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점분포 패턴

Search Result 168,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Fractal characteristics of spatial variance in atmospheric pressure (기압의 공간 편차에서 나타나는 프랙탈 특성)

  • Kim, JongChun;Paik, Kyungro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4
    • /
    • 2015
  • 기압 분포의 공간 구조를 이해하고, 그것의 변동을 살펴보는 것은 풍속의 경향을 파악하는 것은 물론, 장기적인 측면에서는 기후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기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공간적으로 연속적인 관찰이 가능한 20CR(20th Century Reanalysis) 원격탐사 재분석 자료의 지오포텐셜(geopotential) 값을 활용하여 동아시아 지역 기압의 공간 분포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특정 범위 내에서 계산되는 기압의 편차 값과 해당 범위를 정의하는 수평 거리 사이의 관계(변동도; variogram)가 멱함수를 따르는 것을 확인하였다. 흥미로운 점은 지난 반세기 동안 멱함수의 계수 값이 풍속과 동일한 패턴으로 변화하는 반면, 지수 값 (프랙탈 차원)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또한, 2000년 이후로는 계절 별로 한랭한 기단 (겨울철)과 온난한 기단 (여름철)이 번갈아가며 동아시아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로인해 전반적인 기압의 편차가 증가하였다.

  • PDF

A Fast Block Matching Algorithm using Unit-Diamond and Flat-Hexagonal Search Patterns (단위 다이아몬드와 납작한 육각패턴을 이용한 고속 블록 정합 알고리즘)

  • 남현우;위영철;김하진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0 no.1
    • /
    • pp.57-65
    • /
    • 2004
  • In the block matching algorithm, search patterns of different shapes or sizes and the distribution of motion vectors have a large impact on both the searching speed and the image qua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fast block matching algorithm using the unit-diamond search pattern and the flat-hexagon search pattern. Our algorithm first finds the motion vectors that are close to the center of search window using the unit-diamond search pattern, and then fastly finds the other motion vectors that are not close to the center of search window using the flat-hexagon search pattern. Through experiments, compared with the hexagon-based search algorithm(HEXBS), the proposed unit-diamond and flat-hexagonal pattern search algorithm(UDFHS) improves as high as 11∼51% in terms of average number of search point per motion vector estimation and improves about 0.05∼0.74㏈ in terms of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

Analysis on Nonstationarity of Hydrologic Variable and Development of Bayesian Nonstationary Rainfall Frequency Analysis (국내 수문자료의 비정상성 특성 검토 및 Bayesian 비정상성 강수 빈도해석 기법 개발)

  • Kwon, Hyun-Han;Moon, Young-Il;Park, Rae-Gun;Park, S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14-21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동성 및 기후변화와 같은 외부충격을 극치수문사상 해석에 반영할 수 있는 비정상성 빈도해석 기법을 제안하고 서울지방 강수량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외부인자를 고려할 경우에 가장 큰 어려운 점은 극치분포의 매개변수를 효과적으로 추정하면서 동시에 불확실성을 정량화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Bayesian 방법은 상대적으로 우수한 해석 능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비정상성 빈도해석 기법을 서울지방 강수량에 선형경향성과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하여 적용한 결과 현재에 비해 극치강수량에 발생 빈도가 크게 나타나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보다 신뢰성 있는 해석을 위해서 다양한 기상패턴 및 모형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ssessment of Large Scale Climate Pattern of Extreme Rainfall in Korea (우리나라 극치강수량 발생시 대규모 기상장 특성 평가)

