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절단단 보존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fresh-frozen Achilles tendon allograft with preservation of ligament remnant (남아 있는 인대를 보존하고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 Kim, Yeung Jin;Chae, Soo Uk;Kim, Jong Yun;Kim, Byung Soo
    • Journal of Korean Orthopaedic Sports Medicine
    • /
    • v.10 no.2
    • /
    • pp.54-60
    • /
    • 2011
  • Puropse: To evaluate the outcome of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reconstruction using fresh-frozen achilles allograft tendon with preservation of ligament remnant or elongated ligament.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ober 2004 to March 2010, we performed PCL reconstruction with Achilles tendon allografts in 22 complete rupture patients. Mean age was 31.5 years. 14 cases were male and 8 cases were femal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3 years and 7 months, range from 1 year to 6 years and 4 months. Subjective and objective parameters were utilized in analyses, such as the mean range of motion, post. drawer test,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KDC score, and second look arthroscopic examination. Results: Postoperative Lysholm knee score, IKDC scores, Tegner activity scale, and posterior displacement by the Telos stress test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state. Conclusion: Arthroscopic PCL reconstruction using fresh-frozen achilles allograft tendon with preservation of ligament remnant showed good clinical results and posterior stability.

  • PDF

A Comparison of Three Stainless Steel Instruments in the Preparation of Curved Root Canals in vitro (세 종류의 Stainless Steel File을 이용한 만곡근관 형성 후 근관형태 변화에 관한 비교 연구)

  • Young-Tae Kim;Seung-Ho Baek;Kwang-Sik Bae;Sung-Sam Lim;Soo-Han Yo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6 no.1
    • /
    • pp.9-15
    • /
    • 2001
  • 통상적인 근관형성 과정에서 근관형태의 직선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만곡이 심한 근관에서 이상적인 근관형태를 얻기가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많은 기구들과 근관 성형법들이 개선되고 소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개발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stainless steel file인 RT file과 Flex-R file, K-file을 이용하여 만곡근관 형성 후 최종 근관형태를 비교하여 각 file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실험은 Bramante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술 전의 근관형태와 술 후의 근관형태를 비교하였다. Schneider의 방법을 변형하여 3차원적 만곡을 계산하여 12도에서 36도 이내에 만곡도를 가진 근관을 선택하였다. 49개의 발거된 상악대구치 협측근관이나 하악대구치 근심근관을 3개의 군으로 나누고 레진과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mold에 투명한 교정용 레진으로 매몰하였다. 근첨에서 2.5, 5, 8mm지점에서 절단하여 각 mold에서 재조립한 후 다음과 같이 근관형성을 시행하였다. 제 1군은 SS K-file을 이용하여 step-back 방법 ; 제 2군은 Flex-R file을 이용하여 balanced force 방법 ; 제 3군은 RT file을 이용하여 step-back 방법으로 근관 형성하였다. 술 전과 술 후에 각 시편들을 체현미경으로 사진촬영하여 근관 중심 위치 이동률, 근관형성으로 삭제된 상아질양, 근관형성 후 모양을 Sigma scan/ image software program으로 계산하고 One way ANOVA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RT file이 치근단에서 K-file보다 유의성 있게 근관의 중심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였다. 치아 중앙부에서는 RT file과 Flex-R file이 K-file에 대해 유의성 있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근관형성 후 삭제된 상아질양에서는 치근단에서 RT file이 적게 나왔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3. 근관형성 후 절단면 모양은 원형, 타원형, 불규칙한 형태들이 다양하게 나타났고 각 군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 PDF

Leakage of SuperEBA in root-end cavities prepared with 3 new ultrasonic tips : KaVo Isthmus, KaVo T-shape and KiS tip (KAVO ISTHMUS, KAVO T-SHAPE과 KIS TIP의 3종 초음파기구로 형성한 역충전와동의 SUPEREBA 변연누출에 관한 연구)

