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점 결함

Search Result 24,049,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Scheme about extracting feature points by using edge information and Scale Space Filtering (에지정보와 Scale Space 필터를 이용한 특징점 추출 기법)

  • 김정학;박영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565-567
    • /
    • 2002
  • 동영상에서 특정 물체를 추적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그 중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정합하여, 움직이고 있는 물체를 추적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특징점을 추출하는 방법 중에서 에지정보를 이용하는 방법과 직접 이미지에 접근하는 방식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물체의 에지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점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널리 이용되고 있는 Canny Edge Detection(1) 알고리즘 이용, 에지를 얻게 되는데, 여기서 특징점 추출에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경우에 대비하여 에지를 보정하고, 결과의 에지에서 특징 점을 추출한다. 보정된 에지정보에서 시작점, 끝점, 둘 이상의 에지가 모인 분기점과 굴곡률이 국부 최대인 지점을 찾아 특징점을 추출한다.

  • PDF

Poly Si Buffer-layer 도입에 의한 실리콘 양자점층 두께 증가에 따른 실리콘 양자점 태양전지 효율 향상

  • Baek, Hyeon-Jeong;Park, Jae-Hui;Kim, Tae-Un;Kim, Gyeong-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354-354
    • /
    • 2012
  • 실리콘 양자점 태양전지는 실리콘이 nm 크기의 양자점으로 될 경우 밴드갭이 증가하여 태양광 중의 가시광선을 광전변환에 활용함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키는 차세대 태양전지이다. 그러나 실리콘 양자점이 SiO2 매질 내에 분포하므로 양자점층의 두께가 증가할 경우 박막의 직렬저항이 증가하여 일정 두께 이상이 되면 효율이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연구에서는 두께증가에 따른 효율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완충층을 도입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형태의 실리콘 양자점 태양전지를 제작하여 광전변환 특성을 비교하였다. 첫 번재 구조는 B이 도핑된 단일 실리콘 양자점층 태양전지이다. 양자점층은 2 nm SiOx 층과 2 nm SiO2 층을 적층한 후 $1,100^{\circ}C$에서 20분간 질소 분위기에서 급속 열처리하여 제작하였다. 실리콘 양자점 층의 두께를 40 nm에서 200 nm까지 변화시키면서 효율을 측정한 결과 100 nm 정도에서 효율이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효율감소는 양자점층의 저항 증가에 따른 전류감소에 의함이 확인되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실리콘 양자점 층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실리콘 양자점층 내에 50 nm 간격으로 10 nm 두께의 B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층을 배치하는 실리콘 양자점 태양전지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실리콘 양자점 층의 두께를 증가시킬 경우 효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 형태의 양자점층을 이차이온질량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단일 실리콘 양자점층의 경우 두께가 약 70 nm 정도부터 이온빔 스퍼터링에 의한 저항증가에 따른 대전현상 (charging)이 관찰되었으나 다결정 실리콘 층이 배치된 실리콘 양자점층에서는 전혀 대전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다결정 실리콘 층이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PDF

Analysis of the Critical Thinking of Technology Activitie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in Middle School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 기술 활동과제의 비판적 사고 분석)

  • Chong, HaeYoung;Kim, KiSoo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45 no.2
    • /
    • pp.70-8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itical thinking level of activities in technology textbooks. For this purpose, we sampled 5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selected 187 activities in the textbook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of the critical thinking level is 67.3, which is not high enough. The result of analyzing in the critical thinking level according to unit indicates that activities in units 'Construction(72.8)', 'Invention & Standard(70.4)', and 'Biotechnology & Appropriate Technology(70.4)' are higher score than those in other units, but activities in units 'Transportation & Energy(67.0)', 'Manufacturing(66.1)', and 'Information & Communication(57.0)'units are inadequate for inducing critical thinking.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in the critical thinking level according to type of activity indicat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ctivities of 'theoretical type(69.3)' and 'practical type(61.5)'. Moreover activities in 'theoretical type' are inadequate for inducing critical thinking.

