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접착일

검색결과 2,707건 처리시간 0.03초

초두구로부터 분리한 비환식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의 세포 접착인자 저해활성 (Inhibition of Cell Adhesion by Noncyclic Triterpenoids from Alpinia katsumadai)

  • 김지수;노문철;김강성;김관희;임병용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50-256
    • /
    • 2007
  • 1. 천연자원으로부터 ICAM-1과 LFA-1 매개성 세포접착 저해제를 탐색한 결과, 초두구 에탄올 추출물은 이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2. 초두구로부터 세포 접착 인자 활성에 관한 물질을 분리 정제하기 위하여, 각종 용매추출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얻은 화합물 1과 2로 세포접착인자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3. 분리된 화합물 1과 2의 sICAM-1과 THP-1 세포와의 결합저해활성 측정 결과, $IC_{50}$ 값은 각각 $7.59{\mu}g/m{\ell}$$6.98{\mu}g/m{\ell}$로 측정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4. 분리된 화합물 1과 2의 CHO-ICAM-1과 THP-1 세포간의 결합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IC_{50}$ 값이 각각 $6.7{\mu}g/m{\ell}$$5.5{\mu}g/m{\ell}$로 측정되었다. 5. 이상의 실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초두구로부터 분리한 비환식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들은 세포 접착인자에 대한 저해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 기전을 통하여 생길 수 있는 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에 유효할 것이다. 특히 동맥경화에 대해서는 새로운 기전으로 접근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치료제들의 작용기작과는 다른 약품의 개발이 기대된다. 또한 ICAM-1은 염증반응 및 암의 전이에도 관련되어 있으므로, 동맥경화 관련 질환이외에도 다양한 질환에 대한 의약품으로의 응용도 기대된다.

  • PDF

Natural Rubbe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과 강선과의 접착거동 (Mechanical Properties of Natural Rubbe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Blends and Their Adhesion Behavior with Steel Cords)

  • 손봉영;나창운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6권2호
    • /
    • pp.111-120
    • /
    • 2001
  • NR/NBR 혼합고무 컴파운드의 기계적 물성과 아연 및 황동피복 강선과의 접착특성에 대해 NR/NBR 조성비에 대한 함수로 조사하였다. Mooney 점도와 응력이완시간은 NBR 함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NBR 함량증가에 따라 모듈러스는 전반적으로 증가하였고, 인장강도의 경우 NBR 함량이 40 phr 이하일 경우 유사한 수준을 보이다가 $50{\sim}60\;phr$일 때 최소치를 보인 후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파괴점에서의 변형은 NBR 함량이 50 phr 이하의 범위에서는 선형적인 감소를 보인 후 50 phr 이후에서는 거의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NR/NBR 혼합고무 컴파운드는 NR과 NBR의 유리전이온도인 $-10^{\circ}C$$-55^{\circ}C$에서 탄성모듈러스의 급격한 전이와 tan ${\delta}$ 피크를 나타내 비상용성 블렌드의 거동을 나타내었다. 접착력(pullout force)과 rubber coverage 공히 NBR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여 NR/NBR 혼합비가 50/50인 경우 NR 컴파운드 대비 약 40% 수준을 보였고, 순수한 NBR 컴파운드의 경우 접착력은 다시 증가하여 NR 컴파운드 대비 약 90% 수준의 접착력을 보였다. Auger spectrometer 분석결과 NBR 함량이 증가할수록 황함량이 감소하였고, 이는 강선-고무간 접착계면에서 접착층이 충분히 성장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하고 접착성능 하락의 원인으로 해석하였다.

  • PDF

재생자원 유래 퓨란계 에폭시 화합물의 합성 및 접착 특성 (Synthesis of Renewable Resource-derived Furan-based Epoxy Compounds and Their Adhesive Property)

