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점포 평가 기준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3초

백화점 내 신규 패션 브랜드 평가 기준과 브랜드 태도에 관한 연구 (New Fashion Brands in Department Stores: Evaluation Criteria and Attitudes)

  • 추호정;문희강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3권1호
    • /
    • pp.61-77
    • /
    • 2008
  • 본 연구는 소비자가 처음으로 접하는 신규 패션 브랜드에 대해 적용시키는 평가기준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브랜드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로서 다음의 세가지 논점을 강조함으로써 선행연구와 구별되는 차별점을 가진다. 첫 번째로는 본 연구가 개별 제품이나 점포를 포함하는 패션브랜드 수준에 대한 통합적인 평가기준을 밝힌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는 이미 형성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기존 브랜드에 대한 평가기준이 아닌 새로운 브랜드에 대한 최초의 평가기준을 밝히며 본 연구에서의 "신규 브랜드"는 소비자가 처음으로 점포내를 둘러보고 충분한 직접적 정보를 바탕으로 평가를 한다는 점에서 소비자의 관점에서의 새로운 브랜드로 조작적 정의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전국적으로 유통되는 대부분의 패션 브랜드가 백화점 내에 입점되는 국내의 현실을 고려하여 소비자가 지각하는 백화점과의 관제의 질과 입점되어 있는 신규 패션 브랜드 평가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오백 삼십 칠 명의 여성 소비자에 대한 온라인 조사를 통해 신규 패션브랜드를 평가하는 평가기준 요인 (상품 파워, 점포 내 커뮤니케이션, 브랜드 및 회사 이미지, 판매원, VMD, 구색의 다양성)을 도출하고 이들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백화점 관제질의 차이에 따른 신규브랜드 평가 기준과 브랜드 태도의 관련성도 분석하였다.

  • PDF

패션선도력, 시장전문성, 점포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Fashion Leadership, Market Mavenism, and Store Evaluative Criteria)

  • 김혜신;여은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04-91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인구통계적 특징별로 패션선도력과 시장전문성 수준을 비교하고, 패션선도력과 시장전문성 수준에 따라 점포평가기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국 전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80부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에서 인구통계적 특성별로 패션선도력과 시장전문성 수준이 대체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여성 소비자들은 일반적으로 패션선도력과 시장전문성이 남성보다 더 강하며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시장전문성과 패션선도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낮을수록 패션선도력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장전문성에서는 연령별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패션선도력이 높고 시장전문성이 강할수록 더 많은 점포속성들을 더 중요한 평가기준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시장전문성이 강한 소비자들은 그렇지 않은 소비자들에 비해 상품의 품질이 우수한지, 환불교환이 용이한지, 더 넓은 상품구색이 갖추어져 있는지를 더 중요하게 고려하였으며, 패션선도력이 강한 소비자들은 그렇지 않은 소비자들에 비해 환불용이성과 점포명성 등을 더 중요한 점포평가기준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류제품의 충동구매행동과 의류점포 서비스 품질, 의복평가기준 및 위험지각의 관계 (Impulsive buying behavior of apparel products -Relating to store service quality, evaluative criteria, perceived risk -)

  • 박은주;강은미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9권
    • /
    • pp.153-173
    • /
    • 2002
  • 본 연구는 의복 구매시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주는 의류점포의 서비스 품질, 의복평가 기준과 위험지각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련변수들이 의복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의류제품을 다루는 마케터나 리테일러들에게 소비자 행동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어 차별적 경쟁우위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의복을 구매할 때 소비자가 지각하는 의류점포의 서비스 품질과 의복평가 기준은 구매와 관련된 위험지각과 부분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또한 의복충동구매행동에 대한 의류점포 서비스 품질, 의복평가기준 및 위험지각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위험지각요인 중 소비자들이 의류제품의 봉제상태가 나빠지지 않을까, 세탁/관리하기에는 불편함이 없을까 등의 관리적 위험과 다른 옷과의 조화나 비슷한 제품을 더 싼값에 살 수 있지 않을까 등의 성과적 위험, 그리고 점포분위기나 실내장식 등의 시설서비스가 의복충동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 PDF

내점객 인터뷰에 근거한 슈퍼마켓 입지분석 모델의 실용성 평가 (Usefulness of In-store Spotting Survey in Developing a Supermarket Location Analysis Model)