  • Lee, Woo-Cheol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7 no.3
    • /
    • pp.270-276
    • /
    • 2002
  • 치근단 수술시 구동형 수술현미경과 미세수술기구들이 사용됨에 따라 치근단 절제술 후 역충전와동의 효과적인 형성 및 충전을 위해 새로운 초음파기구가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상품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초음파기구중 신속하게 역충전와동을 형성할 뿐아니라 충분한 깊이를 제공하여 역충전재료의 변연누출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3종의 초음파기구를 사용하여 역 충전와동을 형성 한 후 SuperEBA로 충전하여 그 변연누출을 비교하였다. 모두 56개의 근첨형성이 완료된 단근치를 선택하여 Profile .06를 사용하여 근관형성한 후 음성대조군 2개를 제외한 54개의 치아를 수직가압법으로 충전하였다. 근단부 3mm를 절제한 뒤 KaVo Isthmus, KaVo T-shape 그리고 KiS tip을 각각 18개의 치아에 사용하여 역충전와동을 형성하고 그중 각각 2개의 양성대조군 치아를 제외한 나머지 치아에 SuperEBA로 충전하였다. 각치아는 1% methylene blue dye에 침윤시켜 1주일 후 종절단하여 그 색소침투정도를 측정,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측정된 평균 변연누출은 KaVo Isthmus가 $1.5\pm$1.4mm, KaVo T-shape이 1.7$\pm$1.2mm이고 KiS tip은 1.1$\pm$0.7mm 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초음파기구를 사용한 역충전와동의 임상시술 성공여부는 술자의 편의도와 임상적 사용시 조작능력에 달려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Detection of Matrix Metanoproteinase -1, -2, -3 in pulpal and periapical pathosis (치수 및 치근단 병소에서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1, -2, -3의 분포에 관한 연구)

  • Su-Jung Shin;Seung-Ho Baek;Sung-Sam Lim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6 no.3
    • /
    • pp.191-199
    • /
    • 2001
  • 목적 -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는 조직의 염증 및 치유과정에서 숙주세포에서 생성, 분비되어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분해에 작용한다. 다양한 염증반응에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치수 및 치근단 질환에서의 그 역할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염증이 있는 사람의 치수 및 치근단 조직을 채취하여 Enzymeimmunoassay 및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통해 제1형, 2형, 3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수준 및 그 분포를 측정하여 치수 및 치근단 병소에서 이 효소의 작용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 연구재료는 근관치료를 위해 서울대학교 병원 치과 진료부 보존과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34개의 치아에서 통상의 근관치료 중 발수한 치수조직과 치근단 수술중 얻은 치근단 병소(n=10)를 이용하였다. 치수는 발수 전에 임상진단을 통해 급성 치수염(n=12), 만성 치수염(n=12), 정상 치수(n=10)로 구분하고 정상치수로 진단된 것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채취된 표본은 둘로 나누어 절반은 30분 이내에 5$\mu\textrm{m}$ 두께로 동결절단을 시행하여 조직표본을 제작하였고 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가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및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시행하였다. 나머지 조직은 ELISA를 위해 액체 질소에 보관하였다. ELISA를 시행하기전 표본의 단백질 정량을 시행하여 모든 표본의 단백질 양을 50mg/$\mu\textrm{l}$로 일치시키고 Amersham사의 ELISA kit를 사용하여 제1형, 2형, 3형의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여 각 군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1. ELISA의 결과 제1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농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성있게 높게 나타났다.(p<.05). 또한 급성치수염군의 제1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농도가 다른 실험군보다 유의성있게 높았다(p<.05). 2. 제2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경우 급성치수염군과 대조군에서만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p<.05). 3. 제3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경우 급성치수염군에서 대조군이나 만성치수염군보다 유의성 있는 높은 수치를 보였다(p<.05). 4. 면역조직화학검색 결과 염증성 치수에 존재하는 급성 및 만성염증세포 주위로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에 대한 면역 반응이 존재하였으며 주로 제1형과 제3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경우 대식세포 및 림파구 주위로 강한 발색제의 침윤양상이 관찰되었다. 5. 치근단병소의 면역조직화학적 검색 결과 만성염증 세포 주변으로 미약한 발색제의 침윤양상이 관찰되었다.

  • PDF

AN IN-VITRO EVALUATION OF SEALER PLACEMENT METHODS IN SIMULATED ROOT CANAL EXTENSIONS (근관 내 불규칙 확장부에서 sealer 적용방법에 따른 충전 효과 평가)

  • Kim, Sung-Young;Lee, Mi-Jeong;Moon, Jang-Won;Lee, Se-Joon;Yu, Mi-Kyun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0 no.1
    • /
    • pp.31-37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ealer placement in simulated root canal extensions. Forty resin blocks were attained from the Endo-training Bloc. In each block. The simulated root canal was made with $\#20$, 80taper GT file. After each block was longitudinally split into two halves, a standardized groove was prepared on one canal wall of two halves to simulate the canal extensions with various irregularities. The two halves of each block were assembled and all simulated root canals were obturated by single cone method with AH26 sealer. Four different methods of sealer placement were used: group A, $\#20$ K-file; group B, ultrasonic file; group C, lentulo spiral; group D, EZ-Fill bi-directional spiral. All obturated blocks were stored in $100\%$ humidity at $37^{\circ}C$ for 1 week, Using a low speed saw, each block was sectioned horizontally. Images of the sections were taken using a stereomicroscope at $\times$ 30 magnification and a digital camera. The amount of the sealer in the groove was evaluated using a scoring system, a higher score indicated better sealing effectiveness. The data was statistically analysed by Fisher's Exact Test. The sealing score was the lowest, specially at the middle area of canal extensions in group A, and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other groups. In conclusion, the ultrasonic file, lentulo spiral and EZ-Fill bi-directional spiral were effective methods of sealer placement in simulated canal extensions. The K file was the least effective method, specially at the middle area of canal extensions.

