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민가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 전통마을의 공간구성과 민가정원 양식 -왕곡마을을 중심으로 - (The space organization and home garden style in Korean traditional villages - the case of wang-gok villages -)

  • 윤영활;이기의;박봉우;조현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5-110
    • /
    • 1990
  • Wang -gok Villages was forming the space marking the centripetal system from frame composed of adjacent mountains and the cosy and comfortable space perccplively and psychologically, and both the openness and closeness existed together The analysis of the circulation structure in the exterior spaces of home showed that generally one must pass through kitchen to approach to the rear yard having the strong decree of enclosure and privacy. The determinants of the space organization in Wang-gok villages and the exterior of its homes were direction and gradient as natural factor, and traditional thought, action and social class as sococultural factors. The configuration of rear garden was classified into flat type, terrace type and mixed type of natural hill and terrace. The rear garden was created purposely and actively, emphasizing the harmony with and approach to nature.

  • PDF

도시적 맥락에서 본 전통한옥의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in Urban Context)

  • 이해경;강경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69-78
    • /
    • 2007
  •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in urban context with the following preconditions. Firstly, Chosun Hanyang's urban housing should be classified as it's own type. Secondly, Chosun's traditional housing accomplishes a complete urban housing type in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the stream of tim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is to find out the process of changes of urban housing in urban context from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to 1960's. Second is to find out the origin of spatial structure of urban house which is being kept throughout the above changes. Third is to find ou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urban house and the fundamental differences with folk houses in province.

<전주지도>에 표현된 조선 후기 전주부성의 식생경관상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Landscape of Fortress of Jeonju District in Represented on the )

  • 강인애;노재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0
    • /
    • 2018
  • 본 연구는 조선 후기 전주부성을 그린 <전주지도>에 나타난 식생경관을 활용하여 역사도시 전주의 도시정체성 확보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연구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조선 후기 전주의 도시 이미지 형성을 주도했던 지도상의 식생경관적 특성을 파악하는 한편 식생을 활용한 경관 모티브 및 구성체계를 도출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전주지도>의 분석을 통해서 도출된 조선 후기 전주부의 식생경관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전주부성의 식재경관 구성체계는 크게 부성 주변 자연형 식재를 토대로, 거점시설물과 연계한 독립식재와 군집식재, 지형특성과 어우러져 형성된 군집식재, 민가와 어우러진 텃밭과 마당식재가 통합되어 형성된 면형 식재경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지역수종을 활용한 깃대종의 식생경관을 특화하였다. 조선 후기 전주는 복사나무가 만개한 도화경(桃花景)의 별천지였으며 오얏나무, 매화, 살구나무, 이팝나무 등이 가득한 꽃대궐이었다. 셋째, 산지와 어우러진 자연형 식재경관요소와 군집을 이루는 민가정원형 식재경관을 배경으로 거점시설물을 중심으로 형성된 정원형 식재 등이 전주부성 식생경관을 지배하고 있다. 넷째로 지형특성상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조성된 비보형 식생군락지가 중요한 식재경관요소로 강조되고 있다. 다섯째로 지형특성을 고려한 생태적 식생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전주지도>를 중심으로 도출되는 전주부성의 식생경관 특성은 전주의 경관성을 회복, 재현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특히 지형특성과 어우러진 비보적 개념의 식생군락지, 지형과 조화되는 생태형 식재경관 형성수법, 민가와 어우러진 민가정원형 식재경관, 지역성을 반영한 도화경의 경관 조성 등은 18C 후반 전주지도를 통해 발견한 전주부성의 특화된 경관상(景觀相)이다.

