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절단기

Search Result 46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Cutting Property Analysis of Paprika for Development of Paprika Auto-Harvester (파프리카 자동수확기 개발을 위한 파프리카의 절단 특성 측정)

  • Lee, Bong Ki;Hwa, Ji Ho;Lee, Dae W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55-55
    • /
    • 2017
  • 본 연구는 파프리카를 자동 수확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의 일환으로 수확작업기의 절단장치를 설계하고자 파프리카 과병의 절단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파프리카 과병의 절단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한 파프리카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재배된 파프리카를 사용하였다. 적색 품종인 Nagano RZ와 황색 품종인 Helsinki, 주황색 품종인 Boogie를 사용하였다. 파프리카 과병의 절단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세 가지 품종의 파프리카 30개씩 총 90개의 파프리카를 사용하여 과병의 중앙 지점을 절단하였다. 절단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push-pull gauge인 digitect dtg-20을 사용하였으며, 파프리카의 과병의 절단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반 농가에서 사용하는 접도 OLFA CK2의 접도의 칼날을 digitect dtg-20에 장착하여 측정하였다. 파프리카 과병의 절단 특성의 시험 항목은 절단강도를 측정하였다. 파프리카의 과병의 절단 특성 측정은 수확작업기의 파프리카 과병의 절단을 위한 절단장치의 설계를 위하여 진행하였다. 파프리카 과병의 절단 특성은 파프리카의 훼손을 최소화한 수확작업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파프리카의 과병의 중앙을 절단하여 절단강도와 절단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파프리카 과병의 절단강도는 $4.18{\pm}1.18kgf$로 나타났으며, 최대값은 6.91kgf, 최소값은 2.26kgf로 나타났다. 파프리카 과병은 측정된 절단강도의 최대값인 6.91kgf보다 큰 힘을 이용하여 절단하여야 하므로 그에 맞게 수확작업기의 절단장치의 모터를 선정하고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한다.

  • PDF

A Study on the Field Cutting Performance Analysis of Eco-friendly Road Cutter (친환경 도로절단기의 현장 절단성능 분석에 관한 연구)

  • Kim, Kyonghoon;Jun, Younghun;Kim, Kyoontai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1 no.4
    • /
    • pp.12-20
    • /
    • 2020
  • The demand for maintenance of underground facilities buried beneath the road continues to increase significantly,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excessive noise and dust and complaints from urban residents, the demand for eco-friendly and low-noise road cutters is increasing. Therefore, we analyzed the cutting performance of low noise cutter and eco-friendly cutter and reviewed the improvement. Based on the field construction cases, problems and improvements were obtained according to the cutting machine working procedure. The productivity for cutting operations of eco-friendly cutters (36.0 seconds/m) was somewhat improved compared to the low noise cutters (37.6 seconds/m). However defects occurred in some sections and improvement was required.

Work Productivity Analysis of Sludge Suction Type Pavement Cutter Equipped with Scattered Dust Reduction Function (비산먼지 저감기능을 구비한 슬러지 흡입식 도로절단기의 작업생산성 분석)

  • Jeon Eunbi;Kim, Kyoontai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4 no.4
    • /
    • pp.3-1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erformance and work productivity of wet type pavement cutters and sludge suction type pavement cutt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utomatic pavement cutters) developed to reduce scattering dust. We first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status of wet type manual pavement cutters that are mainly used in Korea and automatic pavement cutters, and analyzed the pavement cutting work in detail. And the standard cutting performance was derived by measuring the cutting time by depth by applying the two equipment to the test bed under the same condition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data measured in the test bed does not reflect the various variables of the actual pavement cutting site. Therefore,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field survey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utting distance and time was analyzed, and then a model for calculating the productivity of pavement cutters was presented through sim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alues derived from the regression equation with the standard cutting performance derived from the test bed, the cutting performance derived through the regression equation showed a similar trend to the standard cutting performance. Finally, we verified the usability of the automated pavement cutter developed by qualitatively analyzing three tasks that are difficult to measure quantitatively but affect productivity.

