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 Title/Summary/Keyword: 전통주

Search Result 2,50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creening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to Develop New Materials for Anti-aging and Anti-wrinkle in the Skin (전통 생약재에서의 항노화와 주름 개선 활성 신소재 탐색)

  • Lee Sang Eun;Son Dong Wook;Yoon Year Pill;Lim Tae Young;Cho Ja Wun;Kim Haen Su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31 no.2 s.51
    • /
    • pp.147-152
    • /
    • 2005
  • As a part of searching tot the natural components which inhibit the skin aging and wrinkle formation, the 80% methanolie extracts of 121 species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used to treat lung and skin disease were investigated for their in vitro anti-oxidative activity against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superoxide radicals,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elastase. We selected 9 kinds of the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showing inhibitory activities of winkle formation. The effective concentrations of 9 candidates for anti-wrinke/skin firming activity was less than 0.1 mg/mL, and there is no toxicity to cell viability at these concentrations. Through analysis of human skin primary patch test data, the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represented non-irritant materials. We suggest that these 9 candidates with ability to help anti-wrinkle/skin firming may be useful for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Modern Division of the Style of Gardens Presented in Korean Traditional House Yard (전통주택 마당에 나타나는 정원양식의 현대적 분화)

  • Park, Eun-Ye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29 no.2
    • /
    • pp.28-38
    • /
    • 2011
  • Dwelling reflects the continuance and change that, in general, expresses the era's cultural and social values. The yard of Korean traditional dwelling, although it is an exterior space, it is a companion space that is engaged with the main house. It operates many housing functions that were not achieved within the interior space. After the time of enlightenment, shape, function and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house yard along with the change of values and major living style has been changing. Therefore, to understand how the Chosun Dynasty's house yard is being used in modern days,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f 47 sites and conducted a study regarding the acculturation and division the house yards. Typical elements in the target garden site that are expressed in a way differentiated from the original form of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yard were the materials and methods of planting, the use of garden ornaments, paving materials, the use of water, and changes in kitchen gardens. As the role of house yards changes, the modern division of the style of gardens occurred; the areas in a garden have been divided and the form of a garden has been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limit and initiative. The pursuit of ornamentality and practicality led to the differentiation of gardens' functions, while seeking after convenience resulted in the division of gardens' materials. The use of gardens has also been differentiated by adding commerciality and a concept of open garden in both symbolic and daily manners.

A Study on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Spatial Changes in Unregistered Private House Gardens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의 공간변화 양상 및 특성 연구)

  • Lee, Kyeong-Mi;Bae, Jun-Gyu;Shin, Hyun-Si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3
    • /
    • pp.67-73
    • /
    • 2022
  • This study tracked the changing process of unregistered private house gardens by using the form at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gardens as the prototype of each garden, investigated the spatial value of the garden, and discussed the historical spatial value of unregistered private house gardens in terms of inheritance and change of traditional gardens. To this end, targeting on unregistered private house gardens in Gangwon-do, which are in danger of preserving their gardens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dismantled, the patterns of unregistered private house gardens, their characteristics and valu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spatial change of the garden,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the unregistered private house gardens were able to inherit and maintain the form of a traditional garden, being located in a clan village. The garden space was divided by the influence of Confucian philosophy, and the components of the garden, tree species and planting methods appeared differently. In other words, the use of garden components according to the status hierarchy appeared. Second, space reduction was continuously confirmed at four target sites. The reduced spaces are garden spaces, and part of the garden was attributed to the state due to the building of new road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The reduced spaces are garden spaces, and part of the garden was attributed to the state due to the new road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Third, eight old big trees over 100 years old were identified in three of the four target sites, and the garden components such as stone water tanks, quickset doors, and ponds were commonly identified in Korea, China, and Japan during the Joseon Dynasty, inheriting the historicity of the traditional garden.

생물촉매를 이용한 아미노산의 새로운 제조법 - 생물 전환 기술

  • 성문희;조홍연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20 no.1
    • /
    • pp.38-41
    • /
    • 1994
  • 아미노산은 발효법, 합성법, 효소법, 추출법 등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아미노산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glutamic acid, lysine, methionine, glycine, phenylalanine등의 주요 아미노산은 전통적인 발효법과 합성법에 의해 주로 제조되고 있다(1-3). 표 1에 주요 아미노산의 생산량, 제조법, 용도들을 표시하였다. 최근 고정화효소법 및 화학합성법과 효소법을 병행한 반합성법(hybrid process 또는 chemico-enzymatic process라고도 함) 등의 새로운 아미노산 제조법(3-7)이 개발되어 주목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아미노산 제조법은 효소를 촉매라는 시각에서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생물촉매법이라 총칭하며, 생물촉매법은 화학반응으로는 곤란한 반응을 효소반응의 도입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특징과 각종 연관 아미노산 화합물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다는 대단히 유리한 장점 때문에 새로운 아미노산 제조법으로 점차 기업화되고 잇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생물촉매를 이용한 아미노산의 새로운 제조법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한국철도의 전화 현황

