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통주거

Search Result 294, Processing Time 0.02 seconds

The Study on the Modeling Development of Dwelling House of Islands in the Future Based on the Insularity and the Factor of Traditional Culture (도서성(Insularity)과 전통성에 바탕을 둔 이상적인 도서지역 주거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Ji-Min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6 no.5
    • /
    • pp.1-12
    • /
    • 2005
  • This paper is architectural paper which has been studied about residential culture of Southwestern Island from 18C to now. It's main object is suggest a new residential type. Contents of research is 1, to survey a history and a cultural environment of island. 2. to survey and rearrange residence(traditional, modem) which has been built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establish a history of residence and a theory. 3. to search for architectural space, shape(form), and architectural community, etc. which can be continued. 4. to suggests ideal future residence type of islands. Effectiveness of Research is 1. This study suggests a new theory and a new method to the field of residential science, especially to the residence of island area. 2. In this study, traditional theory of residence be reflected in the modern architectural design.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No, Hyeong-Rae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6)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7-73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isks Factors of Fire Occurrence and Expansion for Traditional Markets (전통시장 화재 발생 및 확대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 Kim, Jung-Gon;Park, Chang-Il;Jung, Jae-Wook;Kim, Seong-Go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7 no.1
    • /
    • pp.60-67
    • /
    • 2021
  • Purpose: Traditional markets often have irregular space utilization patterns because the spaces are created and divided as time passed. Internally, there is high risk of fire due to problems such as aging facilities and high-density of stores and externally, there is high risk of fire spread since it is often adjacent to deteriorated residential and commercial facilities. Method: In this paper, on-site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to check fire risk factors and fire spread risk, and fire occurrence and expansion risk factors were investigated for traditional markets in Hwanghak-dong and Dong-daemun by using large-scale fire data from existing traditional markets. Resul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are likely to be various problems such as high fire load and lack of safety awareness due to aging facilities and high-density of stor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untermeasures because deteriorated residential facilities with narrow alleys around traditional markets have high fire spread. It is situation that while traditional markets mainly are managing for fire and disaster centering on the merchant association, the surrounding residential areas are not properly managed.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manage deteriorated residential facilities with traditional markets, also to be linked early warning system and information to evacuate rapidly in case of fire t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