  • Kwon, Hyun-Han;Kim, Min-Ji;Kim, Jang-Kyung;Kim, Un-G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60-360
    • /
    • 2011
  • 우리나라의 극치강수량 발생 특성은 6~8월 사이에 몬순시스템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러한 동아시아 몬순시스템은 대규모 기상학적 거동으로서 우리나라의 국지적 강수발생 특성과 매우 큰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극치강수량 발생 시에 나타나는 기상학적 특징을 진단하는 과정은 수문 기상학적으로 극치강수량을 예측할 수 있는 기본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발생한 극치강수량을 순위별로 추출하고 각 순위별로 극치강수량 발생시점을 중심으로 5일 이전의 기상변량을 NOAA 재해석(reanalysis) 자료로부터 추출하고 이를 합성시켜 기상특성을 평가하였다. 극치강수량의 기상학적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상변량으로는 Sea Level Pressure, Wind Vector, Geopotential Height 등을 추출한다. 둘째, 이들 기상자료로부터 대규모 강우장만을 추출하기 위해서 기준값(threshold)을 가지고 특정량 이상의 Storm Track만을 추출한다. 셋째, 이들 Storm Track들을 분류하여 범주화 시킨다. 넷째, 범주화된 Storm Track 별로 강수량 분포, 강수지속시간 등에 대한 확률 분포를 유도한다. 또한 이들 Storm Track에 패턴인식 기법을 적용하여 Storm Track의 이동경로를 추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Mining Commuter Patterns from Large Smart Card Transaction Databases (대용량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통근 패턴 탐사)

  • Park, J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a
    • /
    • pp.38-39
    • /
    • 2010
  • 수도권 대중교통 이용자는 2004년 서울시의 대중교통 체계 개편에 따라 교통 카드를 사용하여 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하게 되었다. 교통 카드를 사용하는 각 승객의 승차와 하차에 관한 데이터가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구성되고, 하루 천만 건 이상의 트랜잭션들로 구성된 대용량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지고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승차와 하차에 관한 여러 정보를 담고 있는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용한 패턴이나 정보를 탐사해내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이런 연구 결과는 수도권 대중교통 정책을 입안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되고 수도권 승객들에게 대중교통을 보다 잘 이용할 수 있는 정보로 제공된다. 교통카드 이용률은 2006년 79.5%, 2007년 80.3%, 2008년 81.6%로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대용량의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하루 동안의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순차 패턴을 탐사하는 알고리즘을 연구하였고[1], 승객들의 통행 패턴에 대한 분석연구를 확장하여 일 년에 하루씩 2004년에서 2006년까지 3일간의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승객 시퀀스의 평균 정류장 개수와 환승 횟수 등을 연도별로 비교하였다[2]. 수도권 지하철 시스템의 특성에 관한 연구로는 네트워크 구조 분석이 있었고[3], 승객의 기종점 통행 행렬(Origin-Destination trip matrix)에 의한 승객 흐름의 분포가 멱함수 법칙(power law)임을 보여주는 연구가 있었고[4], 지하철 교통망에서 모든 링크상의 승객들의 흐름을 찾아내는 연구가 있었다[5]. 본 논문에서는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지하철 승객들의 통근 패턴을 탐사해내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수도권 지하철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하루치의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 연구된 방법을 적용하여 8가지 통근 패턴들을 탐사해내고 분석하였다. 탐사된 패턴들 중에서 많은 승객들이 지지하는 출퇴근 패턴에 대해서는 시간대별로 승객수를 그래프로 보여주었다.

  • PDF

Travel Behavior Analysis of KTX Commuter Belt (KTX 통근권역의 통행행태 분석)

  • Lee, Jin-Sun;Kim, Kyoung-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1 no.4
    • /
    • pp.417-423
    • /
    • 2008
  • Transportation planners are increasingly adopting policies aimed at changing travel choices made by general commuter. Theor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speed technology and transport address changes in travel behavior of regional commuter due to alterations in the Kyung-Bu railroad transportation corrid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vel behavior and high-speed technology. The KORAIL data allows us to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travel characteristics that are usually hard to discern by guesswork. The effects of travel tim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full decisions that control for commuting KTX. Although many argue that transportation behavior cannot be changed,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about 4 years of behavioral data on KTX travel show otherwise. In this paper we explore several possibilities to fill in some of the gaps in our knowledge on the expansion of commuter belt.