CLEANLINESS AND WALL MOPHOLOGY OF ULTRASONIC ROOT-END RETROGRADE CAVITY (초음파로 형성된 치근단 역충전와동의 정화도 및 와벽형태)

  • Kim, Sung-Kyo;Lee, Jae-Whan;Baek, Seung-Mo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2 no.2
    • /
    • pp.536-545
    • /
    • 199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degree of cavity cleanliness and to observe cavity wall morphology when root-end retrograde cavity preparation was done with ultrasonics. Root resections were done on 20 extracted human maxillary central incisors after canal filling with gutta-percha, and retrocavities were prepared using a slow-speed round bur as a control, and stainless steel ultrasonic tips of power settings of 2 and 6 ($Miniendo^{TM}$, EIE, SA, USA) as experimentals. The degree of the remaining cavity debris and smear layer, and wall morphology were evaluated und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Cavity prepared with ultrasonics of either power setting showed significantly less smear layer than did slow-speed preparations (p<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nal debris (p<0.05). Cavity prepared with ultrasonics showed hatcheted appearance of wall, while slow-speed preparation showed relatively plain one.

  • PDF

COMPARATIVE BOND STRENGTH OF SINGLE STEP ADHESIVES TO DIFFERENT DENTINAL DEPTHS (상아질의 깊이에 따른 단일 단계 접착제의 결합강도 비교)

  • Cho, Young-Gon;Jin, Cheol-Hee;Min, Jung-Bum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0 no.4
    • /
    • pp.319-326
    • /
    • 2005
  • This study compared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mu}TBS)$ of single step adhesives to different dentin depths. Superficial or deep dentin was exposed in 30 molar teeth by sectioning immediately under the DEJ or 1.5mm area from central pit, respectively. After polishing with 600-grit SiC paper, the dentin surfaces were assigned to three groups: AQ group-AQ Bond, L-Pop group-Adper Prompt L-Pop, Xeno group-Xeno III. The bonded specimens were sectioned into sticks and subjected to ${\mu}TBS$ testing with a crosshead speed of 1mm/minut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u}TBS$ to superficial dentin was higher than that to deep dentin in all group. The ${\mu}TBS$ of Xeno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Pop group and AQ group in both superficial and deep dentin (p<0.05).

The Effectiveness of Obturating Techniques in Sealing Isthmuses (근관충전방법에 따른 근단부 isthmus의 폐쇄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 Ho-Keel Hwang;Young-Guen Shi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6 no.6
    • /
    • pp.499-506
    • /
    • 2001
  • 불완전하게 충전되거나 충전이 되지않은 isthmus는 다근치에 있어서 근관치료의 높은 실패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isthmus를 갖는 근관을 골라 근관계의 기구조작을 시행하고 여러 가지 근관충전 방법을 이용하여 근관을 충전한 다음 근단부 형성시 적절한 파일의 크기와 치근단부의 밀폐효과를 각 부위별로 비교평가 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Isthmus를 갖는 66개의 발거한 치아를 대상으로 기구조작을 통하여 근관확대를 완성하고 무작위로 각각 20개씩 3군으로 분류한 다음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근관을 충전하였다. : A군 측방가압충전법으로 충전한 군, B군 Continuous wave 충전법으로 충전한 군, C군 MicroSeal$^{TM}$을 이용하여 충전한 군. 나머지 6개의 치아는 3개씩 양성대조군과 음성대조군으로 정하였으며 기구조작 후 근관은 충전하지 않은 채로 두었다.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군은 각각 제조회사의 지시에 따라 근관충전한 후 각 시편의 치근단부 2mm를 제외하고 나머지 부위는 두겹의 nail polish를 발라주었으며 2% methylene blue용액에 침잠시켰다 일주일 후 꺼내어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한 다음 치근단 부위에서부터 1mm씩 잘라가면서 20배의 배율에서 염색액의 침투정도를 평가하였다. 염색액의 침투정도는 다음과 같이 평가되었다. A군과 B군에서는 많은 수의 시편에서 4mm 이상의 절단면에 염색액의 침투를 보인 반면 C군에서는 단지 3mm절단면에서 총 20개 중 3개의 시편에서 염색액의 침투를 보였을 뿐 그 이상의 절단면에서는 염색액의 침투를 보이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isthmus를 갖는 제2형 근관계의 근단부 형성은 40번 크기보다는 큰 MAF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비추어볼 때 isthmus를 갖는 다근치에서 근관충전시 적어도 40번 이상의 MAF로 근단부 형성을 한 후, 열가소성 Continuous wave 충전법과 MicroSeal$^{TM}$을 이용한 근관충전법이 기존의 측방가압충전법 보다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valuation of canal preparation for apical sealing with various Ni-Ti rotary instruments (수 종의 Ni-Ti 회전 기구들을 이용한 치근단 폐쇄 향상을 위한 근관 확대 평가)

