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5140/kiiedu.2020.45.2.70

Analysis of the Critical Thinking of Technology Activitie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in Middle School  

Chong, HaeYoung (Songjeong Middle School)
Kim, KiSoo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v.45, no.2, 2020 , pp. 70-8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itical thinking level of activities in technology textbooks. For this purpose, we sampled 5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selected 187 activities in the textbook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of the critical thinking level is 67.3, which is not high enough. The result of analyzing in the critical thinking level according to unit indicates that activities in units 'Construction(72.8)', 'Invention & Standard(70.4)', and 'Biotechnology & Appropriate Technology(70.4)' are higher score than those in other units, but activities in units 'Transportation & Energy(67.0)', 'Manufacturing(66.1)', and 'Information & Communication(57.0)'units are inadequate for inducing critical thinking.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in the critical thinking level according to type of activity indicat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ctivities of 'theoretical type(69.3)' and 'practical type(61.5)'. Moreover activities in 'theoretical type' are inadequate for inducing critical thinking.
Keywords
critical thinking; technology textbook;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교육부(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10].
2 곽유림, 이상봉(2012). 중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기능의 상관. 실과교육연구, 18(3), 195-220.
3 김명숙(2002). 공교육에서의 비판적 사고 교육의 방향과 쟁점. 철학연구, 58, 107-144.
4 김성일(2009). 광주전남지역 기술가정 교과의 기술영역 수업 현황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9(1), 165-179.
5 김성일, 임윤진(2016).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 '창의 공학 설계'단원 수업에 대한 교수.학습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1(1), 128-146.
6 김영정(2002).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한국뇌과학연구원 심포지엄, 18-32.
7 김영정(2005a). 비판적 사고와 학습의 3단계. 대한토목학회지, 53(4), 78-83.
8 김영정(2005b). 고등사고능력의 7범주. 대한토목학회지, 53(6), 106-111.
9 김영정(2005c). 비판적 사고의 9요소와 9기준. 대한토목학회지, 53(11), 217-225.
10 김현희, 박미정, 채정현(2010).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가정영역에 나타난 Bloom의 인지적 영역 질문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2(1), 97-115.
11 김혜성(2008). 비판적 사고 교육의 자료로서 고등학교 법과 사회 교과서 분석.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류창열(2001). 기술교육원론. 충남대학교출판부.
13 어지현, 오경화(2008).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의 활동과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0(2), 15-30.
14 윤초희(2016). 국내외 비판적 사고교육 효과연구 고찰-쟁점과 향후 연구과제. 아시아교육연구, 17(4), 1-35.
15 윤초희, 나재훈, 박병기(2017). 국외 비판적 사고수업의 효과에 관한 메타 분석. 교육심리연구, 31(1), 1-34.
16 이미영, 박미정, 채정현(2010). 중학교 1학년 가정교과서 활동과제의 비판적 사고 수준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2(3), 19-36.
17 진의남(2015). 2015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개발 방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학술대회, 25-40.
18 최유현(2003). 기술적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난 사고 활동의 분석과 그 계발 전략. 과학교육논총, 2015, 281-318.
19 최유현(2011).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중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 과정의 뇌파 활성도 분석. 실과교육연구, 17(4), 129-152.   DOI
20 함승연(2012a). 교과서 선정률에 따른 기술.가정 교과서 체제 비교 분석. 실과교육연구, 18(1), 1-22.
21 함승연(2012b). 교과용도서 구분 고시에 따른 기술가정 인정 교과서 개발 방향.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2), 115-138.
22 유제일, 김정랑(2015).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통한 사회과 비판적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신장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9(2), 197-206.
23 Facione, P. A. (1984). Toward a theory of critical thinking. Liberal Education, 70, 253-261.
24 Lewis, A., Smith, D. (1993). Defining Higher Order Thinking. Theory into Practice, 32(3), 131-137.   DOI
25 Facione, P. A. (1990). Critical thinking: A statement of expert consensus for purposes of educational assessment and instruction. Research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ED315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