  • 이재성;이상협;정재원;김백진;조진구;김현중
    • 접착 및 계면
    • /
    • 제11권2호
    • /
    • pp.41-49
    • /
    • 2010
  • 탄소 중립형 친환경 접착소재로서, 퓨란기를 함유하는 에폭시 단량체(8, 9)를 설계하고 합성하였다.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리파이너리 공정을 통해 쉽게 얻을 수 있는 퓨란과 메틸 아크릴레이트를 출발물질로 하여 Diels-Alder 반응을 통하여 이중고리 뼈대를 합성하였다. 이후 에스테르 작용기를 알코올로 환원한 후 에피클로로하이드린과 반응하여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새로운 퓨란계 단량체(8, 9)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1H$ and $^{13}C$ NMR으로 확인하였으며, UV 경화형 단량체로서의 기본적인 성질인 광경화 속도 및 광경화율은 Photo-DSC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선형가변 미분변환기(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transducer LVDT)와 UV Spot curing 장비를 통해 화합물의 경화 수축율을 측정하여 화합물의 분자구조가 경화수축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각 합성 화합물을 폴리카보네이트 피착재 사이에 도포하고 광경화 후 lab shear test를 수행한 결과 3 MPa 이상의 전단강도를 보임으로써 재생자원 유래 신규 화합물이 접착소재로서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치에 대한 3-in-1 유동성 복합레진의 전단결합강도 (Shear Bond Strength of a 3-in-1 Flowable Composite Resin to Primary Teeth)

  • 이형직;신종현;김지연;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36-444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새로 소개된 3-in-1 자가부식, 자가접착 유동성 복합레진의 유치 법랑질과 상아질에 대한 결합력을 기존의 접착 시스템들과 비교 평가하기 위함이다. 110개의 발치된 건전한 유전치를 상아질과 법랑질, 그리고 접착 시스템에 따라 11개의 군으로 나눴다. 연구재료로 Scotchbond Multi-Purpose Plus, Single bond 2, Clearfil SE Bond, All-Bond Universal, Constic을 사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평가하였다. 3-in-1 자가부식, 자가접착 유동성 복합레진은 상아질과 법랑질 연구에서 모두 가장 낮은 전단결합강도를 나타냈지만 몇몇 접착 시스템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유치 수복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실리카의 플라즈마 중합 코팅에 의한 에폭시 봉지재의 물성 향상 연구 (Enhanced Properties of Epoxy Molding Compound by Plasma Polymerization Coating of Silica)

  • 노준호;이지훈;윤태호
    • 접착 및 계면
    • /
    • 제2권2호
    • /
    • pp.1-10
    • /
    • 2001
  • Epoxy molding compound (EMC)에 사용되는 실리카를 13.56 MHz 플라즈마 중합 장치를 이용하여 코팅하였으며, 코팅시간, 플라즈마전압, 내부압력을 변화시키면서 코팅조건을 최적화하였다. 플라즈마 중합 코팅용 단량체로는 1.3-diaminopropane, allylamine, pyrrole, 1,2-epoxy-5-hexene, allylmercaptan 및 allylalcohol을 사용하였으며, 코팅된 실리카의 접착성은 굴곡강도 측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열팽창 계수 (CTE) 및 수분 흡습률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파괴 단면을 SEM으로 분석하여 접착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플라즈마 중합 코팅된 실리카와 에폭시 수지간의 접착기구를 규명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고분자 코팅을 FT-IR로 분석하였으며, DSC를 이용하여 코팅된 실리카와 에폭시 수지간의 반응성도 고찰하였다. 1,3-diaminopropane과 allylamine으로 코팅된 실리카를 함유하는 EMC는 비교시편에 비하여 높은 굴곡강도, 낮은 CTE 및 낮은 흡습율을 보였으며, SEM 분석 결과 100% cohesive failure 거동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분자 코팅내의 아민 반응기와 에폭시 수지간의 화학적 결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FT-IR 및 DSC 분석결과와 부합된다.

  • PDF

일액형 알코올형 실리콘 실란트의 제조 및 접착 물성 (Preparation and Adhesion of One Part Room Temperature Curable Alkoxy Type Silicone Sealant)