  • Shin, Yoo-Seok;Shin, Su-Jung;Song, Min-Ju;Kim, Eui-Seon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6 no.4
    • /
    • pp.300-305
    • /
    • 2011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rious NiTi rotary instruments regarding their ability to provide a circular apical preparation. Materials and Methods: 50 single canal roots were selected, cut at the cementodentinal junction and the coronal 1/3 of the canals was flared using Gates Glidden burs. Sampl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experimental groups of 10 each. In group I, GT files, Profile 04 and Quantec #9 and #10 files were used. In Group II Lightspeed was used instead of Quantec. In Group III, Orifice shaper, Profile .06 series and Lightspeed were used. In Group IV, Quantec #9 and #10 files were used instead of Lightspeed. In Group V, the GT file and the Profile .04 series were used to prepare the entire canal length. All tooth samples were cut at 1 mm, 3 mm and 5 mm from the apex and were examined under the microscope. Results: Groups II and III (Lightspeed) showed a more circular preparation in the apical 1mm samples than the groups that used Quantec (Group I & IV) or GT files and Profile .04 series.(Group V)(p <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mong the apical 3, 5 mm samples. In 5 mm samples, most of the samples showed complete circularity and none of them showed irregular shape. Conclusions: Lightspeed showed circular preparation at apical 1 mm more frequently than other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However only 35% of samples showed circularity even in the Lightspeed Group which were enlarged 3 ISO size from the initial apical binding file (IAF) size. So it must be considered that enlarging 3 ISO size isn't enough to make round preparation.

Shorten heading date of M. sacchariflorus and M. sinensis and single crossing method to breed Miscanthus × giganteus cultivar for bioenergy production (바이오에너지용 이질3배체 억새(Miscanthus × giganteus) 품종육성을 위한 물억새(M. sacchariflorus)와 참억새(M. sinensis) 출수기 단축과 단교배 방법)

  • Moon, Youn-Ho;Kim, Kwang-Soo;Cha, Young-Lok;Lee, Ji-Eun;Kwon, Da-Eun;Kang, Yong-Ku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51-51
    • /
    • 2018
  • 본 연구는 바이오에너지용 이질3배체 억새(Miscanthus ${\times}$ giganteus) 품종육성 위한 교배재료인 물억새(M. sacchariflrous)와 참억새(M. sinensis) 출수기 단축과 단교배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물억새와 참억새를 12시간 일장, 자연일장 조건에서 재배하여 출수기 단축에 미치는 단일효과를 조사하였다. 출수기에 일중 화분 발아시간, 절단한 화분친 이삭 활력 유지 및 격리방법 등 단교배 방법을 구명하여 이를 활용한 억새의 자가 수정 여부를 조사하고 시험교배를 실시하였다. 참억새와 물억새 모두 12시간 일장의 단일 조건에서 재배한 것이 자연일장에 재배한 것에 비해 출수 소요일수가 18~27일 정도 단축되었다. 화분 발아는 물억새에서 오전 6시에 왕성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발아율이 낮아져 오전 8시에는 10% 이하만 발아하였다. 참억새 화분은 오전 6시에는 발아하지 않았으나 오전 7시에 50% 이상이 발아하였고 8시에는 물억새와 같이 10% 이하였다. 화분친 참억새 이삭을 절단, 절화 보존액에 꽂아 백색 부직포로 격리하였을 때 절화 보존액량이 많을수록 활력 유지 일수가 증가하여 150 mL에서 물억새, 참억새 모두 7일간 개화 및 화분 비산을 지속하였다. 이 때 화분 발아율은 참억새와 물억새 모두 4일까지 40%를 유지하였다. 참억새와 물억새는 자가수정율이 ~ 2.5%로 낮고, 자연교잡 임실율은 출수기가 빠른 유전자원에서 54.4%까지 높았다. 상기 단교잡 방법을 적용한 물억새 4배체와 참억새 2배체간 14조합 시험교배로 437립의 종자를 얻었다. 본 연구의 억새 종간 단교배 방법은 우수한 종자친과 화분친으로 교배종자를 얻을 수 있어 향후 바이오매스 수량이 많으면서, 종자가 맺히지 않은 이질 3배체 품종육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