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점착

Search Result 1,17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Numerical study on flux of cohesive sediment by asymmetric oscillatory flow (비대칭 진동흐름에 의한 점착성 유사의 이동량 수치연구)

  • Son, Min-Woo;Jung, Tae-Hwa;Baek, Kyong-Oh;Cho,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05-50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천해 환경에서의 파형이 점착성 유사의 이동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상적인 진동흐름(Oscillatory Flow)을 가정하고 점착성 유사의 이동에 적합한 1DV 모형을 적용하였다. 이상적인 진동흐름을 가정할 때는 다양한 파형을 고려하기 위해 왜곡되거나 비대칭적인 조건을 적용하였다. 크기와 밀도가 변화하는 점착성 유사의 응집현상을 고려하기 위해 기존에 개발된 응집현상 모형을 1DV 모형에 결합하였다. 2차 스토크스파 조건을 모사하기 위해 왜곡된 진동흐름, 톱니파를 모사하기 위해 비대칭 진동흐름 조건을 선택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왜곡된 진동흐름 조건에서의 점착성 유사 이동량은 흐름의 왜곡도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는 비점착성 유상의 경우는 왜곡도와 주목할 만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비대칭 진동흐름의 경우는 점착성 유사와 비점착성 유사가 서로 다른 방향을 나타내었다. 앞쪽으로 기운 비대칭 진동흐름 조건에서 점착성 유사의 이동량이 뒤쪽 방향으로 발생하는 반면 비점착성 유사는 흐름이 기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사량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는 Phase-lag 효과가 고려되었다. 유사의 침강속도와 농도 프로파일의 변화, 물의 유동 조건 등은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Phase-lag 효과를 강화시키고 점착성 유사와 비점착성 유사의 이동량이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게 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 PDF

The Effects of Crosslinking Agent and pH Controlling Agent on Adhesive Properties of Water Soluble Acrylic PSA (가교제 및 pH 조절제가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의 점착 물성에 미치는 효과)

  • Seo, In-Seon;Park, Myung Chul;Lee, Myung Cheon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 /
    • v.4 no.3
    • /
    • pp.9-13
    • /
    • 2003
  •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crosslinking agent and pH controlling agent on adhesive properties and water solubility of water solubl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were studied by adding the crosslinking agents or pH controlling agents after the polymerization. the tack, cohesive strength, and peel strength were measured to evaluate adhesive properties. the turbidity was also measured to evaluate water solubility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When crosslinking agent was added less than 0.2 wt%, tack increased and cohesive strength and peel strength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When crossinking agent was added more than 0.2 wt%, the results were opposited. When pH controlling agent was added, tack and water solubility decreased and peel strength and cohesive strength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the influence of pH controlling agents on adhesive properties and water solubility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ncreased in the order of lith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and sodium hydroxide.

  • PDF

Statistical Analysis on Size of Flocs (통계학적 접근법의 적용을 통한 유사 문제의 분석)

  • Son, Minwoo;Park, Byeoung Eun;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45-245
    • /
    • 2019
  • 점착성 유사는 유사가 가지는 점착력에 의해 응집현상을 겪으며 그 크기와 밀도가 변화한다. 유사의 크기와 밀도는 침강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침강속도는 변화는 유사의 거동에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한다. 따라서 점착성 유사의 크기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유사가 가지는 입도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통계학적 접근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점착성 유사의 입자가 가지는 입도 분포를 구체화한 결과를 유사의 입도 분포를 위한 수치 모의 연구에 적용하여 모의 결과를 향상시키고 유사 문제의 분석에 용이하도록 하려 한다. 통계학적인 방법 중 적합도 검정을 이용하여 실제 점착성 유사의 입도가 어떠한 분포를 모사하는지 분석하였다. 수집된 입도 분포 자료에 적합도 검정 방법 중 Kolmogorov-Sminorv(K-S) 검정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 5%를 통과할 경우 이론 분포가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를 잘 모사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를 수집하고 그 자료를 바탕으로 적합도 검정을 실시한 결과 많은 연구에서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로 가정하고 있는 Log-normal 분포가 유의수준 5%를 기준으로 적합도 검정을 통과한 경우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검정한 결과로는 기존에 이용되는 Log-normal 분포는 위치 매개변수를 추가하여 3 매개변수 분포를 사용할 경우에만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를 모사한다고 판단된다. 향후에는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를 모사하고 사용함에 있어 Log-normal 분포를 무조건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지양하고 점착성 유사가 가지는 특성을 파악하여 어떠한 입도 분포 형태를 나타낼지 미리 예측하여 이론 분포를 가정한다면 수치모형을 통해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를 모사할 때 그 정확도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로서 제시한 GEV 분포와 Gamma 분포, Log-normal 분포를 FM 모형에 결합하여 입도 분포를 모의한 후 그 결과를 실제 현장에서 측정된 입도 분포와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실제 어떠한 분포가 가장 적합하게 모의하는지도 검증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점착성 유사의 입도를 모사하는 분포를 새로 개발하여 사용한다면 점착성 유사의 이동과 특성을 연구할 때 가장 중요한 크기 특성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유사와 관련된 문제를 용이하게 분석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Cohesive Sediment (점착성 유사의 입도분포 특성 분석)

