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점화 특성

검색결과 534건 처리시간 0.034초

자동차 점화코일의 부분방전특성 (Partial Discharge of Ignition Coil for Automotive)

  • 신종열;김탁용;변두균;김원종;이수원;홍진웅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6
    • /
    • pp.239-242
    • /
    • 2003
  • 자동차 점화장치는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낮은 전압을 점화코일을 통하여 연소실의 혼합기를 연소시키기에 충분한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점화장치의 핵심은 점화코일이다. 이 점화코일은 절연성능이 우수한 절연재료가 사용되지만 고전압의 발생으로 점화코일 내부에서 일어나는 전기적 열화로 인해 누설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기적 고장을 초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절연재료의 수명은 단축되며, 또한 점화코일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코일 내부에서 발생하는 온도변화에 따른 절연열화로 점화코일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점화코일에 사용되고 있는 절연재료에 전압이 인가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비파괴검사의 일종인 부분방전 측정을 통하여 전압변화에 따른 에폭시 성형 점화코일의 위상각($\Phi$) - 방전전하량(q) - 발생빈도수(n)의 특성 변화를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점화코일의 수명을 예측하여 자동차 점화장치의 성능진단과 정보제공을 자동차 전기장치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하며, 온도상승에 따른 점화코일의 부분방전 특성을 실험하고 분석하였다.

  • PDF

과산화수소/케로신(촉매점화) 점화기의 점화특성에 관한 연구 (Ignition Studies Of Igniter using Hydrogen Peroxide And Kerosene (Catalyst Ignition))

  • 김기우;김태완;이양석;김유;고영성;김선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60
    • /
    • 2009
  • 점화기의 발열온도와 점화특성은 엔진 성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과산화수소/케로신 점화기는 과산화수소 분해율에 따라 큰 성능차이가 발생하므로 점화기의 연구에 앞서 촉매 분해성능 연구를 선행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산화수소/케로신을 사용하는 점화기를 제작하여 과산화수소/촉매의 비율에 따른 발열온도 파악과 이때 얻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O/F ratio 별 점화특성의 확인하였다.

  • PDF

킥모터 점화 초기 연소 특성 연구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Kick Motor Ignition Transient)

  • 고현석;길경섭;조인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0년도 제35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05-706
    • /
    • 2010
  • 킥모터 점화기의 점화 초기 연소 특성에 대한 설계 해석 결과 초기 압력 조건에 따라 100~500 ms 범위의 점화지연이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 시험에서 점화기가 점화 초기 주 추진제를 점화시키는데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 PDF

플라즈마를 이용한 분말형 금속 연료 알루미늄의 점화 특성 (Ignition Characteristics of Aluminum Metal Powder Fuel with Thermal Plasma)

  • 이상협;임지환;윤웅섭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1년도 제3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37-744
    • /
    • 2011
  • 탄화수소 계열의 점화원과 달리 선행 연구된 스팀 플라즈마 점화기를 이용한 알루미늄 분말의 지속 연소 성공을 바탕으로, 고온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알루미늄 분말의 점화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산화제가 없는 환경을 조성하여 점화 특성 확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아르곤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이전의 연소 실험과 동일한 4500 K의 온도 조건 및 이송 가스를 이용한 입자 공급 조건을 조성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플라즈마의 온도는 방출분광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점화 특성은 SEM 촬영과 EDS 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고온의 플라즈마 제트 내부를 통과한 알루미늄 분말은 탄화수소 계열의 점화원과 다르게 급격한 기화로 인한 점화 촉진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과산화수소 촉매 분해를 이용한 파라핀 및 PE 하이브리드 로켓의 자연 점화 특성 (Auto-ignition Characteristics of Paraffin and PE Hybrid Rocket with $H_2O_2$ Catalytic Decomposition)

  • 안성용;진정근;정은상;권세진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8-56
    • /
    • 2009
  • 고농도 과산화수소를 산화제로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로켓의 자연 점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별도의 점화기 없이 촉매 반응을 통한 과산화수소 분해가스를 파라핀 및 폴리에틸렌에 분사함으로서 점화를 하였고 연속적인 재점화 및 즉각적인 점화 특성을 확인하였다. 안정적인 연소를 위해 파라핀은 PE에 비해 높은 연소실 특성길이가 요구된 반면, 펄스 응답특성은 점화지연 13 ms, 상승시간 30 ms 로서 폴리에틸렌의 응답성에 비해 두 배 가량 빠른 특성을 보였다.

