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점분포 패턴

Search Result 16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Location of Large Scale Discount Store and Differences of Accessibility to Daily Shopping Places (대형할인점의 입지와 일상적 쇼핑장소로의 접근성 차이)

  • 정은혜;노시학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4
    • /
    • pp.585-598
    • /
    • 2000
  • 본 연구를 통하여 대형할인점 이용자, 재래시장 이용자, 그리고 수퍼마켓 이용자들의 각 쇼핑장소를 중심으로 한 거주지역 공간적 분포 및 쇼핑패턴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이 세종류의 쇼핑장소 이용자들간의 각 쇼핑장소들 중심으로 한 거주지역 분포의 공간적 패턴 및 쇼핑통행 패턴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대형할인점을 이용자를 제외한 재래시장 이용자와 슈퍼마켓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이용하기를 원하는 대형할인점의 이용을 제한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통행거리, 운전면허 미소지, 자가용 승용차 미보유 등 대형할인점으로의 접근을 위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약 요인들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점들을 볼 때, 재래시장 및 수퍼마켓이 주민들의 일상적인 쇼핑장소의 역할을 할 때와는 달리 대형할인점의 등장은 이곳으로의 주민들의 접근능력의 차이에 따라 주민들간 일상적 소비장소의 차별화가 진행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최근 대형할인점의 입지가 가속화되고 이에 따라 재래시장 및 수퍼마켓의 기능이 쇠퇴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신체적 그리고 사회경제적 특성의 차이에 따라 대형할인점으로의 접근에 제한을 받는 주민들의 일상적 소비공간은 더욱 위축되고 고립될 가능성이 있다.

  • PDF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Urban Green Spaces Using Local Spatial Autocorrelation Statistics (국지적 공간자기상관통계를 이용한 도시녹지의 공간적 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 Kim, Yun-Ki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50 no.1
    • /
    • pp.25-45
    • /
    • 2020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local spatial autocorrelation techniques in identifying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green spaces. To achieve the objective, this researcher uses satellite image analysis and spatial autocorrelation technique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LISA cluster map with the spatial outlier cluster is superior to other analytical methods in identifying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urban green spac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related fields in that it uses several different research methods than the existing ones. Despite this differentiation and usefulnes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using low-resolution satellite imagery and NDVI among vegetation indices in identifying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green areas. These limitations may be overcome in future studies by using UAV images or by simultaneously using several vegetation indices.

A study on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Urbanized Area using GIS Analysis: Focused on Urban Growth of Seoul Metropolitan Area (GIS분석기법을 이용한 도시화 지역의 공간적 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수도권의 도시성장을 중심으로)

  • Jeong, Jae-Joon;Roh, Young-Hee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0 no.3
    • /
    • pp.319-331
    • /
    • 2007
  • Nowadays, urbanized area expands its boundary, and distribution of urbanized area is gradually transformed into more complicated pattern. In Korea, SMA(Seoul Metropolitan Area) has outstanding urbanized area since 1960. But it is ambiguous whether urban distribution is clustered or dispersed. That is to say,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urbanized area, although urbanized area has grown gradually. This study aims to show the way in which expansions of urbanized area impact on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urbanized area. We use GIS analysis based on raster dataset, quadrat analysis, and nearest neighbor analysis to know distribution pattern of urbanized area in time-series urban growth. Experiments show that cohesion of SMA's urbanized area had increased to the early 1980s, but has decreased from the middle 1980s. Also, urban growth of SMA has been characterized not by spillover growth but by leapfrogging growth and road-influenced growth since the middle 1980s.

  • PDF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Co-authoring Activities in the Korean Cadastral Research Field (한국 지적학 연구분야 공동저술활동의 공간분포패턴연구)

  • Kim, Yun-Ki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50 no.2
    • /
    • pp.203-219
    • /
    • 2020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co-authoring activities in Korean cadastral science. The analysis showed that a small number of researchers played an essential role in the Korean cadastral co-authorship network. In particular, some authors not onl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ther nodes in the network but also served as intermediaries between researchers. Moreover, the distance between researchers influenced co-authorship decisions to a limited extent. This study differs considerably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used spatial analysis techniques to identify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co-authoring activities. However, this research is limited in that it applied only 2019 data to deter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co-authoring activities. We can overcome this limitation if we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co-authoring activities using multi-year data in future studies.

