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주거지역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초

시골노인들의 비전통적인 주택형태에 대한 수락도 (Acceptance of nontraditional housing type(s) in rural eleerly)

  • 권오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1992년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103-113
    • /
    • 1992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전통적인 주택형태들의 수락도에 영향을 미치는 시골지역 노인들의 인구학적 특성들과 주거특성들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남부 7개주를 대상으로 한 Southern Reginal Research Project, S-194, "Barricrs and Incentives to Attordable Housing"에서 수집된 자료의 일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는 미국 남부 7개주의 시골지역에 거주하는 나이 55세 이상의 1878명이었다. Analysis of variance의 통계분석방법을 통해 나타난 몇가지 중요한 결과가 본문에서 논의되어졌으며, 또한 조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주거특성도 요약되어 졌다.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교육, 앞으로의 연구 방향 산업체를 위한 제언들이 제시되고 있다.

  • PDF

도서성(Insularity)과 전통성에 바탕을 둔 이상적인 도서지역 주거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odeling Development of Dwelling House of Islands in the Future Based on the Insularity and the Factor of Traditional Culture)

  • 김지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1-12
    • /
    • 2005
  • This paper is architectural paper which has been studied about residential culture of Southwestern Island from 18C to now. It's main object is suggest a new residential type. Contents of research is 1, to survey a history and a cultural environment of island. 2. to survey and rearrange residence(traditional, modem) which has been built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establish a history of residence and a theory. 3. to search for architectural space, shape(form), and architectural community, etc. which can be continued. 4. to suggests ideal future residence type of islands. Effectiveness of Research is 1. This study suggests a new theory and a new method to the field of residential science, especially to the residence of island area. 2. In this study, traditional theory of residence be reflected in the modern architectural design.

현황조사를 통한 농촌주거의 성능검토 및 재생지원방안 (Performance Review and Revitalizing Support Plans for Rural Residence though Current Status Survey)

  • 박준모;김옥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11
    • /
    • 2015
  • 산업 및 사회발전의 고도화를 통해 국내 도시는 주택 및 각종 시설이 개선된 반면, 농촌은 그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주민의 고령화로 인한 유지보수를 적기에 실시 못하는 문제나,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 제대로 된 공법, 기술, 재료를 이용한 개축 등을 하는 것을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농촌주민의 고령화 및 농촌주거의 노후화에 따른 문제점에 대한 현황조사를 통해 지역실정에 적합한 농촌주거의 재생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주거양식은 한국의 전통가옥양식이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서구식 주거양식의 농촌주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거수준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형식은 순수구조와 복합구조가 각기 절반씩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 한국의 전통가옥양식은 순수구조보다는 복합구조가 많았다. 이는 본래의 모습으로는 내구성능, 거주자의 용도 등의 기능을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거주자에 의해 지속적인 변화가 계속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농촌지역의 특성에 알맞는 농촌주거 개선이 필요하다.

전통시장 화재 발생 및 확대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s Factors of Fire Occurrence and Expansion for Traditional Markets)

  • 김정곤;박창일;정재욱;김성곤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60-67
    • /
    • 2021
  • 연구목적: 전통시장은 시간적인 차이를 두고 필요에 의하여 공간이 생성 및 구획되어 불규칙적인 공간 활용 패턴을 갖는 경우가 많다. 그 영향으로 내적으로는 시설노후화, 점포의 과밀화 등과 같은 문제로 화재발생 위험성이 높고, 외적으로는 노후 주거 및 상업 시설과 인접한 경우가 많아 화재확산의 위험성이 높다. 연구방법: 본 논문에서는 기존 전통시장 대형화재 자료를 활용하여 황학동과 동대문 일대의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화재 위험요인 및 화재 확산 위험성에 대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화재 발생과 확대 위험요인에 대해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노후화시설과 점포과밀화로 인한 높은 화재하중 및 안전의식 부재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전통시장주변의 좁은 골목과 함께 발달한 노후주거시설은 화재확산 위험성이 매우커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전통시장은 상인회를 중심으로 화재 및 재난관리를 하는 반면 주변 주거지역은 제대로 관리되고 있지 못하였다. 결론: 전통시장과 함께 주변의 노후주거시설을 함께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전통시장과 노후주거시설에서 발생한 화재에 대하여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조기경보체계와 정보연계가 필요하다.

영동북부지역 전통민가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왕곡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raditional Fork House of Change in Northern part Young-Dong Region - the case of wang-gok villages -)

  • 임하나;김경호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7-282
    • /
    • 2004
  • A Study traditional folk house and primary factor from investigation of Wang-Gok villages space composition program which is contains regional color, economy, rationality. From that's all, Analysis the effect of modern life style to folk house space pattern change and a primary factor of northern traditional fork house type of Korea. 1. Analysis and arrangement space composition structure about natural${\cdot}$geographical${\cdot}$cultural environment. 2. Examination existing commoner's house research by a region, space program for understanding house pattern, specially double rows which are partitioned by walls in northern part of Young-Dong region. 3. Analysis folk house character and object house information. by the way, Investigation changing of commoner's house space program with modem life style.

  • PDF

말레이시아 반도(半島) 지역 전통주거건축의 일반적 형식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y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Houses in Malay Peninsular)

  • 권태호;박순관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25-3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traditional housing-culture in South East Asia, focused on the traditional Malay houses. The research objectives are : 1) to obtain informations related to the traditional Malay houses in West Malaysia. 2) to survey the traditional Malay houses in the selected area. 3)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It is expected that the traditional Malay houses were a major focal point of traditional Malay village society. The Malay houses provided the basic needs of shelter to the villagers. They were designed and built by villagers themselves, thus, manifestation of the creative and aesthetic skills of the community. Further, these houses reflect those factors including climate, geographical features, history of the region.

