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 하중

검색결과 669건 처리시간 0.024초

시공단계를 고려한 플로팅 폰툰의 상부구조물 해석기법 (Analysis method of the Superstructure on Floating Pontoon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Sequences)

  • 이영욱;채지용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5-23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수상위에 진수된 콘크리트 플로팅 폰툰에 상부골조를 단계별로 시공함에 따라 발생하는 추가 처짐이 상부골조에 발생하므로 추가변형에 의한 상부골조의 추가 모멘트량을 산정하는 해석절차를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절차에 따라 3층 예제 철골 건물을 해석하고 분석하였다. 제시된 시공단계를 고려한 해석 방법과 비교하여, 폰툰의 변형을 고려하지 않는 해석 방법은 수직하중에 의한 변형을 무시하여 설계하중을 과소평가 하며, 플로팅 구조물을 전 층을 모델링하고 하중을 동시에 작용시키는 모델은 과대 처짐의 영향으로 설계하중을 과대평가함을 알게 되었다.

연약지반에 설치된 소일시멘트말뚝의 거동 (Behaviors of Soil-cement Piles in Soft Ground)

  • Kim, Young-Uk;Kim, Byoung-Il;Xiaohong Bai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45-51
    • /
    • 2003
  • 복합기초의 한 형식인 소일시멘트 말뚝의 거동 특성을 컴퓨터 해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연직하중을 받는 소일시멘트말뚝의 거동 특성을 ABAQUS라는 상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해석조건은 지반물성치, 말뚝의 길이, 치환율, 강성비, 하중 조건 등을 달리하여 실시하였다. 해석 결과는 하중의 전이 및 침하특성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말뚝길이와 말뚝 및 지반의 하중 분배에 관하여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또한 복합기초를 설계할 때 강성비, 치환율이 설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양방향 재하시험을 이용한 말뚝의 하중-변위곡선 추정방법 (Method of Estimating Pile Load-displacement Curve Using Bi-directional Load Test)

  • 권오성;최용규;권오균;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11-19
    • /
    • 2006
  • 1990년대 이후로 양방향 재하시험(Bi-directional pile load test)은 기존 재하시험 방법에 대한 장점으로 인해 최근 여러 나라에서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양방향재하시험은 두부재하시험과 상이한 재하기구를 따르므로 실제 구조물의 거동, 특히 말뚝 두부에서의 하중-변위 거동에 있어 실제와 다른 결과를 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형상과 지반조건을 갖는 두 본의 말뚝에 대해 한 본은 두부재하 방식으로, 한 본은 선단부 양방향 재하방식으로 정재하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이 때 말뚝 깊이별로 변형률계를 부착하여 말뚝의 하중-전이 기구를 분석하였다. 변형률계 분석으로 구한 말뚝의 깊이별 하중 전이 함수의 모양은 시험방법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양방향 재하시험을 이용하여 기존의 방법으로 추정한 말뚝두부 변위는 두부재하시험으로 구한 변위에 비해 사용하중하에서 1/2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양방향 재하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하중-변위곡선을 예측하기 위해 말뚝의 탄성압축량을 고려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양방향 재하시험시 변형률계 계측자료를 이용하여 두부재하시험 곡선과 거의 동일한 하중-변위 곡선을 예측할 수 있었다.

영광3,4호기 가압기 밀림관의 파단전 누설 설계(LBB) 타당성

  • 전재풍;정대율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753-760
    • /
    • 1995
  • 본 보고서는 영광 3,4호기 가압기 밀림관(Surge Line)에 대한 파단전누설(Leak Before Break) 개념의 적용방법, 해석절차 및 해석결과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영광 3,4호기 가압기 밀림관에 대한 파단전누설해석은 배관계에 대한 정적, 동적 배관해석 결과를 토대로 큰 응력 값이 작용하는 부분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가상균열의 크기는 정상운전상태에서의 하중을 이용하여 결정하였으며 격납용기에 설치된 누설감지장치의 감지능력을 1.0gpm으로 가정하였다. 영광 3,4호기 가압기 밀림관에 대한 파단전 누설해석은 NUREG 1061,Vol.3 및 SRP3.6.3에 근거하여 수행하였으며 해석결과는 동 자료에서 제시하고 있는 적용기준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수직이착륙기의 착륙접근시 단일엔진고장 및 비행전이 영역 해석 (Single Engine Failure during Approach and Transition Analyses of VTOL Aircraft)

  • 윤상준;안병호;최동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0-5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착륙 접근시 단일엔진 고장 분석 및 비행전이 해석을 통하여 수직이착륙기에서 요구하는 최적의 엔진추력과 날개하중비를 구하고자 한다. 항공기 해석 모듈들은 기존의 항공기 통합 사이징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항공기 설계 및 해석을 하나로 묶는 컴퓨팅 체계 구축은 사용자 용도에 맞게 주문 제작이 용이한 반 완성 프로그램인 EMDIOS를 설계프레임웍으로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고도 40 ft 근처가 단일엔진고장시 가장 위험한 영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행전이 영역에 대한 파라메타 연구를 통하여 엔진 추력은 클수록, 반면에 엔진틸트각 회전속도와 날개 하중비는 작을수록 비행전이시의 고도 상실이 작아짐을 알 수 있었다.

