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절간 차이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2초

수도 절간의 유관속 및 통기공과 이삭 특성과의 관계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nodal Vascular Bundles and Air Spaces, and its Relationships to Panicle Characteristics of Rice Varieties)

  • 채제천;김봉구;이동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56-361
    • /
    • 1984
  • 우리나라 수도 품종들의 절간 유관속수 및 통기강수를 절위별로 알아보고 이들과 이삭형질과의 상관관계를 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우리나라 수도 품종들의 절위별 총 유관속수는 상위제 1절간에서 약 23개∼47개로서 품종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제 2절간 이하에서는 유신품종을 제외하고 품종들간에 큰 차이없이 51개∼59개의 범 위이었다. 2. 통기강은 상위제 1, 2절간에서는 전혀 발생이 없었고 제 5절간에서는 모든 품종이 양호하게 발달하여 21∼31개가 발생하였으며 품종간에 뚜린한 차이를 나타내는 절위는 제 4절간이었다. 3. 절간의 유관속수, 굵기 및 수장, 1,2차지경수, 영화수간에는 매우 밀접한 정의 유의상관이 인정되었다.

  • PDF

대맥의 최상부절간 및 주요형질의 유전력과 상관에 관한 연구 (Heritabilities and Relationships of Peduncle Size and Agronomic Characters of Barley)

  • 김흥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5-178
    • /
    • 1984
  • 보리 8개 품종에 대하여 최상부절간, 지엽, 지엽초 및 수장, 주당수수, 수당입수 등을 조사하여 품종간 차이를 검토하였고, 또 유전력을 추정했으며 이들 형질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최상부절간의 길이는 31.23cm로부터 46.79cm로 품종간 차이가 현저했으며 굵기도 최소 3.81mm로부터 최대 5.19mm까지 그 차이가 컸다. 2. 지엽초장, 지엽장 및 폭도 최상부절간과 같은 경향을 보여 품종간 차이가 뚜렷하였다. 조사한 수량형질들도 품종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3. 최상부절간의 길이에 대한 광의의 유전력은 0.9638로서 대단히 높았으며 굵기에 대한 유전력은 0.5652로서 낮았으며 지엽초장, 지엽장 및 폭에 대한 유전력도 각각 0.8143, 0.7927, 0.8980으로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4. 최상부절간의 길이는 굵기와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간장, 지엽초장, 지엽장과도 상당히 높은 상관을 보였다. 그것은 또 수당입수 및 주당수수와도 상관이 있었다. 최상부절간의 굵기는 간장, 지엽초장, 지엽장, 주당수수 및 수당입수와 상관이 있었다. 5. 지엽초장은 지엽장, 수장, 수당입수 등과 정의 상관이 있었다. 지엽장은 주당수수 및 수당입수와 상관이 있었고 지엽폭은 수량형질들과 상관이 없었으며 수장과 부의 상관을 보였다.

  • PDF

수수의 절간 신장에 미치는 지베렐린과 파이토크롬 B의 영향 (Effects of Gibberellin and Phytochrome B on Internode Elongation in Sorghum)

  • 이인중;김길웅;모간페이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48-555
    • /
    • 1997
  • 1. 낮은 농도의 지베렐린 처리에서는 돌연변이종의 절간장이 야생종보다 훨씬 많이 신장되어 지베렐린에 의한 절간 신장현상은 파이토크롬 B를 통하여 이루어짐을 보였다. 2. 고농도의 GA처리시 이들간의 초장 및 절간장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고농도의 지베렐린에 의한 절간신장효과는 파이토크롬 B에 의존하지 않았다. 3. GA$_3$ 처리 후 내생 지베렐린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파이토크롬 B 변이종과 야생종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절간 신장률은 변이종이 야생종보다 현저하여 파이토크롬 B가 지베렐린의 반응 정도를 조절함을 입증하였다. 4. GA 생합성 억제제에 의한 내생 지베렐린의 합성이 억제된 경우 파이토크롬 B 변이종과 야생종간의 절간신장은 차이를 보이지 않아 파이토크롬의 절간신장효과는 지베렐린을 통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질소시용이 수도품종의 절간조직구조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구조와 수상특성과의 관계 (The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Vascular Bundles and Air Space Development in the Internodes of Several Rice Varie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logical Structure and Panicle Characteristics)

