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통적 이미지

Search Result 51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Geometric Pattern (기하학적 패턴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김신우;금기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2 no.1
    • /
    • pp.53-67
    • /
    • 2002
  • 자연을 분석함으로써, 얻어진 기하학적 패턴은 이미 자연의 질서를 포함하고 있는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기본형이기 때문에 간결하며 시각적으로 명쾌감을 준다. 이러한 기하학적 패턴은 복식 디자인에 있어서 20 세기 이후 여러 디자이너의 작품을 통해 재구성되어 현대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모티브가 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법과 재료로 형성화하여 도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복식의 문양, 실루엣, 디테일에 사용되고 있는 기하학적 패턴을 연구함으로써 기하학적 패턴의 새로운 조형가치를 고찰하였다. 먼저 기하학의 용어 정의를 하였고 기하학적 패턴의 유형과 표현 기법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적 패턴의 조형미와 그것을 바탕으로 패션 이미지를 추론해 보았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 패턴을 분석해 보면 유형으로는 첫째, 기하하적 문양으로 복식디자인에 있어서 주로 평면적인 형태로 많이 나타나지만, 크기가 다르고 동일한 기하학적 패턴을 조합시킴으로서 평면적인 형태에 공간감을 부여하기도 하며, 같은 기하학적 패턴의 표면이라도 배치구조에 의해 직선 혹은 사선으로 지각되므로 전혀 다른 이미지를 주었다. 또한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적 패턴이 종류는 세로 스트라이프, 가로 스트라이프, 격자 문양, 원, 사선 스트라이프, 마름모, 사각형, 삼각형 등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둘째, 색채는 단색의 복식에 강한 대비가 이루어지는 색상으로 표현되어 역동감과 유연한 운동감을 나타났다. 셋째, 기하학적 실루엣으로 단순한 라인의 형태를 나타내거나 입체적이고 부조적인 형태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실루엣으로 사용되어 강한 조형감각을 보여주는데 원형을 이용한 실루엣이 가장 많았으며 사각형을 이용한 실루엣, 삼각형을 이용한 실루엣 순서로 나타났다. 넷째, 기하학적인 디테일로 복식의 어느 한 부분에 장식적으로 사용되거나 입체적 형태로 부출 되어 부조적인 느낌을 주는데 소매에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앞여밈, 칼라, 밑단, 주머니 순서로 장식되었다. 다섯째, 현대 패션에 표현된 기하학적 패턴의 표현기법으로는 프린팅, 퀼팅, piece기법, 패치워크, 엮기, 꼴라쥬, 아플리케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위의 분석을 토대로 기하학 패턴을 활용한 디자인에 내재된 조형의지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기하학적 패턴이 지닌 단순성과 경직성을 완화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패브릭을 조합시켜 입체적인 표면효과로 시각적인 착시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둘째, 표현기법은 입체파적 표현주의의 특성의 하나로 복시에 사용되는 소재의 왜곡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새롭고 실험적인 소재의 도입으로 인해 의외성과 부조화를 유발시키는 통시에 유희직인 일면도 지니는 일종의 그로테스크를 나타냈다. 이상에서 정립된 조형의지를 바탕으로 현대 패션에 나타란 기하학 패턴은 절제된 단순함과 명확성으로 단순미가 유추되었고 강한 색상대비로 인한 시각적 집중효과로 주목성을 가지며 재현이 가능하므로 반복성이 유추되었다. 그리고 표준영역이 없는 창의적 표현으로 풍부한 독창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내재된 패션 이미지를 분석해 보면 정확함과 차가움의 의미를 지닌 이지적 이미지와 우주의 질서를 반영하는 상징적 이미지, 복잡한 자연으로부터 간결한 형태로의 경향성이 이루어낸 인공적 이미지를 느낄 수 있었으며, 미래적 이미지와 전통적 이미지의 상반된 개념의 이미지를 같이 내포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현대 패션에 표현된 기하학적 패턴은 복식을 조형예술 분야로 확실히 인식시키고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촉매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또한 많은 디자이너들에게 창조적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영감을 주는데 중요한 모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A Study on Expression Visual of Metamorphosis Transition of Image Animation (영상애니메이션 트랜지션의 메타모포시스 시각 표현에 관한 연구)

