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접착 특성

검색결과 856건 처리시간 0.027초

리오셀직물 심지접착포의 외관적 성능과 역학적 특성 (The Appearance-related Properties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Lyocell-interlining Bonded Fabric)

  • 김인영;송화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683-1689
    • /
    • 2006
  • 리오셀직물은 면직물보다 강하고 습윤시 치수안정성이 높으며 우수한 드레이프성, 탁월한 광택, 소프트한 촉감 등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어 최근 각광받고 있는 신소재 중 하나이다. 그러나 리오셀직물에 관한 연구는 섬유의 성질, 가공염색방법에 관한 것이 대부분으로, 적합한 봉제방법, 심지선정 등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겉감으로 시판 리오셀직물 중 숙녀복 수트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100% 텐셀직물과 65/35% 텐셀/면 혼방직물 각각에 대해 20수와 10수 모두 4종류를 선정하고 접착 심지로는 중량과 조직을 달리하는 시판 직물심지 5종류와 부직포심지 1종류를 선정하여, 리오셀 심지접착포의 접착심지와 리오셀겉감의 특성에 따른 외관적 성능과 역학적 특성을 측정한 후, 통계적 분석(t-검정, F-검정)에 의해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리오셀 심지접착포의 드레이프성과 구김회복성은 접착심지의 구조에 영향을 받고, 강연성은 접착심지의 구조와 리오셀겉감을 구성하는 실의 변수에 영향을 받는다. 2. 리오셀 신지접착포의 인장특성중 WT는 리오셀겉감을 구성하는 실의 번수와 혼용률에 영향을 받고, RT는 리오셀 겉감을 구성하는 실의 번수에 영향을 받는다.

표면접착필름이 복합재 일체형 구조물에서의 기공 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e Film on Void Behavior in Composite Integrated Structure)

  • 박동철;김윤해
    • Composites Research
    • /
    • 제33권3호
    • /
    • pp.147-15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스파/스킨 복합재 일체형 구조물 시편 제작을 통해 구조물 형상에 의한 국부적인 내부압력 구배 및 표면접착필름 적용 조건에 따른 복합재 내부 기공의 거동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표면접착 필름과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소재의 점도특성 및 열분석 비교를 통해 경화특성 및 속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스파/스킨 일체형 구조물 시편을 표면접착필름 적용 조건에 따라 2가지 유형으로 성형 제작하여 표면상태검사, 비파괴 검사 및 파괴 검사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표면접착필름이 전체 표면에 적용된 시편#1의 경우 내부구조에 의한 압력 구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낮은 압력이 적용되는 부위에서 형성된 기공들이 먼저 경화된 표면접착필름에 막혀 배출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표면접착필름이 적용되지 않아 탄소섬유 프리프레그가 전면 노출된 시편#2에서는 내부 기공이 완전히 배출됨을 볼 수 있었으며 미리 경화된 표면접착필름이 내부 기공 이동 및 배출에 있어서 차단막(Barrier film)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Microcapsule을 사용한 접착수지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Adhes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dhesive Resin Using Microcapsule with Isocyanate Compound)

  • 김동호;김구니
    • 접착 및 계면
    • /
    • 제15권3호
    • /
    • pp.109-11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내부에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microcapsule을 합성하였으며, 제조된 microcapsule에 대한 분석 및 폴리우레탄 수지와 병용했을 때의 기계적 물성과 접착특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전자현미경을 사용해서 합성된 microcapsule이 구형의 외관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FT-IR과 TGA 분석을 통해서 microcapsule의 core 물질이 IPDI인 것과 각 구성요소들의 성분비를 확인하였다. 폴리우레탄 수지 자체 및 microcapsule을 포함한 경우의 접착력 및 물성을 평가한 결과 접착수지 내에 포함된 microcapsule 내 IPDI의 가교반응에 의해서 폴리우레탄 수지 자체에 비해 접착력, 인장강도, 내마모 특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crylic Modified Hydrocarbone Resin을 포함하는 저독성 프라이머의 제조 및 특성 (Adhesion Properties of Low VOC-type Primer Containing Acrylic Modified Tackifier Resin)

  • 정부영;천정미;오상택;천제환;조남주
    • 접착 및 계면
    • /
    • 제12권1호
    • /
    • pp.11-1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저독성 용제에 용해도가 있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을 합성하고 폴리우레탄 합성시 사용되는 사슬연장제 및 NCO/OH 비에 따른 물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합성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난접착재질용 저독성 프라이머를 제조하고 접착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TPU 합성시 r(NCO/OH) = 2.0 이상인 경우에는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의 종류에 관계없이, 저독성 용제에 용해도가 저하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non polar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접착증진제보다는 polar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접착증진제의 접착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특집:자연모사 그린테크놀로지 - 자연모사 바이오 접착 패치 개발

  • 김정훈;서갑양
    • 기계와재료
    • /
    • 제23권4호
    • /
    • pp.16-25
    • /
    • 2011
  • 본고는 자연모사공학에서 출발하여, 자연계에 존재하는 건식 접착 성질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게코도마뱀의 발바닥 섬모 구조를 모사하기 위한 방안들을 설명하고 그 응용분야를 전망한다. 도마뱀의 섬모 구조가 가지는 네 가지 특징들은 고분자 폴리머 재료와 나노 신장 기술, 2단계 UV 자외선 성형 기술, 전자빔 조사 등과 같은 기술을 통해 구조 및 기능의 모사가 가능하고 실제로 제작된 구조는 좋은 접착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다양한 섬모 구조에서의 접착 성능을 분석하고 실제 생활에서 바이오 패치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복합재 접착 체결 구조의 접착 상태가 모드 I 균열 성장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dhesion Condition on the Mode I Crack Growth Characteristics of Adhesively Bonded Composites Joints)