  • Son, Minwoo;Park, Byeoung Eun;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46-246
    • /
    • 2019
  • 점착성 유사는 비점착성 유사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가지며 전자기적 점착력에 의해 연속적인 응집과 파괴의 과정인 응집현상을 겪는다. 응집현상에 의해 생긴 유사 덩어리를 플럭(Floc)이라고 하며 유사의 응집현상은 점착성 유사가 가지는 입자 크기, 침강속도, 밀도를 변화시킨다. 유사의 이동은 크기, 침강속도, 밀도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점착성 유사의 여러 특성에 관여하는 입자의 크기에 대한 충분한 이해는 점착성 유사의 이동을 파악하는 데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점착성 유사의 여러 특성 중, 입자 크기 분포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점착성 유사의 연구에서 입도 분포는 Log-normal 분포로 가정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적합성에 대해서는 검증된 바가 없다. 따라서 과거 연구에서 조사된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 자료를 현장에서 측정된 자료와 실험실에서 측정된 자료로 나누어 수집한 후, 표본에 통계학적인 방법인 적합도 검정을 사용하여 실제 어떠한 분포를 모사하는지 살펴보았다. 적합도 검정은 Kolmogorov- Smirnov (K-S)검정을 이용하였으며 K-S 검정의 결과가 유의수준 5%를 통과하는 경우 가정된 분포가 실제 표본을 잘 모사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적합도 검정 결과,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는 현장 실험과 실험실 실험에서 다른 특징을 나타내었다. 현장 실험의 경우 입도 분포의 형태가 지수 분포의 형태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았으며 Gamma 분포가 우수하게 모사하였다. 실험실 실험의 입도 분포는 일반적인 양의 왜곡도를 가지는 분포를 그렸으며 GEV 분포와 Gamma 분포가 우수하게 모사하였다. 두 경우 모두 Log-normal 분포가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Log-normal 분포에 위치 매개변수를 추가하여 3 매개변수의 분포로 모사한 경우 유의수준 5%를 통과하는 경우가 크게 증가하였다. 향후에는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를 모사하고 사용함에 있어 Log-normal 분포를 무조건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지양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2 매개변수의 분포를 점착성 유사의 입도분포로 사용할 경우, Gamma 분포를 추천하며, 기존에 사용되던 Log-normal 분포를 사용할 경우 위치 매개변수를 추가하여 3 매개변수의 Log-normal 분포를 이용할 것을 추천한다. 또한 점착성 유사의 입도를 모사하는 분포를 개발하여 사용한다면 점착성 유사의 이동과 특성을 연구할 때 가장 중요한 크기 특성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On the Physical Mechanism of Wheel/Rail Adhesion (Wheel/rail의 점착현상의 물리적 이해)