  • Joo, Hae-Jeong;Kim, Che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0.05a
    • /
    • pp.347-350
    • /
    • 2010
  • With the advent of new media era we are living in the world of motion picture image is not an exagger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ass media with images and moments that passed the day feeling like part of it is communication. In this era a sensual and shapeable image more than the logical and realistic thinking may be passed. In the act of seeing a moving image, prior to linguistic and conceptual meaning, color and screen configuration delivery and formative element in the change they produce is first recognized. Particular kind of video animation having the narrative structure, this territory effect greatly. the film even more significant effect on the area and linking the image of the scene transitions in the scheme also features a simple means of natural communication functions are being expanded. These transitional effects provide visual pleasure from a simple transition traditional methods. And In terms of narrative functions performed to help a narrative flow of availability, visual representation should continue.

  • PDF

Depth Map Using New Single Lens Stereo (단안렌즈 스테레오를 이용한 깊이 지도)

  • Changwun Ku;Junghee Jeon;Kim, Choongw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4 no.5
    • /
    • pp.1157-1163
    • /
    • 2000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and practical stereo vision system that uses only one camera and four mirrors placed in front of the camera. The equivalent of a stereo pair of images are formed as left and right halves of a single CCD image by using four mirrors placed in front of the ten of a CCD camera. An object arbitrary point in 3D space is transformed into two virtual points by the four mirrors. As in the conventional stereo system, the displacement between the two conjugate image points of the two virtual points is directly related to the depth of the object point. This system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over traditional two camera stereo that identical system parameters, easy calibration and easy acquisition of stereo data.

  • PDF

A Study on Chinese Traditional Auspicious Fish Pattern Application in Corperate Identity Design (중국 전통 길상 어(魚)문양을 응용한 중국 기업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동향)

  • ZHANG, JINGQIU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50
    • /
    • pp.349-382
    • /
    • 2018
  • China is a great civilization which is a combination of various ethnic groups with long history change. As one of these important components of traditional culture, the lucky shape has been going through the ideological upheaval of the history change of China. Up to now, it has become the important parts which can stimulate the emotion of Chinese nation. The lucky shape becomes the basis of the rich traditional culture by long history of the Chinese nation. Even say it is the centre of this traditional culture resource. The lucky shape is a way of expressing the Chinese history and national emotions. It is the important part of people's living habits, emotion, as well as the cultural background. What's more, it has the value of beliefs of Surname totem. Meanwhile, it also has the function of passing on information. The symbol of information finally was created by the being of lucky shape to indicate its conceptual content. There are various kinds of lucky shapes. It will have its limitations when researching all kinds of them professionally. So, here the lucky shape of FISH will be researched. The shape of fish is the first good shape created by the Chinese nation. It is about 6000 years. Its special shape and lucky meaning embody the peculiar inherent culture and intension of the Chinese nation. It's the important component of the Chinese traditional culture. The traditional shape of fish was focused on the continuation of history and the patterns recognition, etc. It seldom indicated the meaning of the shape into the using of the modern design. So by searching the lucky meaning & the way of fish shape, the purpose of the search is to explore the real analysis of value of the fish shape in the modern enterprise identity design. The way of search i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y, the evolvement and the meaning of lucky of the traditional fish shape to analyse the symbolic meaning and the cultural meaning from all levels in nation, culture, art and life, etc. And by using the huge living example of the enterprise identity design of the traditional shape of the fish to analyse that how it works in positive way by those enterprise which is based on the trust with good image. In the modern Chinese enterprise identity design, the lucky image will be reinterpreted in the modern way. It will be proofed by the national perceptual knowledge of the consumer and the way of enlarge the goodwill of corporate image. It will be the conclusion. The traditional fish shape is the important core of modern design.So this search is taken through the instance of the design of enterprise image of the traditional fish shape to analysis the idea of the majority Chinese people of the traditional luck and the influence of corporation which based on trust and credibility. In modern image design of Chinese corporation, the auspicious sign reappear. The question survey is taken by people through the perceptual knowledge of the consumer and the cognition the enterprise image. According the result, people can speculate the improvement of consumer's recognition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traditional concept.