Cutting Load Analysis according to Blades Installation Angle of the Stem Cutter using EDEM (EDEM을 이용한 줄기절단기의 칼날 설치각에 따른 절단부하 분석)

  • Park, Donghyeok;Lee, Chungu;Baek, Seunghwan;Rhee, Jo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65-65
    • /
    • 2017
  • 밭작물 중 양파와 마늘은 높은 노동투하시간, 노임의 상승, 복잡한 수거 과정 등으로 최근 재배면적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밭농업 활성화 방안으로 생산비 절감과 작업 속도 향상을 위한 수확기계 개발 연구로 줄기절단기가 개발되었다. 이 연구는 줄기절단기 예취날의 설치각이 절단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분립체 해석 기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시뮬레이션은 EDEM으로 인장탄성계수, 전단탄성 계수, 중첩길이, 입자 반경 및 질량, 상대속도를 이용하여 충돌시 힘을 해석하고 인장 및 전단강도, 한계, 결합 길이를 통해 입자간 결합을 설정할 수 있다. 시제품으로 설계된 줄기절단기의 치수를 활용하여 프로그램 상에서 줄기 절단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절단부하 결과를 얻도록 하였고 칼날 설치각을 30도, 45도, 60도로 변경하여 각각의 부하를 분석하여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험에서 사용한 프로그램은 EDEM 2.7.1 Academic Research 버전이며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PC의 사양은 Intel(R) $Core^{TM}$ i7-4790 CPU @ 3.60GHz, Memory 16.0GB이다. 줄기 절단 시뮬레이션에 적용시킨 줄기 모델은 마늘의 조건을 적용시켜 직경 1mm의 입자로 이루어진 지름 12mm, 높이 214mm의 원통형 모델이며 60.32N의 최대절단력을 가지고 있다. 줄기절단기는 2개의 회전날을 가지고 있으나 좌우대칭을 적용하여 절반에 대한 해석으로 하나의 회전날로 절단을 하도록 줄기 모델은 4조로 하여 3열을 140mm 간격으로 위치시켰다. 줄기절단기의 칼날은 반경 350mm로 회전하며 진행속도는 1.65m/s, 회전속도는 1680rpm으로 작업하도록 하였다. 시뮬레이션은 0.5초의 시간에 대해 해석하도록 하였으며 0.003초 간격으로 칼날에 가해지는 힘을 구하여 저장하도록 하였다. 시뮬레이션 해석시간은 약 116시간이었으며 설치각별 시간에 따른 칼날에 가해지는 압축력 값과 그래프를 얻을 수 있었다. 대부분의 시간에서 절단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0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절단이 이루어지는 시점에 절단부하가 나타났다. 결과 해석을 위해 그래프의 피크 값들을 이용하였으며 그 중 상위 6개의 값으로 분석하였다. 30도, 45도, 60도의 설치각에 따른 절단부하의 평균 값은 각각 105.4N, 160.5N, 215.9N으로 나타났다. 설치각에 따른 절단부하의 경향성은 유의수준은 3.93%로 각각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상관계수는 0.489로 증가하는 경향이 보였다. 그러나 $R^2$는 0.2394로 낮은 값을 보여 데이터 처리 방법의 개선과 적절한 회귀 모델의 적용이 필요하다. 향후 포장시험을 진행하고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경향성을 자세히 분석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Five Axis Laser Cutting System for the Tangent Cutting Solid freeform fabrication System (임의형상가공시스템을 위한 레이저 5축 경사절단기의 개발)

  • 주영철;엄태준;이창훈;공용해;천인국;김승우;방재철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2.11a
    • /
    • pp.260-262
    • /
    • 2002
  • 제품의 소재를 미리 테입 형태로 만들어 단면의 경계면을 따라 레이저로 절단하여 적층하는 방식은 제품의 표면에 계단 모양의 무늬가 생기므로 정밀한 제품을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단면의 경계선을 절단할 때 수직으로 절단하는 것이 아니라 경사면을 따라 절단하여 전체적인 제품의 옆면이 부드럽게 연결되는 경사절단형 임의형상가공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레이저 5축 경사절단기를 개발하였는데, x축과 y축은 상용화되어 있는 x-y table을 이용하였고 z축은 한 개의 z축 이송대를 이용하였다. 롤과 피치를 위하여는 서보모터 두 개를 이용하여 작업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레이저 5축 경사절단기를 개발함으로써 시편의 어느 위치에서든 어느 각도로도 절단이 가능하게 할 수 있었다.