  • 김대준;박영준;김현중;이봉우;한재철
    • 접착 및 계면
    • /
    • 제2권4호
    • /
    • pp.1-9
    • /
    • 2001
  • 실리콘 실란트는 실리콘폴리머, 가소제(plasticizer), 가교제(crosslinker), 충전제(filler), 촉매(catalyst), 첨가제(additive) 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실란트의 실용특성에는 각 제조변수의 종류와 혼합비율이 크게 영향한다. 알코올형 실리콘 실란트는 최근들어 환경적인 이점 때문에 그 사용이 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온경화형 일액형 알코올형 실리콘 실란트를 PDMS(polydimethylsiloxane)의 점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후 그 접착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점도 20000과 80000 cps의 PDMS를 혼합 사용하고 가교제, 가소제, 촉매 등의 함량을 변화시켜가면서 실란트를 제조하고 접착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각 실란트의 제조과정 중의 반응온도 변화를 기록하여 적절한 제조조건을 얻도록 하였다. 실란트 제조시 혼합물의 온도가 $40^{\circ}C$ 이하가 되도록 제조변수의 조성을 조절하여 적합한 물성의 실란트를 제조할 수 있었다. 피착재에 따라 접착력이 달라졌으며, 유리/유리 > 유리/알루미늄 > 알루미늄/알루미늄 순으로 나타났다. 실란트의 신장률은 폴리머 점도와 가소제의 함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강도는 가교제와 가소제 함량 감소와 촉매함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 PDF

상아질 접착제의 용매 증발이 접착 효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lvent evaporation of dentin adhesive on bonding efficacy)

  • 조민우;김지연;김덕수;최경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5호
    • /
    • pp.321-334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상아질 접착제의 잔류 용매가 접착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5세대 2단계 산부식형 접착제와 7세대 단일과정 자가부식형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상아질 접착제의 증발률과 전환률, 적용 후 용매의 공기건조 방법에 따른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접착 계면을 FE-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1. 시간에 따라 접착제의 증발률은 증가하나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증가 양상이 서로 달랐다. 2. 대부분 전환률은 증발률에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공기건조 방법에 따라 결합강도는 대부분 under군, control군, over군 순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4. FE-SEM에서 아세톤을 용매로 사용하는 접착제는 공기건조 방법에 따라 droplet이나 gap이 관찰되었다. 결론: 상아질 접착제의 잔류 용매는 접착 효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아질 접착제의 선택과 사용 시 용매의 종류와 특징에 대한 적절한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요소수지접착합판(尿素樹脂接着合板)의 유리(遊離)포름알데히드 방산(放散)제거 및 조절방법에 대한 비교연구(比較硏究)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rol and Removal of Formaldehyde for the Urea-formaldehyde Resin Bonded Plywood -Adhesive control-)

  • 이화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16-23
    • /
    • 1981
  • 요소수지(尿素樹脂)를 접착제(接着劑)로 사용(使用)한 수질품종중(水質製品中) 합판(合板)은 건축내장(建築內裝) 및 가구(家具), 후래쉬도아, 마루판등(等) 광범하고 다양한 용도로 주거환경(住居環境)에 사용(使用)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합판중(合板中) 요소수지접착층(尿素樹脂接着層)으로부터 유리(遊離) 또는 분해(分解)되어 방출(方出)되는 포름알데히드는 유독(有毒)한 화학약제로서 극소량의 농축으로도 불쾌감, 두통(頭痛) 및 인체(人體)에 위험을 실제로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리포름알데히드를 제거 또는 조절하여 소위 "포름알데히드 문제"를 해결(解決)하는 처리방법(處理方法)에 목표를 두고 탈(脫)포름알데히드효과(效果) 및 합판(合板)의 재질(材質)에 미치는 효과(效果)를 상호 비교(比較)하고 그 개선점(改善點)을 밝히고자 하였다. 개량(改良)크로모토로픽산(酸) 방법(方法)으로 유리포름알데히드를 정량(定量)하였으며 주로 접착제제조(接着劑製造) 및 혼합(混合)에 중점을 두고 제거제(除去劑)를 첨가할 때의 효과(效果)를 비교(比較)하였으며 도포방법(塗布方法)은 요소처리(尿素處理)에 한(限)하였다.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다. 1. 요소용액(尿素溶液)침지처리와 경화제처리(硬化劑處理)가 가장 좋은 유리포름알데히드방산제거효과(放散除去效果)를 가져 왔으며, 리조시놀 4%, 알부민처리(處理)도 좋은 결과(結果)를 가져왔고 수피분증량처리도 그 가능성이 있음을 볼 수 있다. 2. 합판접착강도(合板接着强度)는 상태접착강도(常態接着强度)에서 모든 처리(處理)가 전부 규격에 합격(合格)하여 특히 리조시놀 2%와 요소용액침적처리(尿素溶液沈積處理)가 월등히 높았고, 2류합판(類合板)온수시험에 의(依)한 접착강도(接着强度)는 경화제처리(硬化劑處理)로만 불합격(不合格)이고 리조시놀 2%가 대비합판(對比合板)에 비(比)하여 좋은 강도(强度)를 보였고 수피(樹皮), 요소처리(尿素處理)가 대비(對比) 합판(合板)보다 강도(强度)가 높았다. 3. 처리합판(處理合板)의 기건함수율(氣乾含水率)은 11~13% 사이로 모두 규격(規格)을 만족시켰다. 4. 리조시놀, 알부민과 요소용액침적처리(尿素溶液沈積處理)의 혼합효과(混合效果)는 계속 연구(硏究)하면 더 좋은 결과(結果)를 획득하리라 사료된다.