Study of Condition Analysis and Diagnosis on Oil Paintings with Terahertz Imaging (테라헤르츠 이미징기법을 이용한 유화의 상태분석 및 진단)

  • Baek, Na Yeon;Song, You Na;Kim, Moon Jeong;Chung, Yong Jae;Lee, Han Hyoung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35 no.3
    • /
    • pp.237-244
    • /
    • 2019
  • In this study, we applied terahertz imaging technology to three Korean modern oil paintings ('Boy,' 'Girl,' and 'Hyehwadong Landscape'); investigated the types of inner layer information in the pictures that can be extracted with terahertz imaging technology; and analyzed the conditions for extracting them. The biggest problem in the terahertz imaging analysis we encountered was the image distortion caused by the chang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target surface and the terahertz detector, depending on the surface curvature of the target paintings. We then developed a 'working distance maintaining device' to solve this problem. As a result, the terahertz imaging technique was used to identify the bas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any patterns of damage inside, and present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identifying each characteristic. In addition, it was useful to employ the terahertz frequency-division image to check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kground materials. To confirm coloring techniques such as brush strokes, it is effective to compare the maximum reflection peak image with the cross-section image; and to detect damage information inside the paintings that cannot be observed on the surface, to compare the cross-section image with the frequency-division image.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terahertz imaging analysis of the oil paintings, the internal structural damage marks of 'Boy' and 'Girl' were confirmed, and the artist's painting style was confirmed in 'Hyehwadong Landscape.' The abov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analysis and diagnosis of Korean modern oil paintings for their preservation.

Pattern Segmentation of Low-quality Images using Active Multiple Template (능동 다중 템플레이트에 의한 저화질 패턴 분할)

  • Ahn, In-Mo;Lee, Kee-Sang;Hur, Hak-Bom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d
    • /
    • pp.2555-255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열화된 이미지상에서의 자동 패턴 분할을 위해 농담 정규화 정합(NGC)법과 다중 템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검사 이미지내의 각 문자의 정합 계수치 합을 이용한 문자나 패턴을 자동으로 분할(segmentation)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전통적인 NGC를 사용하는 검사 알고리즘은 기준 패턴의 기하학적인 level 값에 의해 계산되어 지기 때문에 검사 이미지의 획득이 불완전하다면 정합의 부독율(reject rate)은 높아진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가시화가 좋지 않은 영상 회득 시 문자부와 배경부를 효과적으로 자동으로 분류하며 이미지 영역내의 정보와 정규화 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실제 영상에 적용시켜 제안된 알고리즘의 검증을 목표로 한다.

  • PDF

The SIFT and HSV feature extraction-based waste Object similarity measurement model (SIFT 및 HSV 특징 추출 기반 폐기물 객체 유사도 측정 모델)

  • JunHyeok Go;Hyuk soon Choi;Jinah Kim;Nammee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220-1223
    • /
    • 2023
  • 폐기물을 처리하는데 있어 배출과 수거에 대한 프로세스 자동화를 위해 폐기물 객체 유사도 판별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 데이터셋에서 SIFT(Scale-Invariant Feature Transform)와 HSV(Hue, Saturation, Value)기반으로 두 이미지의 공통된 특징을 추출해 융합하고, 기계학습을 통해 이미지 객체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실험을 위해 수집된 폐기물 데이터셋 81,072 장을 활용하여 이미지를 학습시키고, 전통적인 임계치 기반 유사도 측정과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유사도 측정을 비교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다. 임계치 기반 측정에서 SIFT 와 HSV 는 각각 0.82, 0.89(Acc)가 측정되었고, 본 논문에서 제시한 특징 추출 방법을 사용한 기계학습의 성능은 DT(Decision Tree)와 SVM(Support Vector Machine) 모두 0.93 (Acc)로 4%의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Malware Classification Method using Malware Visualization and Transfer Learning (악성코드 이미지화와 전이학습을 이용한 악성코드 분류 기법)

