘들다.

  • PDF

Estimation of Dynamic Interface Friction Properties of Geosynthetics (토목섬유의 동적 경계면 마찰특성 평가)

  • 김동진;서민우;박준범;박인준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9 no.4
    • /
    • pp.265-275
    • /
    • 2003
  • In this study, shaking table tests were conducted to estimate dynamic interface properties between geosynthetics such as geomembrane, geotextile and geosynthetic clay liner. Accelerations of both shaking table and upper box, and relative displacements between geosynthetics under dynamic loading were measured. Also, the influence of normal stress, frequency of excitation and dry/wet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analyses of test results. from the test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limited acceleration below which dynamic farce can be transmitted between geosynthetics without the loss of horizontal acceleration. Dynamic interface friction angle between geosynthetics could be calculated through the limited acceleration. Relative displacements induced along geosynthetic interfaces under dynamic loading were not consistent depending on the type of interface and test conditions. The maximum slip displacements between geosynthetics are normalized and normalized slip equations were developed for each interface. By using the normalized slip equation, maximum slip displacements for the geosynthetic interface could be predicted for the given base acceleration and frequency of excitation.

Histologic Effects of a Contact Diode Laser on Intraoral Soft Tissue (접촉식 다이오드레이저조사가 구강연조직에 미치는 조직학적 영향)

  • White, Joel M.;Shin, Keum-Back;Thompson, Rick;Myers, Terry D.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3 no.2
    • /
    • pp.101-108
    • /
    • 1998
  • 본 연구는 두 가지 관점, 즉 다이오드레이저를 구강연조직에 접촉식으로 조사하여 조직을 절제할 경우 첫째 심부조직에서의 온도 상승 정도에 대한 분석 평가, 둘째 절제에 따른 조직의 열적 응고에 대한 조직학적 분석 평가를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를 위해 도축된 소의 혀 배면으로부터 5.0mm깊이에 T형 열전대(type T thermocouple)를 설치하고 조사조건에 따른 레이저절제 도주의 온도변화를 측정하고, 또한 해당조사부위의 조직을 대상으로 통법에 의한 H-E염색 후 조직학적 측면에서 열적 응고상을 검색하여 Nd:YAG레이저의 경우에서와 비교하였다. 즉 파장815nm의 다이오드레이저를 0-10W의 출력, 50Hz와 연속파의 주파수조건에서 접촉식으로 조사하였으며, 또한 파장1064nm의 Nd:YAG레이저를 0-10W의 출력, 50Hz와 100Hz의 주파수 조건에서 접촉식으로 조사하였다. 레이저의 접촉조사시 레이저광섬유 첨단부에서 10(10gm의 일정한 압력과 25mm/sec의 이동속도로 조직을 절제하였다. 레이저가 접촉조사된 조직부위를 통법에 의해 조직학적으로 H-E염색을 시행하였으며, 계측현미경을 이용하여 10배율 아래에서 조직절제의 폭과 깊이, 측방 및 하방 쪽으로 열적 응고의 폭을 계측하였다. 계측치에 대한 통계학적 처리결과 조직절제의 폭과 측방쪽으로 열적응고의 폭은 다이오드레이저에와 Nd:YAG레이저에서 같은 정도를 나타냈다. 조직절제의 깊이는 Nd:YAG레이저에서에 비해 다이오드레이저에서 더 깊었다. 하방쪽으로의 열적응고의 폭은 Nd:YAG레이저를 10Hz의 조건에서 조사한 경우에서 가장 넓었으며, 다이오드레이저를 50Hz와 연속파의 조건에서 조사한 경우에서 가장 좁았다. 레이저절제 도중 심부조직에서의 온도변화는 다이오드 레이저에서와 Nd:YAG레이저에서 모두 출력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되었으며, 다이오드레이저에서 보다 Nd:YAG레이저에서 더 높이 상승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시도된 조사조건 범위 이내에서는 구강연조직 절제시 다이오드레이저가 펄스형 광섬유 전달식 Nd:YAG레이저 보다 심부조직에서의 낮은 온도상승과 하방쪽으로의 좁은 열적 응고의 폭을 보이면서 우수한 조직절제효과를 나타냈다.

  • PDF

Modeling Scheme for Calculating Encounter Probability Versus Minefleld Density (지뢰지대 밀도별 접촉확률 산정 모델링 방안)

  • Baek, Doo-Hyeon;Lee, Sang-Heon
    • Journal of the military operations research society of Korea
    • /
    • v.35 no.2
    • /
    • pp.77-86
    • /
    • 2009
  • The encounter probability graph is measured by the chance(in percent) that a vehicle, blindly moving through a minefield, will detonate a mine. The encounter probability graph versus minefield density is presented in ROK and US Army field manual but this graph is baseless because these data had not been presented as those of live mobility or wargame. In this paper, we verified this graph building procedure model as using computer program. The result values of program are almost like those of graph. Therefore this model for our to suggest have validation, verification that a modeling demand and we convince that this model will be useful for calculating encounter probability of multiple vehicles.

Measurement of The Thermal Contact Conductance in Nuclear Fuel Element (핵 연료 요소내의 접촉 열전도도 측정)

  • Sung-Deok Hong;;Goon-Cherl Par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2 no.1
    • /
    • pp.75-81
    • /
    • 1990
  • Experiments to predict the thermal contact conductance between the fuel pellet and cladding have been performed, which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distibution within the fuel rod. UO$_2$and Zircaloy-2 are used in these experiments. The measuring apparatus is composed of a presser which controls the contact pressure, a thermometer with 5.5 sheathed thermocouples, a vacuum pump, pellet and cladding rods, and two heating devices, etc. The thermal contact conductances were measured with varying the contact pressure and surface roughnesses of UO$_2$and Zircaloy-2 bars. The results show that an increase in the contact pressure and a decrease of surface roughness resulted in increase of the thermal contact conductance. Finally, a fitting correlation has been established and compared with widely-used correl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