A Study on the Template Matching Methods for Hand Vein Pattern Recognition (손등의 정맥패턴 인식을 위한 원형정합방법의 비교 연구)

  • Choi, Hwan-Soo;Park, Seong-Hyuk;Jung, Dong-Ch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8.07g
    • /
    • pp.2231-2233
    • /
    • 1998
  • 본 논문은 손등의 정맥패턴을 이용한 개인식별을 위해 개발된 3가지의 알고리즘에 관해 각각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를 제시한다. 세가지 방법은 각각 Unsharp Masking을 이용한 이치화 후 정맥과 손등 배경의 면적을 이용한 가중치를 적용한 원형정합 알고리즘[1]과 Kolmogorov Smirnov(KS) statistic[2]을 이용한 매칭 알고리즘을 개선한 방식, 그리고 정맥의 세선화 처리 후 분기점의 좌표, 정맥의 길이, 정맥 가지 사이의 분기각도 등의 특징벡터를 이용한 방법 등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처리 과정에 있어서, 원시영상의 혈관부위와 배경부위의 gray scale 분포가 겹친 상태에서 Unsharp Masking 필터링을 적용한 결과가 기타 다른 전처리 방식보다 우수하게 영상을 강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가중치를 이용한 매칭방식이 다른 매칭방식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patial Patterns and the Factors on Agglomeration of New Industries in Korea (신산업의 공간분포 패턴과 집적 요인에 관한 연구)

  • Sa, Hoseok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2
    • /
    • pp.125-146
    • /
    • 2020
  •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foster new industries at the local level.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patial patterns of new industries in Korea from 2007-2017 and to figure out its determinants of agglomeration in 2017.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 that new industries are unevenly distributed around Seoul Metropolitan Area(SMA). The regional disparity between SMA and non-SMA is prominent. Furthermore, new industries represent a strong spatial positive autocorrelation, showing a strong concentration on a few regions in Korea. This study explores the determinants on agglomeration of new industries with spatial statistical model. From the results of spatial error model, it i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graduate students, the ratio of technology based start-ups, and the number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ew industries. In addition, the specialization and the diversity of industrial structure on knowledge-based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ies have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hat non-SMA needs policies with respect to attracting talented people, developing human resources, and improving reg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improve regional competitiveness in promoting new industries.

Estimating O-D Trips Between Sub-divided Smaller Zones Within a Traffic Analysis Zone (대존 세분화에 따른 내부 소존 간의 O-D 통행량 추정 방법)

  • KIM, Jung In;KIM, Ikk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3 no.6
    • /
    • pp.575-583
    • /
    • 2015
  •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KOTI) builds the origin and destination(O-D) trip data with relatively smaller zone size such as Eup, Myeon, Dong administration unit districts in metropolitan area. Otherwise, O-D trip data was built by bigger size of traffic analysis zone(TAZ) such as Si, Gun, Gu administration unit districts for rural area. In some cases, it is needed to divide a zone into several sub-zones for rural area in order to analyze travel distribution pattern in detail for a certain highway and rail project. The study suggested a method to estimate O-D trips for sub-zones in the larger-size zones in rural area. Two different distribution models, direct demand model and gravity model, were calibrated for sub-zone's intra-zonal O-D trip pattern with metropolitan area O-D data which has smaller zone-size (sub-zone) data categorized by low, middle and high population density. The calibration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models. The gravity model with impedance function of power functional form was selected with better explanation for all group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adjusted $R^2$ was 0.7426, 0.6456 and 0.7194 for low, middle and high population density group, respectively. The suggested O-D trip estimating method is expected to produce enhanced trip patterns with sub-divided small zones.

A Study on the Reinforcement Effects of Fully-Grouted Rock Bolts (전면접착형 록볼트의 보강효과에 관한 연구)

  • 정해성;문현구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9 no.3
    • /
    • pp.194-203
    • /
    • 1999
  • The axial stress in rock bolt, the shear stress at the bolt-grout interface and the neutral point a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mechanical behavior of rook bolt. To analyze the support effects of rock bolt in various geological conditions, numerical analyses are performed with regard to bolt spacing and bolt length in several geological conditions and tunnel sizes. Through the numerical analyses, the distributions of maximum tensile stress and shear stress are determined. And the excavation width of underground opening affects the position of the neutral point. In the circular opening supported by pattern bolting, the increase of confining pressure, the reduction of plastic zone, and that of ground displacement are determined by using the radial stress increase ratio, the plastic zone reduction ratio and the displacement reduction ratio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a practical tunnel design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trends of these support effe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