  • 서석인
    • 전기의세계
    • /
    • v.24 no.1
    • /
    • pp.16-17
    • /
    • 1975
  • 교통수단으로서의 철도는 세계에서 처음 영국에서 효시되었으며 차량을 궤조상에서 말의 힘을 이용하여 걸었었다. 그 후 증기기관의 발명으로 석탄을 주원료로 하는 증기기관차가 철도의 주동력이 되었다. 그후 석유를 이용하는 내연기관의 발명으로 주로 미국에서는 디젤기관차를 주로 사용하는 현상이다. 철도의 주동력을 석탄에서 석유로 전환하던 중 그 경제성과 속도향상면으로 보아 전기로 전환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인정되어 각국에서 전화가 많이 추진되고 있어 특히 일본국에서는 동경-대판간을 동해철신간선이라 하여 최고속도 250km/h 평균속도 200km/h로 개통하여 세계제일의 평을 받고 있으며 현재 구주복강까지 연장공사중으로 1975년 3원에는 전통된다고 한다. 한국의 철도는 주로 증기기차이었으나 디젤전기기관차로 대부분 전환되었고 전기화하는데는 다소의 이론이 있었으나 경제면 속도면 수송면 등 여러 조건을 감안하여 차차 전화방향으로 진전되어 가고 있다. 우선, 석탄, 시멘트 등 주요산물의 수송면을 고려하야 중앙선, 태백선을 전화아였고 영동선을 현재 공사중에 있으며 1975년 6원 개통예정에 있다.

  • PDF

신장 상피세포주 A498을 이용한 대황(Rheum undulatum L.)추출물의 세포독성

  • 나명석;진종언;조남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2000.12a
    • /
    • pp.55-5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담석증, 신장치료 등의 한약제로 많이 사용하는 대왕을 여러 용매를 사용하여 얻은 대왕추출물 분액에 대한 세포독성을 여부를 MTT 정량법, NR 정량법, SRB 정량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1. 추출 용매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butanol, water로부터 얻은 대왕추출물 모두 처리농도에 따라 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였다. 2. Butanol을 용매로 사용하여 얻은 대왕추출물 분액이 다른 3가지 용매로부터 얻은 대왕추출물보다 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고 water를 용매로 사용하여 얻은 추출물이 A498 세포주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Butanol을 추출 용매로 하여 얻은 대왕추출물이 A498 세포주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는데 그 추출물에 대한 MTT50, NR50, SRB50값은 각각 0.63mg/m1, 0.65mg/ml, 0.68mg/ml이었고, 가장 영향이 적은 water의 경우 MTT50, NR50, SRB50값은 각각 0.84mg/m1, 0.82mg/m1, 0.80mg/ml이었다. 4. 정량방법 간의 대왕추출물에 대한 반응은 MTT 정량법이 가장 민감하게 나타났다.

  • PDF

현장탐방 고객감동 현장 - 에스엠비티(주) 전남지점

  • Kim, Hyeon-Ok
    • Life and Agrochemicals
    • /
    • v.29 no.10
    • /
    • pp.33-35
    • /
    • 2008
  • 전통문화와 첨단산업이 공존하는 자족형 혁신도시를 추구하는 나주시. 영산강 문화의 뿌리를 둔 생명의 당이다. 배 주산단지인 이곳 나주에 '천우지베레린'을 확인시킨 에스엠비티(주) 전남지점(지점장 김현옥 44)이 자리하고 있다. 2006년 최초 1호 지점으로 설립, 에스엠비티(주)와 인연을 시작한 김지점장은 "고객과의 만남을 위해 현장으로 떠나는 매일 아침이 적지 않게 설레인다"면서 "하루 이동거리가 보통 250여km를 상회, 때론 지치기도 하지만 항상 생명이 살아 숨쉬는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함께 꿈을 이룰 수 있어 행복하다'며 그의 환한 웃음 속에 열정을 내비친다. 이 같은 열정은 지난해 전국 우수지점에 선정된 영예와 무관치 않다. "영업력은 성실, 정보력, 대인관계, 적시적소의 운영 등 개인의 능력에 좌우된다"며 선두지점의 자부심을 드러내는 김 지점장은 "농가들은 작물보호제품의 인지도를 쉽게 바꾸려 하지 않아 우선 고객의 마음에 신뢰와 믿음을 심어주어야 한다. 끊임없는 제품연구와 정확한 정보 전달, 수요와 판매예측의 시장분석을 통해 적시적소에 적합한 제품을 공급해야 한다"면서 타사와의 차별화 전략에 대해 역설하며 그의 일상이 빼곡히 적혀있는 다이어리를 넘기며 또 다른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 PDF