  • 서성무;고윤배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권1호
    • /
    • pp.5.1-5.11
    • /
    • 1998
  • 이 연구는 2차자료가 부족한 우리나라 슈퍼마켓 업체의 여건을 감안하여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입지분석 모델의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연구모델은 두 가지 기준을 근거로 모두 네가지 모델을 설정하고 비교검토했다. 먼저 표본추출방법에 의해 내점객표본과 지역할당표본으로 분류하고, 이것을 다시 포함하는 변수의 범위에 따라 축소모델과 확장모델로 구분하였다. 공간상호작용모델의 추정에는 MNL(Multinomial Logit)방식을 이용했다. 분석결과 내점객표본으로 조사해서 얻은 응답자의 주거지와 주로 찾는 점포, 그리고 사전적으로 입수한 경쟁점포의 매장면적, 인접점포까지의 거리에 대한 자료만을 이용해서 추정한 가장 간단한 모델이 비교적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냈다.

  • PDF

중국 대학생의 의복 쇼핑 성향에 따른 점포 평가 기준, 의복 평가 기준 및 캐쥬얼 의류 구매 행동 (Store Evaluative Criteria,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and Purchasing Behavior for Casual Wear according to Shopping Orienta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 장수경;옥금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1호
    • /
    • pp.98-11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store evaluative criteria,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and purchasing behavior for casual wear among groups with different types of shopping orien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175 female and 169 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Beijing, and analys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VA, Duncan test,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Chinese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their shopping orientations; fashion-pursuit type, individuality-pursuit type, practical type, and apathetic typ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tore evaluative criteria,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purchasing behavior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ashion-pursuit type and individuality-pursuit type were more influenced by store location and service, product attributes, and fashion. They purchased more frequently and spent more money. Esthetic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t by the individuality-pursuit type than the others, and symbolic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by the fashion-pursuit type.

  • PDF

패스트 패션(Fast Fashion)에 대한 고찰(제2보) - 의복 평가 기준 및 점포 선택 기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st Fashion(Part II) - Focusing on Clothing Selection Criteria and Store Selection Criteria -)

  • 김선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5호
    • /
    • pp.888-90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lothing selection criteria and store selection criteria between each consumer groups by the preference for fast fash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conducted on 317 female ad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analysis used to identify clothing selection criteria involved the following four factors: fashion, quality/practicality, status symbol, and economics. The consumer group preferring fast-fashion regarded fashion and economics as important factors and the non-preferring group regarded status symbol factor more. Second, five factors(atmosphere, product service/salesperson, shopping convenience, promotion/facilities) of store selection criteria were constructed by factor analysis, The consumer group preferring fast-fashion regarded atmosphere and product as important factors and the non-preferring group considered service/salesperson and promotion/facilities factors more. Third, the consumers who were of low age, low education, low income and unmarried preferred fast fashion brand.

  • PDF

소비자 특성에 따라 선호되는 의류 점포의 비주얼 환경 요소 및 점포 유형 -점포 선택 기준에 의한 소비자 유형화를 기초로- (The Visual Environment Factors of the Store and the Store Types Preferred by Consumer Traits - Based on the Consumer Segmentation by Store Choice Criteria -)

  • 김선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1112-1120
    • /
    • 2004
  • The visual environment of the store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attract consumers into the store and make consumers purchase products. Therefore retailers should have concerns about store environments to differentiate their stores from other stores. Thus this study focused on visual environment of the store influencing consumer behavior. The concret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ferences of store environments and store types by consumer traits. First, the store choice criteria factors were examined and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several consumer groups were constructed. And then the visual environment factors of the store that consumers perceived important were identified and the visual environment factors of the store preferred by consumer groups were examined. Finally, store types preferred by consumer groups were examin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assist store designers and retailers to set up a store environment or visual marketing strategies.