  • 전규찬;황동환;김대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5.06b
    • /
    • pp.7-13
    • /
    • 1995
  • 현재 교통인구 비중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철도 차량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고속화에 성공하여 300km/h대의 속도를 달성하기에 이르렀다. 열차가 고속화됨으로 인하여 열차 주행시 운동에너지가 더욱 커졌고 이를 소산하기 위한 제동 역시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열차의 제동시 중요한 점은 wheel의 skidding을 방지함으로 wheel의 편마멸을 줄이는 것이며 이를 위해선 제동장치의 설계시 wheel과 rail간의 점착현상의 이해가 필수적이다. 제동력이 점착력보다 클 경우는 skidding이 발생하며 제동력이 점착력보다 작은 경우는 충분한 제덩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열차의 제동장치를 설계함에 있어서 점착계수는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으며 미국, 일본, 독일 등의 선진 각국에서는 점착계수를 측정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려는 실험이 실험실 및 실차 차원에서 많이 행하여졌다. 각각 다른 접척조건, 속도 등에 따른 실험이 진행되어 왔으나 각 연구의 결과는 조금씩 다른 결향을 나타내었고, 점착현상에 관한 물리적인 설명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wheel과 rail의 접촉인 경우에 있어 점착현상의 변화를 속도, 하중, 접촉조건에 따른다고 보고 점착현상의 특성을 각각 sliding, pure rolling실험을 통해 파악하고 기타 참고문헌에서 발표된 점착계수와 비교하여 물리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sistance of acrylic rubb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with curing agents and tackifiers (경화제와 점착부여제가 아크릴 고무점착제의 내열성에 미치는 영향)

  • Nam, Kyong min;Kim, Chul Yong;Kim, Eun Seon;Kim, Kwang-Je;Choi, Woo Jin;Kim, Ki-Tae;Park, Myung-Chul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 /
    • v.18 no.4
    • /
    • pp.166-170
    • /
    • 2017
  • In this study, acrylic rubb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was polymerized with 2-ethylhexyl acrylate, styrene, butadiene, 2-hydroxyethyl acrylate, and acrylic acid by controlling the initiator content. The initial tackiness, peel strength, holding power, and heat resistance of the PSAs were investigated by changing the content of tackifier and curing ag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itial tackiness and peel strength increased as the content of tackifier increased, whereas the holding power decreased. Also, the results exhibited that that the initial tackiness, peel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decreased as the content of curing agent increased, whereas the holding power and decreased.

Adhesion Performance of Natural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for Protecting of Opto-functionalized Sheet (광기능성시트 보호용 천연고무계 점착제의 점착 물성)

  • Park, Young-Jun;Lim, Dong-Hyuk;Kim, Hyun-Joong;Song, Hyun-Suk;Kwon, Hyuk-Jin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 /
    • v.8 no.2
    • /
    • pp.15-21
    • /
    • 2007
  • To prepare a natural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SA) for protection film of opto- functionalized sheet, natural rubber (NR) was blended with a DCPD type tackifier and three types of aliphatic hydrocarbon resins, respectively. Also, to supply low cohesion strength of NR, in the fixed ratio of tackifier, synthetic rubber, styrene-isoprene-styrene (SIS) block copolymer was blended with NR as a function of SIS contents. PSA performance of prepared PSAs was evaluated using probe tack and peel strength. Probe tack of NR/tackifier blend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ackifier contents, and showed maximum peak. In addition, probe tack of NR/tackifier blends sligh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softening point of aliphatic hydrocarbon resins. Their peel strength increased up to 50 wt% of tackifier contents, but in the over contents of tackifier, they showed stick-slip failure mode. Finally, probe tack of NR/SIS/tackifier blends showed the maximum values at 20~40 wt% of tackifier contents, but at 20 wt% of tackifier contents, they showed fibrillation. For this reason, peel strength showed maximum values at 40 wt% of tackifier contents.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hesive sediment transport model (점착성 유사의 이동 모형화 및 적용)