  • Lee, Jong-Kwan;Lee, M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05a
    • /
    • pp.555-556
    • /
    • 202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alware family classification scheme using malware visualization and transfer learning. The malware can be easily reused or modified. However, traditional malware detection techniques are vulnerable to detecting variants of malware. Malware belonging to the same class are converted into images that are similar to each other.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can classify malware with a deep learning model that has been verified in the field of image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an experiment using the VGG-16 model on the Malimg dataset, the classification accuracy was over 98%.

  • PDF

Evaluation on Effectiveness of the Parallel Importation Policy in Korea: Luxury Apparel Brands (한국의 병행수입에 따른 정책의 유효성 평가: 럭셔리 의류브랜드)

  • Kwon, Soong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583-1592
    • /
    • 2001
  • 연구의 목적은 병행수입제도의 정책운용적인 관점에서 고가품 수입의 큰 비중을 차지 하고있는 럭셔리의류 브랜드를 중심으로 병행수입제도 도입 이후 현 시점에서 공정경쟁의 관점에서 병행수입의 문제점 추출과 대안을 도출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와 in-depth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제도적 측면에서는 병행수입제도 도입 당시 병행수입과 직접 관련된 지적재산법과 독점규제법 사이에는 전용사용권자의 보호와 규제라는 입법적 목적이 서로 다른 이유로 병행수입 도입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상표권 침해 기준의 모호, 세관절차에 있어서의 문제점 등이 추출되었다. 럭셔리의류 산업적 측면에서 병행수입제도는 수입물품의 가격인하를 선도하여 소비자 이익 증진에 기 여 하는 반면에 명품의 유통경로가 다양해짐에 따라 위조상품의 처벌실적 이 증가하고, 이월상품과overrun된 제품의 저가수입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정책적 해결방안으로는 공정거래법의 개정을 통한 병행수입 허용기준의 보완, 지적재산권법 에 병행수입허용 규정 명시 , 소비자 관점에서의 병행수입 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전달 등의 내용 보완이 이루어져 야 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정책당국에게 경쟁조건의 Global Standard라는 견지에서 제도적 운용의 개선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는 논거와 토대를 제공하였다. 또한 전용사용권자와 병행수입업체에는 정보의 비대칭성에 의존한 판매전략을 지양하고 소비자 보호와 적 정 한 상표권 보호의 합리적 조화가 궁극적으로 생존의 핵심전략임을 인식시켜 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가치관은 이들의 의복관심과 의복착용 그리고 구매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포제로 평가되었다. 모든 남자포제가 전통적, 순수한 이미지의 포제로, 철릭을 제외한 모든 포제가 단순한 이미지로 나타나 조선시대 남자 포제가 공통적으로 가지는 이미지는 단순하고 순수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남자 포제의 시기별 복식이미지에서는 조선전기(철릭, 답호, 직령)의 포제는 관할성 요인이 높은 의례적인, 관할한, 특이한 이미지로 평가되었고 조선중기(도포, 창의)의 포제는 품위있는, 절제된, 풍성한 이미지로 평가되었으며, 조선후기(주의)의 포제는 활동적인, 단순한, 직선적인 이미지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대별 남자 포제의 이미지는 시대적 여건과 상황에 따라 변화되어 왔으며, 시대에 따라 추구하는 이미지가 달랐다는 것을 알 수 있이러한 논란의 해결방안으로 관세법 고시에 의한 우회적 도입을 결정한 정부의 방침에 대해 제도적 측면에서의 문제점으로 저작권 침해 기준의 결여다.lavonoid 함량의 판단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