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접착제 접합재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3초

평택 대추리 유적 출토 원삼국시대 대형옹(甕)에 사용된 접착재료 연구 (A Study on the Bonding Materials used for the Great Jar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from Daechuri Site, Pyeongtaek)

  • 조남철;김수철;김우현;신연식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1-376
    • /
    • 2010
  • 평택 대추리 유적에서는 원삼국시대로 추정되는 대형옹이 발굴되었으며, 발굴 시 파손된 편들에서 접합한 흔적들을 선명히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형옹편들을 접합할 때 사용한 접착제의 성분을 실체현미경, FT-IR, py-GC/MS를 이용하여 알아보았으며, 같이 붙어 있는 직물의 종류를 투과광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실체현미경으로 단면을 관찰한 결과 옹편과 접합부위 사이에는 접착물질로 보이는 검은색 물질이 균일하게 도포되어 있으며, 아래에는 직물의 단면 모양을 지닌 선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검은색 접착물질을 FT-IR과 py-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분석한 결과 옻칠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투과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옻칠과 함께 붙어있던 직물의 종류를 알아본 결과 대마(hemp)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고대 유물을 수리할 때 사용한 재료들에 대하여 자료가 거의 없음으로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이번 연구를 통하여 원삼국시대 이전부터 대형옹를 접합할 때 옻칠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고대로부터 사용되어온 접착제에 대하여 체계적인 성분조사가 이루어진다면 고대 유물에 사용되었던 접착.복원제를 연구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파푸아뉴기니아산(産) 타운재(材)의 합판제조조건(合板製造條件) (On Plywood Manufacture from Tauns Grown in Papua New Guinea)

  • 장운용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9-16
    • /
    • 1980
  • Papua New Guinea(PNG)산(産) TAUN재(材)를 이용한 합판제조 조건을 확립하였다. Taunwo(材)는 목질(木質)이 다양(多樣)하고 건조후 함수 분포가 균일(均一)치 못하여 퇴적(堆積)양생시키므로써 적정 함수분포를 유지할 수가 있었다. 또한 조직이 치밀하여 접착제와의 친화성이 낮아 집착불량이 용이하게 발생되기 쉬운 재(材)이나 제호시 수지율을 높여 도포하므로서 접착불량을 제거할 수가 있었다. Taun재(材)는 lauan재(材)나 kapur(材)와 혼합접합(混合接合) 하여도 접착력은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 PDF

보강목질적층판이 사용된 집성재 접합부의 모멘트 저항성능 평가 (Evaluation of The Moment Resistance of Reinforced Wooden Gusset to Glulam Joint)

  • 이인환;송요진;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53-6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강성, 고인성의 경량화된 목질접합부를 제작하기 위하여 슬릿 가공된 기둥부재 중앙에 강판 대용인 목질접합물을 삽입하고 기둥부재와 목질접합물만 결합된 시험편들을 제작하였다. 시험편들은 강판을 사용한 대조군 시험편과 모멘트 저항성능을 비교분석하였다. GFRP보강목질적층판과 핀으로 제작된 시험편들은 강판삽입형 시험편 보다 평균 24% 저하된 최대모멘트가 측정되었으나 양호한 인성이 관찰되었다. 파괴형상은 기둥부재의 연단부분에서 연륜을 따라 파괴되었다. 집성재와 목질적층판을 접착제로 일체화한 강절형 시험편은 대조군 시험편보다 초기강성이 2.8배 향상되었고, 최대모멘트도 평균 40% 향상된 경향을 보였다. 강절형 시험편들은 접착층 주위에서 파단되었다.

몽골 도르릭나르스 유적 토기의 접합에 사용한 물질 분석 (Analysis of adhesive material for joining pottery fragments excavated from Duurlig Nars, Mongolia)

  • 윤은영;강형태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3-38
    • /
    • 2014
  • AD 1세기로 추정되는 몽골 도르릭나르스 흉노 무덤에서 출토된 토기는 파단면을 따라 검은색의 유기물로 접합한 흔적이 남아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부착된 검은색 유기물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GC-MS를 이용하여 성분분석 한 결과, 자작나무 껍질 타르의 특성 성분으로 알려진 루페올(Lupeol) 및 베툴린(Betulin) 등을 포함한 Triterpenoid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고대 몽골에서는 자작나무 껍질로 만든 타르를 사용하여 토기를 접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고고자료에 잔존하는 유기물에 대하여 체계적인 과학적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과거의 생활 모습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주 은령총 출토 청동제합의 보존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Bronze Bowl with a Lid Excavated From Silver Bell Tomb in Gyeougju)

  • 최희윤;허일권;안주영;박학수;유혜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7권
    • /
    • pp.3-10
    • /
    • 2006
  • 경주 은령총에서 출토된 청동제 합은 과거 접합되었다가 파손된 상태로 본체의 경우 전체의 절반 정도만이 남아있어 보존 및 전시를 위해서 보존처리 하였다. 이물질 및 열화된 접착제의 제거 후 재접합 하였는데, 비교적 많은 부분이 남아있는 뚜껑은 복원부위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가역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본체의 경우 복원부위가 많기 때문에 유물의 하중을 잘 견딜 수 있도록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여 접합하였다. 합을 비파괴 조사한 결과 주조품 이었으며 재질은 Cu-Sn-Pb의 3원계 합금으로 나타났다.