Analysis of The Partial Discharge Pattern in XLPE using Statistical Distribution (분포통계를 이용한 XLPE의 부분방전 패턴해석)

  • Kim, Tag-Yong;Hong, Jin-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5-40
    • /
    • 2006
  • 최근 전기에너지의 사용비율은 해가 거듭될수록 증가되고 있으며, 경량화 소형화로 인한 전력기기의 스트레스가 증가되었다. 또한 고압송전으로 인해 전기적 사고는 대형사고를 유발하므로 전력기기의 수명예측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XLPE 절연체의 보이드 유무에 따른 부분방전 패턴을 K-means 분포통계함수를 이용하여 부분방전 패턴의 그룹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전하량과 방전빈도수의 분포를 비교하기 위해 위상-전하랑 및 위상-전하량-빈도수에 의한 그룹의 centroid 이동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보이드가 존재하는 경우 전하량의 높은 점에서 중심점을 형성하였고, 방전발생위상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또한 위상-전하량의 클러스터보다 위상-전하량-빈도수의 클러스터에서 객체간 편차가 더 커짐을 발견하였다.

  • PDF

A Symmetric Motion Estimation Method by using the Properties of the Distribution of Motion Vectors (움직임 벡터 분포 특성과 블록 움직임의 특성을 이용한 대칭형 움직임 추정 기법)

  • Yoon, Hyo-Sun;Kim, Mi-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3
    • /
    • pp.329-336
    • /
    • 2017
  • In video compression, Motion Estimation(ME) limits the performance of image quality and generated bit rates. However, it requires much complexity in the encoder part. Multi-view video uses many cameras at different positions. Multi-view video coding needs huge computational complexity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he cameras. To reduce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maintain the image quality, an effective motion estimation method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proposed method exploiting the characteristics of motion vector distribution and the motion of video. The proposed is a kind of a hierarchical search strategy. This strategy consists of multi-grid rhombus pattern, diagonal pattern, rectangle pattern, and refinement pattern.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complexity reduction of the proposed method over TZ search method and PBS (Pel Block Search) on JMVC (Joint Multiview Video Coding) can be up to 40~75% and 98% respectively while maintaining similar video image quality and generated bit rates.

Deelopment of a Multisite Daily Rainfall Simulation Model Using a Machine Learning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한 다지점 일강수량 모의 모형 개발)

  • So, Byung-Jin;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83-83
    • /
    • 2017
  • 수자원공학에서 일강수량 모의기법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홍수와 가뭄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수공구조물의 위험도 및 신뢰성 평가 및 수자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입력 자료생성을 목적으로 활용된다. 유역 단위의 분석시 단일 지점에 대한 강수 모의 기법을 적용할 경우 각각의 지점에서 관측된 강수 자료의 시계열 및 통계치 특성이 효과적으로 재현되지만 공간적으로 발생하는 즉, 지점 간의 종속관계를 재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공간적인 전이 특성이 있는 가뭄 분석 및 유역내 유출량의 공간적 변동 특성 분석에 단일지점별 모의 결과를 이용할 경우 관측 자료와 상반된 공간적 변동성으로 인하여 잘못된 가뭄 및 유출 분석 결과가 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발생하는 강수 특성을 반영한 유역 단위의 홍수 및 가뭄 등의 수문 분석을 위해서는 지점간의 종속성을 반영할 수 있는 다지점 강수 모의 모형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지점 모의에 있어서, Wilks 모형의 지점별 시변동 특성과 공간상관성 재현 능력, HMM 모형이 갖는 강수 사상별로 분포된 양적 분포 패턴 재현 능력을 복합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다지점 일강수량 모의 모형인 기계학습 기반 범주화 기법을 이용한 다지점 일강수량 모의 모형(ML-MRS)을 개발하였다. 또한, 지점별 강수량에 적용되는 확률분포모형은 Gamma 분포로 구성된 혼합모형을 적용하여 단일 확률 분포 모형의 자료 적합 문제를 개선하였다. 모의를 통한 일강수량 시계열 자료는 일 강수자료의 통계량을 효과적으로 모의하였으며, 다지점 모형의 모의 결과를 적용한 가뭄 모의 결과 관측 자료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패턴이 재현되었다. 본 모형은 시 공간적 사상을 효과적으로 재현함으로서 지역의 변동특성을 반영한 가뭄, 홍수, 기상 현상 분석 등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eneralization of Point Feature in Digital Map through Point Pattern Analysis (점패턴분석을 이용한 수치지형도의 점사상 일반화)

  • 유근배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6 no.1
    • /
    • pp.11-23
    • /
    • 1998
  • Map generalization functions to visualize the spatial data or to change their scale by changing the level of details of data. Until recently, the studies on map generalization have concentrated more on line features than on point features. However, point features are one of the essential components of digital maps and cannnot be ignored because of the great amount of information they carry. This study, therefore, aimed to find out a detailed procedure of point features' generalization. Particularly, this work chos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point feature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point generalization in investigating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source data. First, it attempt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pattern of point features through quadrat analysis with Grieg-Smith method and nearest-neighbour analysis. It then generalized point features through the generalization threshold which did not alter the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removal of redudant point feautres. Therefore, the generalization procedure of point features provided by this work maintained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as much as possible.