  • 이동진;김기준;이종훈;김봉구;채제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7-115
    • /
    • 1985
  • 본 실험은 질소시용수준에 따른 수도절간의 조직구조에 미치는 영향과 품종간차이 및 조계구조와 수상특성과의 관련성을 구명코자 실시하였는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절간의 대유관속수 및 크기는 질소무비구에 비하여 질소증시구에서 증가하였고, 특히 그 수는상위제 1절간에서, 크기는 상위제3·4·5절간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통일계품종은 일반계품종보다 대유관속수가 많았고. 크기가 컸다. 2. 통기강수는 질소를 증시함에 따라 질소무비구에 비하여 많았다. 상위제3·4절간에서 통기강수 및 크기의 품종간차이를 보였고, 특히 상위제 3절간에서 풍산벼와 추청벼는 통기공이 발달되었으나 유신과 진흥은 발달되지 않았다. 3. 대유관속수와 크기 및 절간굵기와 수상특성(수장, 1·2차지경 및 영화수)과는 밀접한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 PDF

대맥의 주요생태 및 수량구성형질 연구 I. 파종기 이동에 따른 대맥주요품종의 생태 및 수량구성형질의 변이 (Effect of Major Morphological Traits, Yield and Yield Components of Barley I. Variations of Morphological Traits, Yield and Yield Components on Different Seeding Dates)

  • 류용환;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4-92
    • /
    • 1985
  • 보리품종 강보리, 올보리 및 수원 18호를 공시하여 파종기를 달리하였을때의 생육시기별 주요생태 및 수량구성형질의 변이에 관한 일련의 시험을 수행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일수는 연차 및 파종기에 따라 7 $\pm$ 1 ~ 22 $\pm$ 7 일의 변이를 보였으며, 일평균 지중5cm의 온도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2. 유수는 파종기에 관계없이 영화분화후기(X기)를 기점으로 급신장하여 출수기를 전후하여 완료하였는데 신장정도는 연차나 품종간 차이보다는 파종기의 조만이 더 크게 영향하였다. 3. 절간은 소수분화후기~영화분화전기에 걸쳐 신장을 개시하여 기부절간에서 상부절간에 이르는 단계적인 신장양상을 보였고 상부절간일수록 신장량도 많았다. 4. 초장의 중장에 따른 유수 및 절간의 신장경과는 초장이 20cm전후에서 유수장은 0.69~0.74mm이고 하부의 제4,5절간이 신장을 시작하였으며, 40cm에서 유수장은 10.2~18.6mm였으며 이때 전체절간의 신장양상을 보였다. 5. 수량구성요소인 수수는 파종기, 품종 및 연차의 순으로 영향하는 정도가 큰데 비하여 일수입수와 천립중은 연차, 품종 및 파종기의 순으로 이들 요소의 제한요인이 상이하였다. 6. 수량은 연차나 품종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파종기차이에서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 PDF

$GA_3$가 수도 Japonica 단간ㆍ장간품종의 절간신장에 미치는 반응의 차이 (The Differential Internode Elongation Responses of Dwarf and Tall Japonica Rice Cultivars to $GA_3$ Application)

  • 김용권;허문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6-241
    • /
    • 1988
  • 수도 Japonica 품종들에 있어서 GA$_3$에 적절히 반응하는 품종을 선발할 것을 목적으로 출수기 30일전에 GA$_3$ 50ppm을 처리하여 간장, 절간장, 신장절간수 및 수장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3.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부분의 품종에서 GA$_3$ 처리가 간장을 증가시켰으나 그 정도는 일률적이지 않았으며 간장이 단축된 품종도 있었다. 단간품종이 장간품종보다 상대적으로 절간신장 정도가 컸다. 2. GA$_3$를 처리하여 각 절간별로 신장정도를 보면 제 1, 5, 6, 7절간은 증가하였고 제 2, 3, 4 절간은 오히려 단축되었다. 특히 제3절간은 현저하게 단축되었고 제5절간은 현저하게 증가하여 간장의 증감은 제 3절간과 제 5절간에 의해 좌우되었다. 3. 뚜렷한 신장반응을 보이는 절간수는 많은 품종에 있어서 변화하지 않았으나 1절간 증가한 것이 41 품종, 2절간 증가한 것이 5품종 있었다. 그러나 3품종은 1절간이 감소하였다. 4. GA$_3$를 처리함으로써 수장은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단간과 장간 품종에서 모두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5. GA$_3$ 반응성외 정도를 6개군으로 구분하였는데 많은 품종들이 반응하지 않는 0군에 포함되고 간장이 25% 이상 증가한 것과 15% 이상 단축된 것도 있었다. 이것은 생육시기에 따라 GA 반응이 다르다는 이전의 보고를 감안하여 품종군 구별에는 GA$_3$ 처리시기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고찰하였다.