  • Son, Min-Woo;Lee, Gua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31-335
    • /
    • 2011
  • 흔히 진흙으로 불리는 점착성 유사는 모래 등의 비점착성 유사와는 다른 특성을 보인다. 가장 큰 특징은 점착력에 의해 서로 엉겨 붙어 큰 덩어리(플럭)를 형성하고 다시 큰 플럭이 파괴되는 과정인 응집현상(Flocculation Process)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 응집현상의 과정을 통해 플럭은 크기 및 밀도를 지속적으로 변화시킨다. 크기 및 밀도의 변화는 플럭의 침강속도를 변화시켜 점착성 유사의 부유, 퇴적, 이송, 확산의 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응집현상은 플럭의 침강속도 뿐 아니라 부피농도와 질량농도 사이의 비선형적 관계를 야기하여 흐름 운동량 방정식 유도, 난류의 모형화 등에서도 비점착성 유사와 다른 방향으로 진행된다. 점착성 유사가 우세한 지역의 또 다른 특성은 자기하중에 의한 압밀현상에 따라 발생하는 가변적인 한계소류력이다. 따라서 점착성 유사의 이동을 모형화 하는 과정에서는 가변적인 침식율의 가정 등을 통해 이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흐름의 운동량 방정식 및 난류 모형에서는 플럭의 부피 농도와 질량농도가 각 항의 물리적 의미에 부합하도록 개별적으로 선택 및 적용되어야 질량보존의 문제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계산상의 오류를 배제할 수 있다. 적용 결과, 점착성 유사가 우세한 지역에서 나타나는 높은 부유 및 흐름정체기에서의 부유사 존재 등의 특성이 점착성 유사 이동을 위한 모형에서 보다 합리적으로 계산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비점착성 유사에 적합한 이동 모형이 점착성이 우세한 지역에 적용될 경우, 상황에 따라 유사량을 과대 및 과소 산정할 수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조류의 영향이 존재하는 하구부의 경우에는 조류의 형태와 비대칭성에 따라 유사량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조류의 형태는 주로 하구부의 지형에 의해 결정되므로 준설, 매립, 확폭 등과 같은 하구부에서의 사업이 진행되는 경우, 유사량 변화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ntroduce of New Polymerization Methods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새로운 점착제 합성법 소개)

  • Aota, Hashiramoto;Ko, Sei Youn;Lim, Yong Kwann;Lee, Sang Kuk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 /
    • v.3 no.2
    • /
    • pp.45-52
    • /
    • 2002
  • 기존의 점착제 합성방법에서 탈피하여 용액형 점착제(Solution)의 장점과 입자형 점착제(Emulsion)의 장점을 동시에 보유한 NAD (Non-Aqueous Dispersion Polymer)를 합성하였다. NAD는 메탄올 분위기에서 6개월 이상의 분산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NAD는 용액에서 입자형 고분자의 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도공 공정에서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의 아크릴 점착제의 장점과 고무계점착제의 장점을 결합한 고분자량의 점착제, GP (Graft Polymer)를 합성하였다. GP는 자체가 매우 높은 분자량을 보유하여 가교제의 첨가 없이도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GP는 일반적으로 고 분자량의 고분자에서 나타나는 Weissenberg effect 현상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점착제로 응용시 각각의 물성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 PDF

Pressure Sensitive Adhesion Performances of SIS/SBS based UV-cur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sing Thiol-ene Reaction (Thiol-ene 반응을 이용한 UV경화형 SIS/SBS계 점착제의 점착물성)

  • Lim, Dong-Hyuk;Do, Hyun-Sung;Kim, Hyun-Joong;Yoon, Goan-Hee;Bang, Jung-Suk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 /
    • v.6 no.3
    • /
    • pp.19-25
    • /
    • 2005
  • Synthetic rubber 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s) usually containing SIS or SBS block copolymer, tackifier, plasticizer, and other additives are now widely used on various applications. As these PSAs are physically crosslinked and can be applied without the use of solvent, they are thermally processabl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However these PSAs cannot be used in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and in applications where solvent and chemical resistance properties are required. We developed the PSA adding UV curable system, such as thiol-ene system, to increase adhesion properties at elevated temperature. The adhesion properties such as probe tack, peel strength, shear adhesion failure temperature (SAFT) were evaluated. The probe tack test was conducted with varying probe materials and coating thickness of PSAs. Using the contact angle, the surface property of the cured PSAs was also obser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