Real-Time Feature Point Matching Using Local Descriptor Derived by Zernike Moments (저니키 모멘트 기반 지역 서술자를 이용한 실시간 특징점 정합)

  • Hwang, Sun-Kyoo;Kim, Whoi-Yu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6 no.4
    • /
    • pp.116-123
    • /
    • 2009
  • Feature point matching, which is finding the corresponding points from two images with different viewpoint, has been used in various vision-based applications and the demand for the real-time operation of the matching is increasing these days. This paper presents a real-time feature point matching method by using a local descriptor derived by Zernike moments. From an input image, we find a set of feature points by using an existing fast corner detection algorithm and compute a local descriptor derived by Zernike moments at each feature point. The local descriptor based on Zernike moments represents the properties of the image patch around the feature points efficiently and is robust to rotation and illumination changes. In order to speed up the computation of Zernike moments, we compute the Zernike basis functions with fixed size in advance and store them in lookup tables. The initial matching results are acquired by an Approximate Nearest Neighbor (ANN) method and false matchings are eliminated by a RANSAC algorithm. In the experiments we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matches the feature points in images with various transformations in real-time and outperforms existing methods.

A Study on Web Vulnerability Risk Assessment Model Based on Attack Results: Focused on Cyber Kill Chain (공격 결과 기반의 웹 취약점 위험도 평가 모델 연구: 사이버 킬체인 중심으로)

  • Jin, Hui Hun;Kim, Huy Ka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31 no.4
    • /
    • pp.779-791
    • /
    • 2021
  • Common web services have been continuously targeted by hackers due to an access control policy that must be allowed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In order to cope with this situation, companies regularly check web vulnerabilities and take measures according to the risk of discovered vulnerabilities. The risk of these web vulnerabilities is calculated through preliminary statistics and self-evalu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related organizations. However, unlike static diagnosis such as security setting and source code, web vulnerability check is performed through dynamic diagnosis. Even with the same vulnerability item, various attack results can be derived, and the degree of risk may vary depending on the subject of diagnosis and the environment. In this respect, the predefined risk level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actual vulnerability. In this paper, to improve this point, we present a web vulnerability risk assessment model based on the attack result centering on the cyber kill chain.

CdTe/ZnTe 이중 양자점의 결합에 따른 광학적 특성

  • Kim, Su-Hwan;Jin, Seong-Hwan;Choe, Jin-Cheol;Lee, H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5.08a
    • /
    • pp.197.1-197.1
    • /
    • 2015
  • 현재 화합물 반도체 나노구조는 적외선 검출기,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 단전자 트랜지스터, 태양전지 등과 같은 고효율 광전자 소자에서의 응용을 위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특히 양자점은 3차원으로 구속되어 있는 상태 밀도를 갖고 있어 레이저 응용 시 낮은 문턱 전류 밀도, 높은 이득, 높은 열적 안정성을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양자점의 크기가 불규칙적이고 운반자 수집의 한계로 인하여 기대 이하의 온도 안정성을 갖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양자점의 크기와 운반자 수집을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자 선속 에피 성장법(Molecular Beam Epitaxy; MBE)과 원자 층 교대 성장법(Atomic Layer Epitaxy; ALE)으로 크기가 다른 CdTe/ZnTe 이중 양자점을 ZnTe 장벽층의 두께에 변화하면서 성장 후 광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저온 광루미네센스 측정(Photoluminescence; PL) 측정 결과 장벽층 두께가 작아질수록 작은 양자점의 광 루미네센스의 세기가 감소하면서 큰 양자점의 세기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장벽층 두께가 작아질수록 작은 양자점의 운반자들이 큰 양자점으로 이동되는 양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장벽층 두께가 작아질수록 큰 양자점의 반치폭(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이 단층 양자점의 반치폭 보다 감소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는데 이는 작은 양자점과 결합된 큰 양자점이 작은 양자점의 strain을 받아 크기의 균일함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결과 두 양자점이 결합된 이중 양자점 구조가 단층 양자점의 한계인 운반자 수집과 크기의 균일함을 향상할 수 있는 좋은 구조임을 제시하고 있다.

  • PDF

Character Element Recognition and Painting Simulation for the Letters to Road Surface (도로 노면 문자 도색을 위한 문자 요소 인식과 도색 실험)

  • Lee, Kyong-Ho;Seong, Jae-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113-11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수작업을 통해서 작업을 하고 있는 도로 노면 문자 도색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해 문자의 요소 인식과 인식한 결과로 문자 구성 정보를 전달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문자를 도색하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도로 노면 문자 도색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정보처리기기에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작업할 문자들을 입력 받아, 이미지 변환과 세선화와 역세선화를 거쳐 만들어진 영상에서 끝점, 2모음점, 3선 이상 모음점, 고립점 등 특징 점들을 추출하고 특징점들을 이용하여 글자를 인식하고, 특징점들을 이용하여 만든 정보를 도로 노면 문자 도색용 장비로 보낸다는 가정 하에 도색 프로그램을 수행 후, 나타난 결과를 피드백 하여 도색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도로 노면 문자 도색 작업에 쓸 수 있는 성능의 결과를 구성하였다.