3층 철근콘크리트조 건물의 손상전후의 진동특성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a Three-Story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Before and After Damage)

  • 윤성원;박용;지정환;임재휘;장동우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59-66
    • /
    • 2009
  • 구조물이 건전한 상태에서 진동계측을 통한 고유진동수와 감쇠율과 같은 동적특성의 분석에 대하여 국내 외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실물 구조물에 대하여 파괴 직전까지의 큰 손상 후에 진동계측을 통한 동적특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3층 철근콘크리트조 건물에 엑츄에이터로 하중을 주어 건물에 손상을 준 후에 손상 전 후의 진동계측을 통하여 동적특성을 파악하였다. 손상 전 후에 대한 고유진동수 및 감쇠율을 산정하였으며, 이 결과를 국외의 기존 연구와 비교하였다. 상시진동계측 및 인력가진을 통한 계측방법을 실시하였으며, 계측 전에 고유치 해석을 선행하여 계측치와 비교분석을 하였다. 120mm의 수평변위를 준 결과 구조물의 파괴 직전 손상 전 후에 장변과 단변의 고유진동수는 각각 34.3%, 33.7% 감소하였고, 감쇠율은 각각 36.5%, 19.5% 감소하였다. 기존 국외의 연구결과와의 비교를 한 결과 고층형 건물보다 강성의 변화가 크게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저층형 구조물에 대한 안정성 검토가 시급함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영동지역 사찰의 구성요소별 화재하중을 통한 화재위험성 평가 (Fire Risk Assessment of Temple Components in Young-dong Areas using Fire Loads)

  • 이해평;김수영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71-7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영동지역의 사찰을 대상으로 불전(대웅전, 팔상전), 삼성각(칠성각, 산신각), 요사(심검당, 설선당), 루, 일주문 등 구성요소별로 구분하여 현장조사를 통해 가연물의 종류를 구분하고, 실의 면적, 가연물의 재질 및 크기 등을 조사하여 화재하중을 산출함으로써 사찰의 구성요소별 화재 위험성을 판단하였다. 사찰의 구성요소별 총 화재하중은 불전 446.96 $kg/m^2$, 삼성각 313.71 $kg/m^2$, 요사 164.14 $kg/m^2$, 루 463.91 $kg/m^2$, 일주문 1,042.14 $kg/m^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찰의 구성요소별 화재하중은 일주문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루, 불전, 삼성각, 요사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주문은 바닥 면적이 다른 구성요소들에 비하여 가장 작은 반면, 건축 구조재는 다른 요소들과 비슷한 크기와 수량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보다 화재하중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연직진동말뚝의 동적 하중전이 특성 (Characteristics of Dynamic Load Transfer for Vertically Vibrating Pile)

  • 이승현;김응석;윤기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872-387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진동해머에 의해 시공되는 강널말뚝에 대한 계측시험결과를 바탕으로 진동해머에 의해 시공되는 말뚝의 해석에 필요한 이론적인 동적 하중전이함수를 구하고자 하였다. 동적 하중전이함수를 결정하기에 앞서 정적 하중전이함수를 Ramberg-Osgood 모델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는데 Ramberg-Osgood 모델의 매개변수와 N값 사이의 평균 상관계수는 주면마찰의 경우 0.97이었고 선단저항의 경우 0.98로서 신뢰도가 높았다. 동적 하중전이함수는 수정 Ramberg-Osgood 모델을 이용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는데 결정된 매개변수를 적용하여 해석한 결과를 계측시험결과와 비교해 볼 때 유사한 하중전이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진동타입기의 사하중이 말뚝의 하중전이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Bias Weight of Vibratory Pile Driver on Load Transfer Characteristics of Piles)

  • 이승현;김병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268-5273
    • /
    • 2013
  • 진동타입기에 의해 시공되는 말뚝 해석을 위해 해석기법을 개발하고 진동타입기의 사하중 크기 변화에 따른 해석결과를 분석하였다. 주면마찰에 대한 하중전이곡선은 사하중이 감소함에 따라 연직하향으로 이동하는 결과를 보였다. 사하중이 감소함에 따라 주면마찰에 대한 하중전이곡선의 형상은 점점 뚜렷한 코일 형상을 띄었다. 선단저항의 크기는 사하중의 크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선단저항에 대한 하중전이곡선의 형상은 주면마찰에 대한 하중전이곡선에서와 마찬가지로 사하중이 감소함에 따라 점점 뚜렷한 코일 형상을 띔을 알 수 있었다. 사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연직변위도 크게 계산되었으며 시간에 따른 연직변위의 형상에 있어서는 사하중이 감소함에 따라 마루와 골이 점점 뚜렷해지는 파형을 보였다.

철도차량 대차를 피로균열 평가법 연구 (A Study on the Fatigue Crack Evaluation Method of Railway Bogie Frame)

  • 전현규;서정원;이동형;김형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6-24
    • /
    • 2009
  • 선형탄성파괴역학을 적용하여 균열이 발생한 변동하중하의 철도차량 대차틀에 대한 균열성장속도를 예측하였다. 이를 위하여 철도차량 대차틀의 균열발생사례를 분석하여 취약부위를 파악하였으며, 영업노선에서의 실동하중 측정과 구조해석을 통한 정하중 계산으로 대차틀 취약부에서 운행 중 받는 총 하중이력을 생성하였다. 총 하중이력에서 균열닫힘을 고려한 유효하중이력을 계산하였으며, 취약부 3곳에서 균열성장속도를 예측하고 일본에서 측정한 균열진전 사례와 비교하였다. 해석결과 초기길이 40mm의 균열이 급속한 균열성장을 일으키기까지는 약 50만km의 주행거리가 필요하며 이는 약 3.8년의 운행기간에 해당하므로 도시철도의 유지보수기간을 고려하면 임계균열로 도달하기 전에 충분히 감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