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점포만족도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5초

대형마트 충성도의 이중경로모형 (Dual Path Model in Store Loyalty of Discount Store)

  • 지성구;이인구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5권1호
    • /
    • pp.1-24
    • /
    • 2010
  • 국내 대형마트 점포 수는 2008년 기준 403개로 포화시점에 근접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상황에서 '점포충성도(store loyalty)'가 지속적 경쟁우위를 위한 전략적 도구로써 그 활용성이 점점 더 중요시 되고 있다. 다양한 관점에서 점포충성도를 대형마트 연구의 핵심적 과제 다루어왔으나, 통합적인 연구 접근 방법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 관점에서 점포충성도가 형성되는 두 가지 경로를 제안하였다. 이중경로모형은 첫째, 내재적 경로 '서비스품질$\rightarrow$고객만족$\rightarrow$점포충성도', 둘째, 외재적 경로 '점포개성$\rightarrow$점포동일시$\rightarrow$점포 충성도'로 구성된다. 조사대상은 대형마트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제안된 이중경로모형의 적합성 및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모형의 적합지수들은 상당히 좋은 값들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시된 내재적 경로인 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고객만족은 결과변수인 대형마트의 점포충성도에 매우 유의하게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재적 경로에서 대형마트의 점포개성은 점포동일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매개변수인 점포개성은 점포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대형마트의 점포충성도 형성에 관한 두 가지 경로를 제시함으로써, 이론적, 관리적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전통시장 선택속성이 관계품질에 미치는 영향: 소비감정의 조절효과와 소비자 가치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erceived Choice Attribute of Traditional Market and Relationship Quality: Moderating Effects of Consumption Emotion and Mediating Effects of Consumer's Value)

  • 이영철;양회창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33-42
    • /
    • 2012
  • 본 연구는 유통시장의 개방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유통 업태들과의 경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장에 관심을 가진 연구이다. 특히, 미래의 소비자인 대학생들의 관점에서 시장에 대한 점포선택속성과 시장에 대해 갖는 소비감정, 소비자 가치와 관계품질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장기적인 차원의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단서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점포선택속성의 3개 요인의 관계품질의 정도와 함께 점포선택속성과 소비자 가치, 소비자 가치와 관계품질 간을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소비감정의 정도가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점포선택속성과 관계품질 간의 관계에 대한 소비자 가치의 매개역할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포선택속성 중 서비스 요인과 광고 요인이 관계품질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는 대학생들이 시장에 대해 신뢰하고 만족하는 요인이 서비스와 광고임을 의미하고 있다는 것과 시장의 점포분위기가 관계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함을 의미한다. 추가적인 분석을 하지 않아 속단할 수는 없지만 대학생들이 갖는 시장이라는 이미지의 고정관념은 관계품질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라 추정할 수 있다. 둘째, 대학생들은 시장의 점포선택속성에 있어 서비스 요인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선택하여 시장이 대형점포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대형점포들의 셀프서비스 방식이라는 한계점을 넘어 서비스 요인의 강화가 필요함을 의미하고 있다. 셋째, 점포선택속성과 소비자 가치, 소비자 가치와 관계품질 각각의 관계에 대한 소비감정의 조절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소비감정의 정도는 점포선택속성과 소비자 가치의 인과관계에 영향이 없음을 의미하며, 소비자 가치와 관계품질의 인과관계에도 영향이 없음을 뜻한다. 이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일 가능성이 있어 추가 연구에 일반인을 대상으로 다시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 가치는 서비스 요인과 관계품질, 광고 요인과 관계품질 모두에 완전 매개함을 나타내 시장과 소비자의 관계품질 향상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시장이 소비자들에 대한 관계품질 개선을 위해서는 미래의 잠재고객인 대학생들에게 시장에 대한 가치를 충분히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수립해야 함을 의미한다. 말미에는 이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영향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점포내 물리적 환경이 소비감정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in Shops has on the Customers' Emotion and Royalty)

