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화코칭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허혈성 뇌졸중 환자를 위한 조기 인지훈련과 맞춤형 전화코칭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iveness of Early Cognitive Training and Tailored Telephone Coaching Program for Ischemic Stroke)

  • 오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195-20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조기 인지훈련과 맞춤형 전화코칭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 총 28명은 실험군(n=15)과 대조군(n=13)에 배정되었다. 실험군에게만 4주간의 인지 훈련과 11회기 맞춤형 전화코칭이 제공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우울, 간이정신상태검사, 신경심리검사, 일상생활수행능력에 관한 도구를 이용하여 총 4회(사전, 4주째, 8주째, 12개월째) 측청하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법을 통한 자료 분석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간이 정신상태검사, 언어기억력 및 집행기능의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특히 일상생활수행과 관련성이 깊은 집행기능의 향상은 괄목할 만한 결과였다. 이는 뇌졸중 후 인지기능의 회복과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위해 조기 개입이 매우 중요하며 중·장기적 효과를 위해 주기적인 전화코칭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전화코칭을 병행한 운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독거 노인의 균형능력, 악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Exercise Program Combined with Telephone Coaching on Postural Balance, Grip Strength and Depression of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 이서현;이수연;김윤아;조문경;김재은;김조현;봉민지;오수경;조수아;조영우;조윤진;이하영;이수연;한은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97-406
    • /
    • 2022
  • 본 연구는 전화코칭을 병행한 운동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의 균형능력, 악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단일집단 사전사후 원시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S시에 위치한 노인복지관에 등록된 독거노인 20명이 참여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7월 03일부터 2021년 10월 14일까지 총 12회기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프로그램 전후에 대상자 가정에 직접 방문하여 4단계 균형검사, 근력검사, 악력 및 우울을 측정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탄력밴드와 악력볼을 이용하여 구성하였으며 매주 전화코칭 중재를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전화코칭을 병행한 운동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4단계 균형기능(3단계)(t=-2.37, p=.029), 4단계 균형기능(4단계)(t=-2.46, p=.024), 우측 악력(t=-2.18, p=.042), 우울(t=2.82,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화코칭을 병행한 운동프로그램은 독거노인의 균형능력, 악력 향상 및 우울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화코칭을 동반한 저강도 운동프로그램이 방문건강관리 여성노인의 체력과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ow Intensity Exercise Program with Telephone coaching on Physical Fitness and Physiological Index in the Elderly Women in Home Visiting Health Program)

  • 이지현;김상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45-35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low intensity exercise program with telephone coaching on the physical fitness and physiological index of elderly women who are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program.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53 senior citizens. The subjects (15) in experimental group 1 performed only a low-intensity exercise program and the subjects (16) in experimental group 2 performed a low intensity exercise program with telephone coaching for 16 weeks. The low intensity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muscle strength band exercise, stretching, and hand exercise using balls.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right grip strength (p=.030), left grip strength (p=.035), raising behind of right arm (p=.046), raising behind of left arm (p=.045), postprandial blood sugar (p=.021), body mass index (p=.029). Conclusion: The low intensity exercise program with telephone coaching is recommended as a physical fitness and physiological index for elderly women in a home visiting health program.

전화코칭을 동반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이 방문건강관리 노인의 체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ow Intensity Exercise Program with Telephone Coaching on Physical Fitness)

  • 김상희;이지현;고광욱;하현보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57-466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ow intensity exercise program with telephone coaching on the physical fitness of elderly people who are receiving home visiting nursing care.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61 elders. Elders (34) in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low intensity exercise and of these 16 received telephone coaching. The low intensity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stretching, muscle strengthening with an elastic band, massage, and ball exercise, five days a week, for sixteen week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007 to December 2007. $x^2$-test, ANCOVA with SPSS WIN 11.0 program were used to analyse the data.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right grasping power in the right hand (p=0.021), Raising behind of right arm (p=0.006), Raising behind of left arm (p=0.007).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low intensity exercise program with telephone coaching can help improve physical fitness in elders receiving served home visiting nursing care.

  • PDF

동기/비동기 기반의 통합 E-코칭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E-Coaching system Based on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 김도연;김도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7
    • /
    • 2015
  • 지금까지 대부분의 코칭은 대면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인터넷을 활용한 e-코칭으로 확장이 시도되고 있다. 현재 e-코칭은 대면 코칭을 위한 보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코치와 피코치 간의 수평적 관계에서 언제 어디서나 소통할 수 있는 e-코칭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e-코칭은 전자문서, 비디오 채팅, 문자 채팅, 전화 등의 네 가지 형태가 일반적이다. 대부분의 e-코칭 방식은 접근성이 용이하나, 비디오 채팅은 우수한 가시성을 제공하나 동기방식을 요구한다. 이에 반해 전자 메일은 비동기 방식이며, 문서 작성 중심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기와 비동기를 지원하는 통합 e-코칭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한 e-코칭 시스템은 비동기 방식의 전자 메일과 동기 방식의 P2P(Peer to Peer) 비디오 채팅과 그룹 문자 채팅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비동기와 동시적인 방법을 함께 지원하여 개인 혹은 그룹 간의 규칙적, 비공식적 코칭이 가능할 수 있다.

전화코칭협상을 이용한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이 허약노인의 체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s with Telecoaching Negotiation on Physical Fitness and Quality of Life in the Frail Elderly)

  • 김윤지;이지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91-402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to show the effects of a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 with tele-coaching on physical fitness (grip strength, static and dynamic equilibrium) and quality of life in the frail elderl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30 to October 19, 2008.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n=27) and a control group (n=26).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any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higher physical fitness (right grip strength, left grip strength and static equilibrium except dynamic equilibrium) and quality of life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s with tele-coaching are strongly recommended as health promotion for the frail elderly.

  • PDF

식습관 개선을 위한 온라인 코칭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 (The Effects of Online Coaching Program on Improving Eating Habit Behaviors)

  • 김혜영;고승석;양순정;윤방우;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5권1호
    • /
    • pp.1-3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습관행동 변화과정 모형(탁진국, 권혜란, 김혜영 등, 2019)을 기반으로 하여, 식습관 개선 성공 요인(최경화, 김혜영, 한석빈, 탁진국, 2020)과 선행 연구에서 습관 개선에 효과를 나타낸 방법들을 토대로 식습관 개선을 위한 온라인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식습관 개선을 희망하며 수도권에 거주 중인 19세 이상 성인 중 전화인터뷰를 통해 선정된 20명을 실험 및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일대일 코칭을 진행하였다. 최종분석에는 17명의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체중, 식습관, 식이행동, 식이효능감, 자기조절, 삶의 만족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온라인 코칭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사전, 사후의 시점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과 삶의 만족을 제외한 체중, 식습관, 식이행동, 식이효능감에서 시점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프로그램 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통제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에서 체중, 식습관, 식이행동, 식이효능감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