  • PDF

주야간 온도차(DIF)에 따른 토마토 플러그묘의 생장과 정직후 생육 (Influences of DIF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Plug Seedlings of Lycopersicon esculentum before and after Transplanting)

  • 임기병;손기철;정재동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4-42
    • /
    • 1997
  • 미니 토마토 ‘미니 캐롤’ 품종의 플러그 육묘시 주야간 온도조합 처리에 의한 유묘의 절간신장 및 정식후 화아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묘의 초장신장에는 주간온도가 야간온도보다 크게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같은 일평균기온에서 +DIF가 -DIF보다 절간신장에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엽전개속도는 일평균기온이 증가할수록 빨라지는 경향이었으며, 묘의 충실도(건물중/초장) 지수는 일평균기온이 증가할수록 저하되었다. 제 1화방의 착생절위는 일평균기온이 16$^{\circ}C$에서는 정상적으로 화아분화 되었으나 일평균기온이 증가하면서 제 1화방 착생절위도 증가하여 28$^{\circ}C$에서는 16$^{\circ}C$에 비해 약 4마디가 지연되었다. 정식후 절간신장은 육묘시 절간장과는 상관없이 각 처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마디수는 정식전의 마디수의 차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육묘시 -DIF 조건에서 초장이 억제된 묘라 할지라도 정식후 정상적인 생장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제 1화방의 착생절위는 일평균기온(16$^{\circ}C$)이 낮을수록 저절위(제9절)가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일(日). 인원연교잡(印遠緣交雜) 수도품종(水稻品種)의 급성위조병상(急性萎凋病狀) 발생(發生)에 관(關)한 영양생리학적(營養生理學的) 연구(硏究) -IV. 광합성능(光合成能) 및 탄수화물대사(炭水化物代謝)의 품종간(品種間) 차이(差異)와 위조병상발생(萎凋病狀發生)과의 관계(關係) (Physiological Studies on the Sudden Wilting of JAPONICA/INDICA Crossed Rice Varieties in Korea -IV. Varietal difference of the Photosynthesis Capacity and Carbohydrate Metabolism and Relationship with Wilting injuly)

  • 김유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3-127
    • /
    • 1990
  • 일(日) 인원연교잡품종(印遠緣交雜品種)의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 및 탄수화물대사(炭水化物代謝)의 차이(差異)와 급성위조병상발생(急性萎凋病狀發生)의 가능성(可能性)과의 관계(關係)에 대(對)하여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급성위조병상(急性萎凋病狀)이 발생(發生)하기 쉬운 유신(維新)과 밀양(密陽) 23호(號)는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의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이 위조병상(萎凋病狀)이 발생(發生)하지 않은 진흥(振興)에 비(比)하여 낮았고 지엽(止葉)의 엽급소함량(葉級素含量)도 낮았다. 2. 유신(維新) 및 밀양(密陽) 23호(號)는 호흡소모지수(呼吸消耗指數)((호흡량(呼吸量)/동화량(同化量)${\times}100$)가 진흥(振興)보다 낮았다. 3. 등숙기(登熟期)에 있어서의 유신(維新)은 진흥(振興)에 비(比)하여 절위별(節位別) 전당함량(全糖含量)이 제(第) 2, 3 절간(節間)에서 낮았고 제(第) 1 절간(節間)에서는 차이(差異)가 없었다. 4. 등숙기(登熟期)에 있어서의 유신(維新)의 간(稈)의 전분함량(澱粉含量)은 진흥(振興)에 비(比)하여 현저(顯著)히 떨어졌다. 특(特)히 진흥(振興)은 하위절간(下位節間)일 수록 높게 나타는데 대(對)하여 유신(維新)은 반대(反對)로 제(第) 3 절간(節間)에서의 전분축적량(澱粉蓄積量)은 상위절간(上位節間)의 약(約) 5 할정도(割程度)에 지나지 않았다.