  • 노해리;전민혁;조현준;김인걸;우경식;김화수;최동수
    • Composites Research
    • /
    • 제34권5호
    • /
    • pp.323-329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불균일한 접착 상태를 가지는 복합재 접착 체결 시편에 대하여 모드 I 하중에서의 파괴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Double Cantilever Beam(DCB)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모드 I 파괴 인성을 도출하였다. 불균일한 접착 상태를 갖는 시편의 경우 안정한 균열 성장 구간과 불안정한 균열 성장 구간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DCB 시험에서 구한 하중-변위 선도와 시편의 파손 단면을 통해 각 구간의 파괴 특성을 관찰하였다. 시험에서 측정된 균열 길이를 기준으로 세분화된 구간과 각 구간의 모드 I 파괴 인성을 이용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DCB 시험 결과와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통해 불균일한 접착 상태를 가지는 시편의 파괴 거동을 모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플라즈마 용사법에 의한 금속면에 세라믹 코팅된 표면과 범용고분자와의 접착특성 (Adhesion Characteristics of Polymers and Ceramic Surface Coated on Metal by Plasma Spray)

  • 이경희;권순훈;조원제;하창식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7호
    • /
    • pp.724-734
    • /
    • 1999
  • 본 연구는 플라즈마 용사법에 의해 일반구조용 강재 (SS41, 30$\times$40$\times$60mm$^{t}$ )와 연마제로 블래스팅을 실시한 강재 (SS41P) 및 SS41P에 세라믹 분말을 코팅한 강재 (SS41PC)에 대한 SEM, 표면경도. 표면거칠기. 접촉각을 측정하였으며 이들의 표면형태에 대한 기계적 .물리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사용한 세라믹 용사분말은 \circled1 $Al_2$O$_3$ : alumina \circled2 $Al_2$O$_3$ 95%, TiO$_2$ 5% : alumina titania \circled3 ZrO$_2$: 95%, $Y_2$O$_3$5% : zirconia yttria이었다. 또한 SS41, SS41P. SS41PC에 대해 범용 고분자인 PE, PVC, PP PET, PS를 접착시킨 후 이들의 표면접착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인장전단강도와 박리강도의 특성에서 SS41보다는 SS41P와 SS41PC의 표면상태가 고분자들을 접착시켰을 때 더 우수한 접착강도특성을 나타내었다. 범용 고분자들의 접착강도는 PE > PET > PP > PS > PVC 순이었다. 그리고 세라믹 표면과 고분자의 접착특성은 세라믹 표면의 표면거칠기 정도와 고분자의 세라믹 표면에 대한 anchor 효과의 크기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SS41PC와 PE의 접착강도는 분자표면의 규칙성에 기인된 Synergy효과에 의해서 PVC보다 우수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정된다

  • PDF

복합재 손상보수용 자가치료제의 중합 거동 (Polymerization Behavior of Self-healing Agents for Damage Repair in Composite Materials)

  • 오진오;윤성호;장세용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5-4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시차주사열량계시험, 반응열시험, 접착전단시험을 통해 자가치료제의 열분석 특성과 접착 특성을 평가하였다. 자가치료제는 DCPD와 ENB의 혼합비에 따라 D1E0, D3E1, D1E1, D1E3, D0E1을 고려하였다. 촉매는 Grubbs' catalyst를 자가치료제의 종류에 따라 0.1 wt%에서 1.5 wt%까지 적용하였다. DCPD의 경우는 촉매 양이 많을수록 중합반응이 빠르고 안정화된 접착강도가 높아지지만 많은 양의 촉매가 요구된다. ENB의 경우 촉매와의 반응성이 우수하여 적은 양의 촉매로도 빠른 중합반응을 얻을 수 있지만 반응열이 높게 나타난다. DCPD와 ENB의 혼합비를 변화시키면 자가치료제의 열분석 특성 및 접착 특성을 조절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고려한 자가치료제 중 D3E1가 최대접착강도, 최대접착강도에 도달하는 시간, 안정화된 접착강도, 반응열 측면에서 자가치료제로 가장 유리함을 알 수 있다.

폐타이어 고무분말 개질 아스팔트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공정조건의 영향 (Influence of Processing Condition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Crumb Rubber Modified Asphalts)

  • 오광중;김종석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239-246
    • /
    • 2008
  • 본 연구는 폐타이어 고무분말 개질 아스팔트(crumb rubber modified asphalt, CRMA) 공정조건에서 반응온도, 혼합반응시간 및 유연성 개질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온에서 아스팔트바인더와 개질 아스팔트의 온도 민감성과 접착특성은 침입도와 인장접착강도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유연제와 공정온도가 인장접착강도와 강인화 에너지의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더 높은 혼합온도와 연성 개질제에서 CRMA의 인장접착물성이 향상되는 것은 아스팔트바인더와 개질 아스팔트의 연성구조에 기인한다. CRMA의 물리적 특성의 개선은 CR과 아스팔트바인더간의 상용성에 있다. 유연제가 CR과 아스팔트바인더 안에 침투되어, 유연제에 의해 개질된 CRMA는 CRMA보다 접착특성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