의류 제품구매시 소비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의류점포 서비스 품질, 의복평가기준 및 의복관여를 중심으로- (Impact Factors on Consumer Satisfaction in Apparel Buying Behavior)

  • 강은미;박은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9-3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of apparel stores, evaluative criteria and clothing involvement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481 women consumers living in Busan and analys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 cluster analysis, t-test and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ho highly involved symbolism of apparel were more influenced by salesperson service and store atmosphere, and were more effected by prestige/brand royalty of apparel than those who highly involved pleasure of apparel. Those who had high scores in symbolism involvement were more satisfied with consumer satisfaction in apparel buying behaviors than those who highly involved pleasure of apparel. The service quality was the influenced variable on consumer satisfaction related to apparel products than the others. Especially, salesperson service and store atmosphere in service quality were important to the satisfaction perceived by consumers in apparel buying process.

대형마트 점포선택기준이 점포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Store Choice Criteria of Mass Merchandisers on Store Loyalty with Customer Emotions as Moderating Variables)

  • 오영호;정용태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3호
    • /
    • pp.147-175
    • /
    • 2011
  • 본 연구는 대형마트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2010년 7월 5일부터 8월 31일까지 2개월 동안 설문조사하여 회수한 246명의 유효한 응답지를 표본으로 SPSS 18.0과 AMOS 18.0의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로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형마트 점포선택기준 중 제품요인, 점포명성, 물리적 환경 등이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이는 소비자가 점포를 선택하고 평가할 때 상품의 다양한 구색, 구전커뮤니케이션, 점원의 친절성 등의 변수가 점포선택시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Berman and Evans(1979), Novak(1977), Ridgway, Bloch and Nelson(1994) 등의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둘째, 대형마트에 대한 고객만족은 점포애 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이는 매장 내에서 경험하는 일시적인 기분 상태가 쇼핑에 만족감을 주고 이는 다시 쇼핑하고자 하는 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Dawson, Bloch and Ridgway(1990)의 연구, 지각된 긍정적 감정이 매장에 대한 태도를 거쳐 재방문 의사에 영향을 미친다는 유창조와 김상희(1997)의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셋째, 소비자 감정을 기쁨, 각성, 지배 등 3가지로 분류하고 각 감정에 따라 점포선택기준과 고객만족의 영향 관계의 차이에 대한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영향을 일부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점포속성, 소비자 구매행동 등에 소비자 감정의 매개역할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절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주장한 Donovan and Rossiter(1982), 박성연과 배현경(2006) 등의 연구, 그리고 소비자가 점포 내에서 경험하는 좋음 그리고 싫음과 같은 감정이 소비자에게 점포충성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감정과 점포에 대한 관계가 매우 높다고 주장한 Zimmer and Golden(1988)의 연구와 일부분 일치한다. 특히, 부대시설은 점포선택기준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쁨, 각성, 지배 등 소비자 감정에 체계적이고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 PDF

고려점포군에 따른 소비자 세분화와 점포이미지 중요도에 관한 연구 (Consumer Segmentation based on Consideration Set of Stores and Importance of Store Image)

  • 김한나;이은영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2권2호
    • /
    • pp.79-102
    • /
    • 2007
  • 점포의 평가는 소비자의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는 유사한 경쟁점포들 내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이렇게 "소비자가 특정 점포선택을 할 때 실제 고려하게 되는 점포들의 집합"을 고려점포군(考廬店鋪群; consideration set of stores)이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의류제품을 구매할 때 점포선택과정 중에 형성하는 고려점포군을 알아보고, 고려점포군과 점포이미지 중요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의류점포선택과정을 통해 형성된 고려점포군은 결과적으로 고려점포수와 고려하는 점포유형에 따라 다시 구체화될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소비자 유형화를 실시한 결과 '소수-가두점 고려집단', '소수-시장 고려집단', '소수-백화점 고려집단', '소수-백화점/아울렛 고려집단', '다수-백화점/시장 고려집단', '다수-백화점/가두점 고려집단', '다수-백화점 고려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유형화된 소비자 집단별 점포이미지 중요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예를 들면, 시장을 고려점포유형으로 포함하는 소수-시장 고려집단과 다수-백화점/시장 고려집단은 저렴한 가격을 중요한 점포이미지로 여겼으며, 소수-백화점 고려집단은 점포 마일리지 카드나 할인카드, 다수-백화점/가두점 고려집단은 주변 여가공간 요인을 중요한 점포이미지로 꼽아 집단별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은 점포 운영자들이 자사 목표고객과 경쟁점포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