  • PDF

적층 각도를 가진 CFRP 접착 구조물의 파손 및 정적 파괴 특성에 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Damage and Static Fracture Characteristic of the Bonded CFRP structure with Laminate angle)

  • 이정호;김은도;조재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55-161
    • /
    • 2019
  • 복합소재는 기존의 일반적인 소재보다 내구성과 기계적 성질들이 뛰어난 경량 소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량 복합소재에 주목하여,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한 CFRP 접착구조물의 정적 파괴 특성을 조사하고자 했고 적층 각도를 변수로 한 CFRP 이중외팔보 시험편을 설계하여 정적 파괴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설계된 CFRP 이중외팔보 시험편들의 적층각도들은 각각 $30^{\circ}$$45^{\circ}$, $60^{\circ}$이며, 연구 결과로서는 적층 각도 $45^{\circ}$인 시험편이 가장 $30^{\circ}$, $60^{\circ}$의 적층 각도를 가진 시험편들보다 더 좋은 내구성을 보였으며, $30^{\circ}$의 적층 각도를 가진 시험편이 모든 시험편 중에서 내구성이 가장 취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적층 각도 별 CFRP 접착구조물의 파손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얻은 접착 계면의 파손데이터를 활용함으로서 실생활에서의 기계나 구조물에 융합하여 그 미적 감각을 나타낼 수 있다.

19~20세기 생활민속자료에 사용된 셀룰로오스 나이트레이트의 강화와 접착 연구 (Consolidation and Adhesion of Cellulose Nitrate of Folklore Artifacts in the 19~20th Century)

  • 오준석;이새롬;황민영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59-470
    • /
    • 2018
  • 19~20세기 생활민속자료(갓끈 장식, 구슬 및 대롱, 안경테, 안경집 장식, 망건 풍잠 및 관자, 저고리 단추 등)에 사용된 셀룰로오스 나이트레이트는 열화에 의해 균열과 미세 균열이 일어나 부서지고 있다. 균열에 의해 부서진 셀룰로오스 나이트레이트 생활민속자료의 보존을 위해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접착제 4종에 대해 강화와 접착을 평가하였다. 강화처리를 위한 저농도의 아크릴 에멀젼의 점도는 Plextol D 498이 가장 낮았다. 그리고 유리전이온도(Tg)가 상온이하의 접착제 필름은 인장응력과 탄성률은 감소하고 변형률은 증가하여 유연성이 높았다. 인공 태양광 가속 열화 후에는 Plextol D 498과 Primal AC 35 필름은 접착력과 유연성을 유지하였고, Plextol D 498과 Dispersion K 52는 황변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Plextol D 498이 가속 열화에 가장 안정적이었다. 저농도 아크릴 에멀젼의 셀룰로오스 나이트레이트로의 침투성은 Plextol D 498이 가장 우수하였다. Plextol D 498 에멀젼을 사용하여 열화에 의해 부서진 갓끈의 중앙장식에 대한 보존처리는 저농도로(1%, 3%) 수 회 강화처리 후 고농도로(20%) 조각을 접착하여, 열화에 의해 부서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었고 접착이 잘 유지되었다. 보존처리 후 산소와 수분으로 부터의 열화를 막기 위해, 저습도용 탈산소제와 함께 산소 차단 필름으로 밀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