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절봉면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태화강 유역의 경사와 절봉면 분석 (A Study on Slope Angle and Summit Level Analysis of the Taehwa River Basin)

  • 김주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
    • /
    • pp.15-29
    • /
    • 1989
  • 특정지역의 지형은 지질적인 제여건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지질과 지형과의 관계를 밝히는데는 다방면에 걸친 연구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 남동지대에 발전하는 지질구조중 소증 양산절층, 동래절층 등의 지질구조는 그 지역의 구조운동을 밝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뿐아니라 지형발달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어 지형학적으로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태화강 유역의 경사와 절봉면을 분석함으로서 양산절층과 그 부근에 발달한 지질구조가 하천지형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밝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 PDF

옥천분지와 진천분지의 지형특성 (The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Okcheon Basin & Jincheon Basin)

  • 윤인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93-104
    • /
    • 2001
  • 한반도에서 하천의 작용으로 형성된 침식분지는 촌락과 도시가 자리잡은 생활공간과 경지 및 산업용지 등의 생산공간을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지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지역은 달리하나 구성물질과 형성시기, 형성과정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는 옥천분지와 진천분지의 특성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 방법은 지도작업과 야외조사를 통하여 지질과 지형과의 관계, 하곡의 형성과 전체적인 지형, 분지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첫째, 옥천분지와 진천분지는 지형적 단위지역으로 구분이 뚜렷하며, 화강암이 분지 내부를 형성하는 전형적인 침식분지로 볼 수 있다. 둘째, 옥천분지와 진천분지의 경계부(basin rim) 및 분지 내부의 지질 형성시기와 종류로 보아 지각 내부의 작용- 곡동(upwarping)- 후 차별침식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옥천분지와 진천분지의 이용은 국토관리 측면에서 식량자원의 확보를 위한 농업기지로의 활용이나, 주변지역과의 양호한 접근성으로서 전원적인 저밀도 거주공간으로의 활용도 적합하다고 생각이 된다.

  • PDF

한국에 있어서 감입곡류 하천의 분포 특성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cised Meander River in the Korean Peninsula)

  • 송언근;조화룡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7-34
    • /
    • 1989
  • 1) 우리나라의 감입곡류의 분포는 태백산맥 서사면과 소백산맥 북.서사면에 집중 분포해 있고 동해사면과 소백산맥 동.남사면에는 상대적으로 감입곡류의 발생률이 낮다. 하천별로는 한강, 금강, 섬진강, 낙동강 순으로 나타나고 특히 남한강 상류에서 높게 나타난다. 2) 지질적으로 감입곡류의 발생률은 조선계, 평안계, 대동계, 변성암, 경상계, 화강암 순으로 높게 나타나고, 풍화에 강한 암석일수록, 층상구조를 하고있는 지질일수록, 지질배열이 유로와 직교할수록, 지질 접촉부에 위치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3) 1/250,000 지형도를 기도로 한 하천차수구분에서 감입곡류의 발생률은 5차, 4차, 6차수 하천에서는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이보다 차수가 높아지거나 낮아질수록 발생률이 급격히 낮아진다. 4) 감입곡류하는 하천의 현재 하상고도는 100~200m 고도에 높은 빈도를 보이고, 절봉면도(7.5km 이하의 곡을 이곡하여 작성)에서는 400~600m 고도에 높은 빈도를 보여 이 절봉면을 원면으로 가정할 때 300~400m의 하각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5) 감입곡류의 분포적 특성으로 미루어 볼 때 태백산맥 뿐만 아니라 소백산맥도 한반도의 비대칭곡운동의 축일 가능성이 큼을 시사하고 있다. 6) 가상 절봉면 상에서와 하천 차수별 감입곡류 분포 특성을 미루어 볼 때 현재 감입곡류하고 있는 유로는 과거 고위 및 중위 침식면을 흐르던 선행곡류 하천에서부터 유래한 것으로 보는 것이 해석에 유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