Experimental Study on Cutting State of Glass by Ultrasonic Scriber (초음파 절단기에 의한 유리 절단면의 상태에 관한 실험적 검토)

  • Lee Chai-Bo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6 no.4
    • /
    • pp.212-216
    • /
    • 2005
  • In an ultrasonic glass scriber, the effect of ultrasonic vibration and its optimum driving frequency we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o investigate the optimum ultrasonic frequency theoretically, the vibration model of the ultrasonic scriber is assumed. The frequency for maximum amplitude of acceleration is obtained theoretically. To investigate the depth of cutting edge corresponding the each frequency. The quartz glass plate specimen with a dimension of $200mm(L){\times}30mm(W){\times}3mm(T)$ is selected. The ultrasonic transducer is operated by the constant acceleration amplitude for the every frequency. The maximum crack depth was generated when the driving frequency was 18.35kHz. These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ose of the calculated model theoretically.

  • PDF

경취 재료의 연삭 절단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s.103
    • /
    • pp.71-78
    • /
    • 2006
  • 연삭절단은 외주 날 블레이드에 의한 방법과 내주 날 블레이드에 의한 방법 두 가지로 크게 나뉜다. 이중 외주 날 절단은 전자산업이 발달한 오늘날 가장 일반적인 정말 연삭 절단법이고 여기에 이용되는 절단기는 절단 이외에 총형홈 가공도 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성이 높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절단 이외에 홈가공도 가능한 외주 날 절단에 대해서만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PDF

Eco-friendliness Evaluation of a Low-Noise and Dust-Recovery Type Pavement Cutter (저소음·분진회수형 도로절단기의 친환경성 평가)

  • Kim, Kyoon Tai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8 no.4
    • /
    • pp.194-203
    • /
    • 2021
  • With the recent increase in maintenance works on water and sewer pipes as well as district heating supply pipes, pavement cutting work using pavement cutter is on the rise. The pavement cutting operation generates considerable dust (cutting sludge) as well as noi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eco-friendly technologies that have low noise and dust recovery capability. Thus far, various equipment for recovering dust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is not quantifi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low-noise, dust-recovery type pavement cutter that can fundamentally remove the causes of environmental hazards such as noise and dust and evaluated the eco-friendliness of the pavement cutting process performed by this cutter. To this end, an integrated water cooling-sludge recovery system composed of a vacuum device and a sludge suction unit was developed, and the developed system was applied to a pavement cutter. Subsequently, the developed equipment was applied to the test bed, and data related to its eco-friendliness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utting sludge recovery rate of the developed equipment was greater than 83%, the noise level was approximately 82 - 83 dB, and the sound power level was 115 dB.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improved pavement cutters in the future with improved cutting sludge recovery performance and lower noise.

Development of Five Axis Laser Cutting System for the Tangent Cutting Solid Freeform Fabrication System (임의형상가공시스템을 위한 레이저 5축 경사절단기 및 궤적생성 알고리즘의 개발)

  • 주영철;엄태준;이차훈;공용해;천인국;김승우;방재철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4 no.1
    • /
    • pp.1-6
    • /
    • 2003
  • A novel Solid Freeform Fabrication System, which makes prototype by cutting tapes at the boundary of object and accumulating the tapes,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the staircase shape at the surface of prototype,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tangent to the surface. Five axis cutting system and the tangent cutting trajectory generation algorithm have been developed.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Risk at Welding·Cutting Process (용접·절단 작업시 화재위험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Sung-Ryo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6 no.3
    • /
    • pp.60-66
    • /
    • 2012
  • In this study, it was evaluated the fire risk during welding cutting tasks. Welding-cutting machines are representatively used at construction sites. Inverter AC/DC TIG welding macnine and inverter air plasma cutting machine were used in experiments. Temperature of spreaded cinders was measured using a thermal camera. Cinder sizes and spread range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height and input current. It was also evaluated the fire risk during welding-cutting process, when flammable materials were located around the working area. There were used hay, dust fence, urethane foam, vinyl, paper and oil as flammable materials. Temperature of spreaded cinders was reached at about $450^{\circ}C$. Cinders were spread approximately 4.7 m, when a worker carried out cutting process at 2.5 m height. The possibility of a fire is very high, when flammable materials were located around the working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