  • PDF

A Simulation Study on the Fast Gradient-based Peak Searching Method (기울기 기반 빠른 정상점 탐색에 대한 연구)

  • Ahn, Jung-Ho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1 no.1
    • /
    • pp.39-45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fast peak searching method using the gradient and present simulation results. The proposed method is a solution to the problem that finds the peak(maximum) of the unimodal function on a finite interval with minimum searching steps. Its main application is the auto-focus in the mobile phone. We propose the three steps to find the peak; periodic search, gradient-based search and detail search. In simulation we generated the Gaussian functions with white noise and have the result of about 8 searching steps and 1.04 errors on average.

A Gaze Detection Technique Using a Monocular Camera System (단안 카메라 환경에서의 시선 위치 추적)

  • 박강령;김재희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10B
    • /
    • pp.1390-1398
    • /
    • 2001
  • 시선 위치 추적이란 사용자가 모니터 상의 어느 지점을 쳐다보고 있는 지를 파악해 내는 기술이다. 시선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2차원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 및 얼굴 특징점을 추출한다. 초기에 모니터상의 3 지점을 쳐다볼 때 얼굴 특징점들은 움직임의 변화를 나타내며, 이로부터 카메라 보정 및 매개변수 추정 방법을 이용하여 얼굴특징점의 3차원 위치를 추정한다. 이후 사용자가 모니터 상의 또 다른 지점을 쳐다볼 때 얼굴 특징점의 변화된 3차원 위치는 3차원 움직임 추정방법 및 아핀변환을 이용하여 구해낸다. 이로부터 변화된 얼굴 특징점 및 이러한 얼굴 특징점으로 구성된 얼굴평면이 구해지며, 이러한 평면의 법선으로부터 모니터 상의 시선위치를 구할 수 있다. 실험 결과 19인치 모니터를 사용하여 모니터와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50∼70cm정도 유지하였을 때 약 2.08인치의 시선위치에러 성능을 얻었다. 이 결과는 Rikert의 논문에서 나타낸 시선위치추적 성능(5.08cm 에러)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Rikert의 방법은 모니터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는 항상 고정시켜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얼굴의 자연스러운 움직임(회전 및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시선위치추적 에러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동시에 그들의 방법은 사용자 얼굴의 뒤 배경에 복잡한 물체가 없는 것으로 제한조건을 두고 있으며 처리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선 위치 추적 방법은 배경이 복잡한 사무실 환경에서도 사용가능하며, 약 3초 이내의 처리 시간(200MHz Pentium PC)이 소요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Enhanced Fingerprint Enrollment by Using Multiple Impressions (다중 영상을 이용한 지문인식 성능향상)

  • Gil, Youn-Hee;Ahn, Do-Sung;Pan, Sung-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523-526
    • /
    • 2003
  • 생체정보를 이용한 보안 솔루션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가운데, 지문은 가장 널리 사용되고 또한 중점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생체특징의 하나로 자리잡았다. 지문인식 시스템에 사용되는 지문 입력기는 광학식, 반도체식 등 다양하나 입력방식은 주로 압착날인식으로 회전식과 달리 손가락 끝을 입력창에 대어 그 순간 접촉된 면의 지문만을 입력받게 된다. 그러므로 입력된 지문영상은 전체지문과 비교했을 때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여, 이러한 제한된 영역으로부터 획득된 지문영상들을 비교한다면 비록 동일 지문이라 할지라도 획득 위치의 상이함으로 인해 타인 지문으로 오인식할 소지가 있다. 또한 특징점에 기반한 지문인증 알고리즘의 경우에는 두 지문으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의 위치 및 상태 정보의 신뢰성에 전적으로 의존하게되므로 특징점의 오추출 및 누락이 전체 시스템 성능을 좌우하게된다. 그러므로 가능한한 넓은 영역의 지문을 사용하고 신뢰할 만한 특징 추출 결과를 얻는 것이 에러율을 개선하는데 필수적이라 하겠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등록시 한 지문에서 획득한 복수의 지문영상을 이용하여 정렬 및 정합 과정을 거친 후 지문영상의 영역을 확장하고 해당 지문영상에서 추출된 특징점을 비교하여 유효하지 않은 특징점을 제거하는 과정을 통하여 등록시 저장되는 특징점 템플릿의 신뢰도를 높여주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결과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FVC 2002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로 테스트한 결과 2.12%의 EER(Equal Error Rate)을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