전주지역 중학생의 음료 섭취 실태와 식생활 태도에 관한 연구

  • 송문자;안은미;손희숙;김숙배;차연수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63-1063
    • /
    • 2003
  •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음료기호와 빈도 등에 따른 음료 섭취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전주시에 재학하고 있는 중학생으로서 남학생 303명, 여학생 276명을 조사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음료섭취의 빈도와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물은 하루 평균 8.55회 섭취하였으며, 우유 및 요구르트 3.01회, 스포츠 음료는 2.13회, 탄산음료는 1.93회, 과일 및 야채 쥬스는 일주일에 1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탄산음료 및 스포츠음료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물과 우유 및 쥬스와 전통음료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생들은 식사시 주로 물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우유를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실태에 따른 음료의 섭취는 규칙적인 운동이나 3시간 이상 운동 시 1시간 이하 운동시보다 탄산음료 또는 스포츠음료 및 우유와 요구르트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료를 마시는 때는 주로 운동시였고 그 다음으로 쉬는 시간에 스낵과 함께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잘못된 음료섭취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영양교육이 필요하며 학교차원에서의 정책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전사적 테스트 주도 개발방식의 적용 경험과 교훈

  • Kwon, Oh-Seung;Lim, Joa-Sang;Hong, Sa-Neu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246-252
    • /
    • 2008
  • 선행적이며 지속적인 테스트를 강조하는 테스트 주도개발이 시스템의 품질과 개발 생산성을 제고한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4].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실험실 환경 또는 소규모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수행하였고, 개발 현장에서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드물다 [2, 5, 18]. 본 연구는 비즈니스 환경의 대규모 프로젝트에 테스트 주도의 개발방법을 적용한 경험과 교훈을 보고한다. 다양한 데이터, 업무간 복잡한 연계, 철저한 검증의 필요성과 같은 전사적 응용체계의 요구사항은 기존의 테스트 주도 개발방법을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테스트 주도 개발방법의 전사적 적용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테스트 지원도구를 개발하였다. 도구는 GUI 기반의 테스트 관리 화면을 제공하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테스트 데이터를 저장하여 테스트 케이스의 생성, 테스트 실행, 그리고 테스트 데이터의 관리를 지원하였다. 도구는 또한 스크립트 방식이 아닌 저장된 테스트 데이터를 이용한 회귀 테스트의 실행을 가능케 하였다. 지원도구를 이용한 전사적 테스트 주도 개발은 테스트 결과의 실시간 파악과 빈번한 변경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전사적 테스트 주도 개발방법의 보편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전통적 개발방식에 익숙한 개발자들의 새로운 접근방법에 대한 거부감 해소, 테스트 주도 개발을 고려한 개발체계와 프로젝트 관리, 그리고 개발자 행태와 프로젝트 특성을 감안한 지원도구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식별되었다.

  • PDF

숙성에 따른 증류주의 성분함량 및 향기성분

  • 민경찬;이진순;김동원;이선희;박영심;최병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2003.07a
    • /
    • pp.81-81
    • /
    • 2003
  • 우리 민속전통주의 참나무 oak통을 이용한 저장주의 가능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상법에 의하여 쌀로 제조한 증류주를 용량 10L의 수입 참나무(oak)통에서 실온 25로 5개월부터 9개월까지 숙성한 숙성주와 숙성하지 않은 증류주의 성분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유기산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다만 7개월 이상 숙성주에서 acetic acid 가 0.023 ∼ 0.033%로 미량 검출되었다. 2)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숙성 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다. ) 휴젤유 함량을 측정한 결과 숙성 기간이 길수록 감소하였으며 휴젤유 중 가장 많은 성분은 isopropyl alcohol이었다. 4)휘발성 향기성분은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취를 생성할 수 있는 aldehyde나 ketone류가 감소하였고 신선한 과실향이나 꽃향기 등의 향기 성분인 ester류가 증가하여 숙성 5개월째에는 oak 숙성주로서 가장 독특한 향을 갖는다고 예측할 수 있었다. 5)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를 이용하여 각각의 시료들의 향기특성을 관능 평가하여 동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green 및 herb note가 우세한 숙성기간 8개월 숙성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6) 전체적인 색상 비교 결과 기준값이 되는 oak 숙성을 하지 않은 증류주보다 숙성기간이 오래 경과된 숙성주일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UCS graph에서 보면 기준값 보다 숙성된 시료가 탁하다는 것을 나타냈고 색상 선에서는 기준시료보다 R(red)에 가까웠다. 숙성기간이 긴 발효주일수록 명도는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