  • PDF

Fuzzy 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the Evaluation of Old Dwelling Façade Design Factor

  • Park, Jin-A
    • 감성과학
    • /
    • 제16권3호
    • /
    • pp.333-340
    • /
    • 2013
  • 생활양식이나 형태 변화에 따른 전통적인 주거건축들의 전통성, 공공성과 사유권의 균형, 계승 발전, 보존에 부가되는 공동체의 활성화와 효용성 등 환경 개선이라는 과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들 역사 경관 권역의 경관훼손 가능성이 점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적 경관의 고유한 특성과 다양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전통적 주거건축의 입면디자인 속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통적 주거건축의 입면디자인 평가"에 영향을 미친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입면디자인 평가척도 (지붕, 창호, 기둥, 벽면, 마루, 주초석, 기단)를 기준으로 쌍대비교를 실시하여 도출된 Synthetic Evaluation Value를 Fuzzy 방법을 통해 Fuzzy Integral (Choquet Integral) value를 추정하여, 가치속성을 규명하였다. 속성 간 가중치 산정결과에 ${\lambda}$-value를 이용하여 Sensitivity Analysis를 실시하여 유효함을 검증하였다. 전통적 주거건축의 입면디자인 평가에 영향을 미친 가치속성을 추정하는데 있어 유의미한 방법론이며, 복합 가치속성을 도출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 PDF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주거교육 가치관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Perspective about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Housing Education Value)

  • 이연정;조재순;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19-232
    • /
    • 2007
  • 본 연구는 가정과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들의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자료는 전국에서 중학교 가정교과의 주생활 영역을 지도하고 있거나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를 상대로 e-mail과 방문을 통해 설문지로 수집하였으며, 20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ver.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test, ANOVA와 scheffe,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사의 교육과정 관점은 실존적 관점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구조적 관점, 전통적 관점의 순으로 높았다. 전통적 관점은 교사의 연령과 교직경력이 많고 남녀공학보다는 남학교나 여학교 근무 교사가 그리고 사립학교에 다니는 교사가 높았다. 실존적 관점은 여교사, 가정교육전공, 대학원 재학 이상 학력, 공립학교에 다니는 교사가 높았다. 구조적 관점은 여교사, 연령이 적고, 가정교육전공, 그리고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을 지닌 교사가 높았다. 둘째, 가정과교사의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의 일반적 경향은 9개 요소 모두 평균 이상이었다. 그 중 주거의 생태학적 요소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경제적인 요소, 사회심리적 요소, 공간계획적 요소, 지역환경적인 요소, 진로교육적인 요소, 문화적 요소, 주거관리적인 요소, 주택정책적 요소 순이었다. 가정과교사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전공자격, 최종학력은 5개의 주거 가치관 요소와 차이를 보였으며 학교 형태는 4개, 가족수, 소득수준, 교직경력은 각각 2개씩, 그리고 성별, 결혼여부, 거주주택 유형, 연령은 각각 1개씩의 주거가치관 요소와 차이를 보였다. 가정교육 전공 교사가 사회심리적 요소, 경제적인 요소, 지역환경적인 요소, 생태학적 요소를 기술교육 전공 교사보다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기술교육 전공 교사는 주거관리적 요소를 가정교육 전공 교사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최종학력에 따라서는 대학원 재학 이상인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사회심리적 요소, 지역환경적 요소, 생태학적 요소, 주택정책적 요소, 그리고 문화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학교 형태에 따라서는 여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남학교나 남녀 공학에 근무하는 교사 보다 사회심리적 요소와 주택 정책적 요소를 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여학교나 남녀공학에 근무하는 교사는 남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지역환경적 요소와 생태학적 요소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셋째, 가정과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전통적 관점은 주거교육가치관 요소 중 오직 주거관리적 요소와 관계가 있었으나 그 정도는 낮으며 실천적 관점과 구조적 관점은 주거가치관의 각 요소에 따라 약간 다르기는 했으나 주로 보통의 관계를 보였다.

  • PDF

관가정(觀稼亭)으로 본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환경친화적 계획요소 분석 (A Study on the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Elements on High-Class Houses Kuangajeong in Chosun Dynasty)

  • 허준;이시영;송병화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3호
    • /
    • pp.164-177
    • /
    • 2011
  • 본 연구는 전통주거공간 속에 반영된 환경친화적인 계획기법과 원칙을 파악하여 그 원리를 재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대표적 전통 주거공간인 경상북도 경주시 양동마을의 관가정을 대상으로, 문헌연구와 현장연구를 통해 주거공간에 표출되거나 내재된 환경친화성 원리 및 기법을 입지선정 및 공간구성, 자연에너지 활용, 자연재료 활용 등으로 구분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는 결과는 입지적 측면에서 남동향을 취하여 일사 및 일조의 환경조절측면을 고려하고 있었으며, 지형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건물축조기법으로 조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환경보전적 측면에서는 대문간-안마당-안대청으로 바람의 통풍이 가능하도록 구조적으로 배치하였으며, 공간구성적 측면에서는 경관의 조망을 중시하여 담장의 조절을 통해 외부 경관을 끌어들이는 수법을 활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전통공간에 있어서 환경친화적 기법 및 조절원리는 오랜 기간 동안 경험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지역기후와 지역환경에 적합한 많은 전통적인 기법들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기법들을 추출하여 기술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은 지구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쾌적한 인간의 생활환경을 창출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