  • 김준회;김동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157-170
    • /
    • 2014
  • 본 연구는 커피 전문점 물리적 환경이 충성도 및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새로운 심리적 요인으로 '소비감정(Consumption emotion)'의 매개역할을 규명하고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로써 커피전문점의 점포내 물리적 환경 변화를 통한 고객만족과 구매의도를 증대시키는 마케팅전략 대안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물리적 환경과 관련된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해볼 때, 크게 두 가지 관점으로 정리해 볼 수 있는데, 즉, 물리적 환경이 고객만족, 품질지각 및 기타 소비자 반응(구매의도, 재방문의도 등)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와 물리적 환경이 고객 감정 혹은 가치지각을 매개로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간접적 효과로 나누어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이용경험을 가진 이용객중에서 321명을 표본으로 4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분석은 SPSS 17.0 통계 패키지와 AMOS 17.0을 이용하여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한 결과 1개의 소가설을 제외하고 나머지 가설들을 채택되었다. 거부된 하나의 가설을 점포내환경중에서 상징성만이 긍정적 소비감정에 정(+)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우 의외적인 결과라고 연구자 판단되는데, 커피점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콩다방, 별다방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커피전문점 심벌이나 상징을 많은 소비자들이 표현하는데 이런 표현이 실제적으로 소비자 마음속에 긍정적 소비감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이 된다. 채택된 가설들을 통해서 최근 제품이나 서비스의 표준화를 통해서 제품이나 서비스 차별화가 사라지는 추세에서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소비감정이나 충성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점포내 물리적환경과 같은 부차적인 요소에 대한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

커피 전문점 소비자 선택 속성이 고객 만족과 재방문 및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mer Choice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Revisit and Word-of-Mouth Intention in a Coffee Shop)

  • 손영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76-93
    • /
    • 2010
  • 본 연구에서 제시한 커피 전문점의 선택 속성으로 지각된 유형성, 신뢰성, 친절성, 신용성이 영향 관계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본 연구의 모델로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커피 전문점의 선택 속성은 고객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고객 만족 또한 재방문 및 구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점포내 산뜻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한 유형성과 신뢰, 종사원의 친절 및 신용이 바탕이 될 때 이용 고객 또한 만족 극대화에 영향을 주고 만족 고객의 재이용과 긍정적인 구전으로 이어짐을 알 수 있다.

  • PDF

의류점포서비스가 의복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pparel Store Services on Impulsive Buying Behaviors)

  • 최영은;박은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615-162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opping orientation, and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on impulsive buying behavior in two types of apparel store. The sample consisted of 616 females aged 20-30 who were shopping at department stores and shopping malls in Busan. Data were analyzed with factor analysis, t-test, cross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of department stores showed more strongly convenient orientation than those of the shopping mall, consumers of the shopping mall showed more strongly recreational orientation and practical orientation than those of the department. Stores services of the department were perceived better than that of the shopping mall in promotional services, salespersons' services and environmental services. But it didn't show any differences between store types in product services. Consumers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was greater in department stores than the shopping mall. But it didn'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apparel store types in the impulsive buying behaviors. Impulsive buying behavior of department store shoppers is directly affected by a shopper' shopping orientation as well as store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shoppers rather than a shopper' satisfaction. The service quality does not have directly related to consumers’ service satisfaction. The causal relationships of impulsive buying behaviors showed similarity in shopping malls and department stores. The perceived quality and satisfaction with store service were higher at department store than shopping malls. In impulse buying behavior of a department store was directly affected by a shopper' shopping orientation as well as store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shoppers rather than a shopper’ store service satisfaction.

이용점포 유형에 따른 플러스 사이즈 여성의류 시장세분화 (Segmenting the Plus-size Women's Apparel Consumers using Store Patronage)

  • 유혜경;이선미;고선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5-45
    • /
    • 201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gment the women's plus-size market by the types of store patronage, profile the segments, and examine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clothing attributes and variety of plus-size apparels according to different segments. The questionnaires included the 7-point likert scales on store patronage, satisfaction, clothing involvement and body cathexis. Five body measurements were recorded by sales people, and the respondents also provided information on their weight, height and garment size in addition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7 franchise stores in Seoul, Anyang, Daegu, and Cheonan during the months of February, 2011 to April, 2011. 21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60 were returned. Excluding incomplete questionnaires, a total of 149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store patronage identified four segments- major patrons of specialty stores, multi-channel users, regular store users, and internet shopping mall use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four segments of women's plus-size consumers in terms of clothing involvement, age, occupation, education and clothing expenditures. Internet shopping mall user group were in overall less satisfied with several clothing attributes and variety compared to other groups.