  • PDF

단수수의 파종기에 따른 절간별 당도차이 (Differences of Internode Brix Degree on Different Seeding Date in Sweet Sorghum)

  • 김상곤;박홍재;정동희;권병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51-459
    • /
    • 1995
  • 단수수의 만숙과 조숙종인 각품종을 4월 5일, 15, 25일과 5월 5, 15일에 파종하여 품종간의 생육과 간 절위별의 Brix도를 경시적으로 조사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가 늦을수록 출현일수와 출수기간은 단축되었으나 5월 15일 파종에서는 출수기가 오히려 지연되었고 초장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직선적으로 길어졌으며 조기파종일수록 분벽수는 많은 편이었으나 유효경 비율은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2. 절간발육은 지상 제5절까지는 절간장이 급격히 길어지고 그 위로 갈수록 점차 짧아지며 절간직경과 중량은 기부위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고 가벼웠다. 3. 간중의 Brix도는 같은 조사일자에서는 파종기가 늦을수록 낮은 경향이었고 출수전까지는 완만한 증가를 보이다가 출수 직후에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후기파종의 경우에는 그 증가속도가 더욱 빠른 편이었다. 4. 간 부위별 Brix도는 출수전까지는 기부위에서 중부, 상부위로 갈수록 높은 편이었으나 출수후 이삭의 고습기까지는 중부위에서 가장 높고 상부위, 기부위 순으로 낮았으며 한 줄기의 절위간에 있어서는 지상으로부터 제6또는 제7절 위의 Brix도가 가장 높았다. 5. Brix도가 15%이상이 되는 시기는 4월 5일부터 5월 5일까지의 파종때는 출수후 40∼45일쯤이었으나 5월 15일 파종때에는 출수후 35일쯤에 이미 17%이상의 Brix도를 나타내어 남부지방의 단수수 파종적기는 5월 15일경이라고 생각되었다. 6. 4월 5일부터 4월 25일까지의 파종에서는 파종후 140일경 즉 출수후 50일경까지도 당원료 이용가치선인 Brix도 15%미만이었으나 5월 5일과 15일 파종에서는 파종후 140일경에 18%내외의 Brix도를 보였다. 7. 당분축적이 왕성할 파종후 130∼140일경에도 강우에 의한 토양수분의 과다는 간중 Brix도를 현저히 낮게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만숙종에 비하여 조숙종에서 더욱 예민하게 작용하는 것 같았다. 8. 절간장과 절간직경 및 Brix기간에는 부의 상관관계이며 기타 형질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그중 절간직경과 절간중간에는 고도의 정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 PDF

KIM-112 처리(處理)가 수도의(水稻) 절간신장(節間伸長), 도복(倒伏)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KIM-112 Application on Internode Elongation and Lodging Characteristics in Paddy Rice)

  • 임일빈;전병태;박석홍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21-229
    • /
    • 1989
  • KIM-112 처리(處理)가 수도(水稻)의 엽초, 엽신(葉身) 및 절간샌장(節間生長), 도복(倒伏) 그리고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KIM-112의 출수(出穗) 13일(日) 전처리(前處理)에서 제(第) 1 엽초가 3~13% 단축(短縮)되었다. 2. KIM-112의 출수(出穗) 13일(日) 전처리(前處理)는 제(第) 3 절간(節間), 제(第) 2 절간(節間) 순(順)으로 8일(日) 전처리(前處理)는 제(第) 2 절간(節間), 제(第) 3 절간(節間), 순(順)으로 그리고 3일(日) 전처리(前處理)는 제(第) 2 절간(節間), 제(第)1 절간(節間) 순(順)으로 많이 단축(短縮)되었으며 각(各) 처리시기(處理時期) 다같이 처리량(處理量)이 많을수록 단축율(短縮率)도 높았다. 3. 간장(稈長)은 출수(出穗) 13일(日) 전처리(前處理)는 13~28%, 8일전(日前) 처리(處理)는 18~24%, 3일전(日前) 처리(處理)는 7~17%정도(程度) 단축(短縮)되었다. 4. 근락구조상(群落構造上) 층위별(層位別) 엽(葉)의 분포(分布)는 무처리(無處理)가 중의층(中位層)에 되어 있는 반면 KIM-112의 처리구(處理區)는 상위층(上位層)에 많이 분포(分布)되었다. 5. KIM-112 처리(處理)에 의해서 모멘트가 작았고 도복지수(倒伏指數)는 무처리(無處理)보다 출수(出穗) 13일전(日前) 처리(處理)는 23~47%, 8일전(日前) 처리(處理)는 26~40% 그리고 3일전(日前) 처리(處理)는 8~24% 낮았다. 6. 포장도복(圃場倒伏)은 무처리(無處理)에서 완전(完全)히 도복(倒伏)되었으나 KIM-112의 13 일전(日前) 및 8 일전(日前) 처리(處理)는 거의 없었다. 7. KIM-112처리(處理)에 의해서 출수(出穗)와 입수(粒數)는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등숙비율(登熟比率)은 25~28%정도(程度) 높았고 수량(收量)은 약(約) 26~37%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