  • PDF

Abnormal Crowd Behavior Detection using a Modified Feature Map (특징점 맵 보정을 통한 군중 이상행동패턴 인식 방법)

  • Jung, Sung-Uk;Jee, Hyu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252-253
    • /
    • 2015
  • 군중의 이상행동을 검출하는 것은 군중 모니터링, 보안 및 CRM 시스템의 관점에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기존의 방법은 대다수가 옵티컬플로우를 기반으로한 검출방법으로 객체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는 객체로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많은 데이터량을 처리하기 때문에 실시간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특징점 맵 보정과 분포분석을 통한 군중의 밀집과 대피하는 현상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군중에서 옵티컬플로우 기반으로 움직이는 FAST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의 분포에따라 특징점맵을 복원한다. 복원된 특징점 맵과 특징점의 분포에 기반하여 군중의 이상정도를 결정하게 된다. PETS2009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결과를 측정하였다.

  • PDF

EF-TEM을 이용한 직접가열 실험을 통한 Titanium의 고온에서의 상변화 연구

  • 김진규;이영부;김윤중
    • Proceedings of the Korea Crystallographic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22-23
    • /
    • 2002
  • Titanium은 높은 강도, 낮은 밀도, 부식에 대한 저항 등, 타 금속에 비해 월등히 뛰어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산업 전반에 거쳐 그 응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고온에서의 응용이 중요성을 띠게 됨에 따라 고온으로의 상전이 관계에 따른 구조적 규명이 필요하다. 순수한 titanium은 상온에서 조밀충진 육방정계의 α-상구조(a=2.953Å, c=4.683 Å, P6₃/mmc)를 이루고 있으나, 대략 880℃ 이상에서는 β-상의 체심입방정계 (a=3.320Å, Im3m)로 상전이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가 kinetics와 thermodynamics에 관련되어 있으며, TEM을 이용한 직접가열실험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본 실험에서는 TEM 직접가열을 통하여 titanium의 고온에서의 상전이와 가열시 발생할 수 있는 산화층 형성을 연구하였다. TEM 시편은 순도 99.94%의 titanium foil(Alfa Aesar, #00360, 0.025mm thick)를 이용하였고, 분석 장비로는 에너지여과 기능이 있는 TEM(EM912 Omega, Carl Zeiss)과 Gatan사의 double-tilt heating holder를 사용하였다. Titanium의 상전이를 관찰하기 위해 900℃ 까지 분당 10℃ 의 속도로 가열을 하였다. 통계적 분석 오차를 줄이기 위해 서로 다른 4군데의 관찰영역을 선택하여, 상온 - 600℃ - 900℃ - 상온의 단계별로 회절패턴을 관찰 및 기록하였고, 발생 가능한 산화에 대해서는 동일한 장비를 사용하여 EDS 분석을 하였다. 상온에서의 서로 다른 영역의 회절패턴들은 결함의 존재에 상관없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결함수가 증가하게 된다. 특히 600℃ 에서는 쌍정과 관련된 회절점들이 본래의 회절점 주위에 형성되어있지만, 각 면들의 격자상수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900℃ 에서는 쌍정에 의한 회절점의 수가 증가하며, 회절점 사이에 발달한 뚜렷한 막대모양의 강도분포와 격자상수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다시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관찰한 각각의 회절패턴에서는 격자 상수의 감소와 함께 900℃에 보여진 막대 모양의 강도분포와 쌍정에 의한 회절점들이 여전히 남아있었다. EDS분석 결과 가열 실험을 통해 시편이 열적 산화가 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순수한 titanium의 α-상에서 β-상으로의 상전이를 파악할 수 있는 격자상수의 변화자체는 매우 작은 값이기 때문에 상온과 900℃ 에서 기록된 전자회절패턴 상에서의 면간거리와 면간각도의 측정만으로는 상전이 여부를 명확히 구별할 수 없었다. 그러나, 결함에 의한 상변화가 900℃ 에서 심하게 관찰되어지는 것은 상전이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고온에서 상온으로의 가역적 반응을 관찰할 수 없었던 이유는 열적산화로 생긴 산화층의 산소원자들이 고온의 상전이 과정 중에 Ti 원자와 반응이 일어나 TiO/sub X/ 구조로 전이되었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