가격지각에 따른 패션점포 판매원 서비스와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lesperson Services and Repeat Purchase Intention by Price Perception of Fashion Stores)

  • 김지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5-54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consumer's perception about salesperson services of fashion stores, and how salesperson services influence on consumer's satisfaction, repeat purchase intention by price perception. The data was obtained from a survey of 420 fashion product consumers in their 20's living in Gwangju city in 2006. It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es, reliability, frequency, T-test,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1) Salesperson service dimensions perceived by fashion product consumers were 4 dimensions: Customer service orientation,. Relationship orientation, Reliability & sales ability, Salesperson's appearance. 2) Salesperson services influenced on satisfaction of high price perception group and low price perception group. 3) Satisfaction and salesperson service importance influenced on repeat purchase intention of high price perception group and low price perception group. 4) The difference of salesperson services perceptions by store types were examin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fashion stores make successful relationship strategy according to price strategy and keep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ustomers for a long time in fashion retail setting.

이원적 인식에 따른 의류점포 서비스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Service Quality Characteristics based on Two Dimensional Recognition in Apparel Store)

  • 박재옥;안민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29-740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service quality elements using Kano's theory, and to examine differences in service quality characteristics among apparel store types. Women over 20 years-old from metropolitan areas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a quota sampling method was use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ree sections; importance of quality, degree of satisfaction, and demographic factors. Data from 52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ur factors of service quality(sales person, variety of goods, policy, and faciliti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Kano's quality elements, sales person was categorized into both one-dimensional quality and must-be quality, and variety of goods, policy, and facilities categorized into attractive quality. Second, sales person, in all store types, was included in one-dimension quality elements and sales person and variety of goods, in local store, were included in attractive quality element. Service policy, in chain store and local store, was included in attractive quality element.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both industry and academic researchers with a guide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store service strategies.

의류점포 판매원에 대한 고객만족과 충성도 -대구시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of Salespersons Working at Apparel Store -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area -)

  • 조은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1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mportance of salesperson's selling behavior's such as orientation and loyalty.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was distributed to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ity of Daegu area and 306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primary method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employed in this thesis to test the hypotheses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d linear regression. SPSS package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1. Customers felt dissatisfaction at salesperson's selling-orientation and felt satisfaction at customer-orientation when they buy the clothes. The salesperson's selling behavior was connected with customer's satisfaction directly, and was very important to retail market 2.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salesperson shows meaningful relation and has influenced on salesperson loyalty as well as customer satisfaction of store. But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salesperson has not influenced on store loyalty. 3.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store shows meaningful relation and has influenced on store loyalty, but not on salesperson loyalty. 4. The salesperson loyalty shows meaningful relation with and has influenced on store loyalty. The more salesperson loyalty increases, the more store loyalty increases. Accordingly, it is concluded that the future success of firms and retailers depends on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 and salespersons.

의류매장 비주얼 머천다이징이 솔로 쇼핑 소비자의 점포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비교 연구- (The Effects of Visual Merchandising on Solo Shopping Consumers' Store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 A Comparative Study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American -)

  • 고재중;서용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13-421
    • /
    • 2010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visual merchandising on solo shopping consumers' store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10 Korean(Pusan area) and 174 American students(Texas area) who had shopping alone in recent three month.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ore atmosphere and display of visual merchandis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olo shopping consumers' store satisfaction in both groups, whereas the convenience layout had a positive impact on store satisfaction in Korean group and the promotion did in American group. Second, the store atmosphere and display of visual merchandising had a positive effect on revisiting intention in Korean group, whereas the store atmosphere, display and layout had a positive impact on revisiting intention in American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