고경질 도막을 이용한 PET 필름 접합공법의 필름 표면처리 방법에 따른 접합특성 연구 (A Study on the Joint Property by the Surface Treatment Method on the Jointing Method of PET Film using the High Hardness Liquid)

  • 이종석;김영삼;신홍철;김영근;강충모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53-15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고경질 도막재로 PET 필름을 접합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PET 필름의 표면처리 조건 및 겹침이음 길이에 따른 접합특성 및 내구특성을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 무처리 보다 코로나 방전 처리에 의해 접촉각, 접합 인장강도, 벗김저항성이 개선되었다. 특히 시험체 E (코로나 방전+프라이머+강접접착제+폴리에스터 부직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겹침 이음길이 15mm 이상일 때 16주간 장기간 열화처리에도 안정적인 접합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나 방수재료로서 수밀성을 확보할 것으로 판단된다.

탄화규소 단결정 성장을 위한 종자결정모듈의 탄화규소-흑연 간 접합계면의 기계적 특성 평가 (Mechanical evaluation of SiC-graphite interface of seed crystal module for growing SiC single crystals)

  • 강준혁;김용현;신윤지;배시영;장연숙;이원재;정성민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212-217
    • /
    • 2022
  • 고온의 탄화규소 단결정성장공정에서는 탄화규소-흑연간의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한 열응력이 크게 발생할 수 있어 흑연부재로부터 탄화규소 종자정이 분리되어 성장 중에 종자정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탄화규소 종자정 모듈의 접합특성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탄화규소-흑연 간의 접합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3점 굽힘시험법을 응용한 복합모드꺾임시험(Mixed-Mode Flexure Test)을 통해 탄화규소-흑연을 서로 다른 접합제를 적용하여 접합한 시편의 접합 특성을 확인하고, 흑연 접착제의 미세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라만분광법(Raman spectroscopy), X선 광전자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및 X선 전산화 단층촬영법(X-ray Computed Tomography)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선별한 접착성이 우수한 접착제를 적용하여 직경 50 mm급의 탄화규소 종자결정모듈을 제작하고, 이를 적용하여 고온의 상부종자용액성장 공정을 이용하여 공정 중 종자정의 탈락없이 성공적으로 직경 50 mm급의 탄화규소 단결정을 성장시켰다.

탄소 복합재-알루미늄 단일겹침 접착 체결부의 강도에 관한 인자연구 (A Parametric Study on the Strength of Single-Lap Bonded Joints of Carbon Composite and Aluminum)

  • 김태환;성명수;최진호;권진회
    • Composites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34-4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탄소 복합재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이종재료 단일겹침 접착 체결부에서, 파손하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들의 효과를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실험을 위해 접착압력 4가지(2, 3, 4, 6기압), 겹침길이 6가지(15, 20, 25, 30, 35, 40 mm), 모재 두께 2가지(1.58, 3.01 mm)에 대한 시편 총 66개를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접착제 FM73에 대해 제작사에서 제시한 접착압력은 약 3기압이었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이종재료 접착의 경우, 최소 4기압 이상의 접착압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겹침길이를 증가시킬 경우 파손하중이 증가하지만 접착부의 폭과 길이의 비가 1을 넘어갈 경우 접착강도 즉 단위 접착면적당의 파손하중의 증가는 크지 않았다. 모재의 두께도 접착부 파손하중 및 강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모재의 두께가 약 2배로 증가할 때 접착강도는 $12{\sim}32%$까지 증가하였다. 접착부의 파손은 대부분 복합재 모재의 층간분리 형태로 발생하였으며, 접착압력이 높아질수록, 접착길이가 길어질수록 층간분리가 발생하는 위치가 적층판 내부로 깊게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핑거공차가 핑거접합재의 압축강도 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stance between Finger Tip and Root Width on Compressive Strength Performance of Finger-Jointed Timber)

  • 류현수;안상열;박한민;변희섭;김종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66-7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이태리 포플러, 소나무 및 굴참나무를 공시재료로 초산비닐(PVAc), 레조시놀-페놀 공축합 수지(RPR)접착제를 사용하여 핑거공차별(0, 0.15, 0.30, 0.45 mm)로 핑거 접합재를 제작하였고, 종압축 강도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종압축 영률 유효율은 3수종 모두 소재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고, 종압축 강도 유효율은 3수종 모두 평균 90%이상의 높은 유효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소나무재의 경우 모든 조건에서 97% 이상의 높은 유효율을 나타내었다. 최대 변위 유효율은 이태리 포플러재의 경우 소재의 2배, 소나무재와 굴참나무재의 경우 각각 소재의 1.2와 1.3배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핑거공차에 따른 영향에서는 이태리 포플러재의 경우 핑거공차 0에서 가장 높은 압축강도 유효율을 나타내었고, 소나무재와 굴참나무재의 경우 핑거공차 0.15와 0.30에서 가장 높은 강도 유효율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가혹 환경이 복합재/Ni-Cr 합금 접착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 of Adhesive Shear Strength of CFRP/Ni-Cr Alloy Under Severe Environmental Condition)

  • 조현태;박성민;김민준;황반토;김학인;손명숙;안종기;안지민;최진호;남영우;권진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3권5호
    • /
    • pp.275-28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팬 블레이드에 적용되는 복합재와 금속 간의 접합 구조물에 대한 온도, 습도에 따른 접착제의 물성 변화에 관해 연구하였다. 항공기 운용 시 노출되는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상온 건조(Room Temperature Dry, RTD), 고온 흡습(Evaluated Temperature Wet, ETW), 저온 건조(Cold Temperature Dry, CTD) 세가지 환경에서 강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접착전단강도 시험은 ASTM D3528을 기준으로 수행하였고, 파손 영역에 대한 마이크로 구조 특성을 SEM이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RTD 환경에서의 전단강도 대비하여 ETW 환경에서 72.8% 저하되었으며, CTD 환경에서는 56.5% 증가되었다. 이는 고온 및 수분 흡습이 접착제의 기계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고, 저온 환경에서는 모재와 접착제 모두 취성의 증가로 인해 접착 전단 강도가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