과산화수소 촉매 분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로켓 자연 점화 (Auto-ignition Characteristics of Paraffin and PE Hybrid Rocket with $H_2O_2$ Catalytic Decomposition)

  • 안성용;진정근;정은상;권세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제33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99-502
    • /
    • 2009
  • 고농도 과산화수소를 산화제로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로켓의 자연 점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별도의 점화기 없이 촉매 반응을 통한 과산화수소 분해가스를 파라핀 및 폴리에틸렌에 분사함으로서 점화를 하였고 연속적인 재점화 및 즉각적인 점화 특성을 확인하였다. 안정적인 연소를 위해 파라핀은 PE에 비해 높은 연소실 특성길이가 요구된 반면, 펄스 응답특성은 점화지연 13 ms, 상승시간 30 ms 로서 폴리에틸렌의 응답성에 비해 두 배 가량 빠른 특성을 보였다.

  • PDF

HID 램프용 점화기와 램프간 거리에 따른 점등 특성 분석 (Igni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According to the Cable length Between the Ignition and Lamp)

  • 박종연;김기남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24-3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HID 램프의 점등을 위한 3종의 점화기 비교 및 구동원리를 나타내었다. 또한 점화기와 램프사이의 케이블 길이에 따른 특성을 이론적 검증과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점등전압은 점화기 구조와 케이블 길이 및 특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현장에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C공진 타입의 점화기, Arc gap을 이용한 점화기, 주파수 가변을 동한 점화기를 대상으로 케이블 25[m] 거리에서 측정 및 분석하였다. 각각의 점화기 비교 및 케이블 특성을 분석하여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해된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케로신의 자연점화특성 조사 (An investigation of autoignition characteristics of kerosene by decomposed hydrogen peroxide)

  • 조성권;권세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도 제31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97-400
    • /
    • 2008
  • 기존의 자연점화특성을 지니는 추진제는 성능이 높은 대신 독성이 있으며 다루기 어렵고, 환경에 유해한 단점을 지닌다. 이에 따른 대안으로 과산화수소의 촉매분해 후에 발생되는 고온의 산소와 수증기를 이용한 자연점화 방식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자연점화 방식의 과산화수소/케로신 추력기를 설계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자연점화특성을 연구하였다. 추력기의 형상변수로 노즐 목의 면적을 달리하여 연소챔버와의 단면적 비인 수축비를 달리하였으며, flame holder의 유 무, 과산화수소와 케로신의 가압압력에 따른 점화특성 및 연소안정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경우에 자연점화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가압압력의 조건에 따라 연소 안정성에는 큰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액체연료 액적군의 집단 점화 (Group Ignition of Liquid Fuel Droplets Cloud)

  • 박용열;김호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12호
    • /
    • pp.2376-2384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액적들의 분포상태가 비균일 분포 즉 비균일 액적크기 및 수밀 도 분포를 갖는 액적군에 대하여 집단점화 현상을 이론적인 해석을 통하여 규명한다. 이를 위하여 분사직후부터 점화순간까지의 과정 즉, 액적의 온도상승-증발-혼합기 형 성-반응의 진행-점화의 과정에 초기 액적들의 크기 및 수밀도 분포상태와 기체상의 조 건들이 중요 제변수들, 즉 온도, 속도, 성분질량농도 및 액적의 크기 분포등에 미치는 영향 등은 물론 액적군의 증발특성, 점화특성 등을 이론적 모델을 구성하여 해석한다. 결과들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집단연소 모델의 초기조건으로 사용하며, 액적들의 분포 상태에 따른 점화시의 액적군의 상태 및 점화 특성은 보다 향상된 연소시스템의 운전 및 설계에 분사조건으로서 활용될 것이 기대된다.

無接点式 点火裝置의 現狀 (Trends of transistorized ignition system)

  • 이중형
    • 오토저널
    • /
    • 제1권1호
    • /
    • pp.17-20
    • /
    • 1979
  • Transistor식 점화장치는 자동차의 배기 공해대책, 연료저감대책 등의 방안으로 근래에 급속히 발전된 System이다. Transistor 점화장치로 요구되는 배경은 다음과 같다. [1] 화화출력이 커져서 Engine에 있어서 확실한 연소가 기대되고 배기정화책 연료저감책에 유 효하다. [2] 기계적인 접점이 없으므로 장기적으로 Engine의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3] 저회전에서 고회전까지 높고 안정된 화화출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시동특성 고속특성이 양 호하다. [4] 점화시기제어에 신기능부가가 용이 이와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세계각국의 자동차 Maker는 각각의 독자적인 System 회로방식을 개발하여 Transistor점화장치를 실용화하고 있 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자동차에 기계식 점화장치를 사용하여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