낙안읍성민속마을 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및 평면구성방식 (Floor Plan Types and Spatial Composition of Folk Housing in Nagan Folk Village)

  • 김시예;천득염;유우상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6호
    • /
    • pp.77-98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loor plan types of folk houses or traditional vernacular dwellings found in Nagan Folk Village located in Joellanamdo province. Examining the floor plans appeared among 36 vernacular folk houses presumably built in the 19th century in the village by means of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bays of Anche, the mail block of the house, the study was also able to construct a spatial compositional process of floor plan development. The floor plan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basic floor plan type in Nagan folk housing was '一' shape, a typical southern dwelling based on the existing classification. This basic type is consisted of three bays or rooms: Jeongji (kitchen), Anbang (large room), and Jageunbang (small room). New spaces or rooms are added to this three room house to expand the house as the residential functions become more complex, such as more living and storage spaces. The expansion appears to have two direction. On the one hand, it has been taken place by inserting Marea, an open wooden floor living space between Anbang and Jageunbang to meet the extended living demand. On the other, Jeongjibang, a second kitchen/storage has been attached to Jeongji outward for extra cooking and storage. This two-way expansion shows the trend of symmetric expansion between cooking, storing space and dwelling space. It can be implied that the arrangement of house rooms has been structurally formulated and shared by the farmer-builders in the 19th century in Nagan village who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fixed images for housing.

경남 도서지역 촌락의 가옥 유형에 관한 연구 -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 (The Types of the Rural Housing in the Sea Islands of Gyeongnam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oofing Types and Materials)

  • 이전;성화룡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60-672
    • /
    • 2015
  • 촌락 가옥은 촌락 경관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촌락 가옥에 대한 지리학 연구는 주로 전통적인 민가에 초점을 두었으나, 본 연구는 오늘날의 촌락 가옥에 초점을 둔다. 본 연구는 경남 도서지역 가옥의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제시하는 촌락 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지역의 가옥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서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분류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촌락 가옥의 유형화를 시도한다. 지붕 형태를 중심으로 분류하는 가옥 유형에서는 팔작지붕 우진각 맞배지붕과 같은 전통적인 지붕 형태를 가진 가옥이 많고, 전통적인 지붕 형태 이외의 가옥 유형에서는 단순평지붕 가옥이 많다. 두 개 이상의 지붕 형태를 가진 결합양식지붕 가옥 유형의 경우, 경사-평지붕 가옥이 경사-경사지붕 가옥보다 10여 배나 많다. 지붕 재료 중에서는 시멘트, 컬러강판, 인조슬레이트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특정 지붕 재료가 특정 지붕 형태에서 두드러지게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통해 연구지역의 주요한 가옥 유형을 '지붕 재료와 지붕 형태'를 중심으로 다섯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 PDF

조선시대 화훼식물의 이용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Symbolizes of the Joseon Dynasty Flowering Plant)

  • 김승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4-147
    • /
    • 2014
  •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고문헌과 옛 그림에서 나타나는 화훼식물을 재료로 궁궐정원과 민가정원에 나타나는 지피식물의 이용특성과 상징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문화재 지역 및 현대 조경공간에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었다. 첫째, 조선시대 고문헌과 옛 그림에서 출현한 화훼식물의 출현빈도는 매화, 연꽃, 모란, 국화, 파초, 영산홍, 장미, 진달래, 작약 등이 10회 이상으로 높은 빈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비교적 출현 빈도가 높은 식물은 치자, 석류(8회), 패랭이꽃, 포도(7회), 난초, 정향, 봉선화, 원추리, 맨드라미, 무궁화, 철쭉류, 창포, 접시꽃, 황매화, 유자(5회), 부용, 동자꽃, 금전화, 베고니아, 해바라기, 양귀비, 수선화, 서향화, 옥잠화 등(4회)이였으며, 그 외에는 29분류군 총 81종의 화훼식물이 조사되었다. 둘째, 궁궐과 민가에서 사용되었던 조선시대 화훼식물의 이용은 분에 심어 가까이 두고 완상하거나 화단, 화계, 화오, 연못 및 담장주변 등에 주로 식재하였음을 고문헌의 기록과 정원도 및 민화의 그림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영산홍의 식물재료에 대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의 내용에서 다루어지고 연구되어진 민가정원의 관련된 문헌(6점)이나 옛 그림(766점)에서 출현한 내용이 없는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 대중에게 유통이 극히 일부에 국한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조선시대 화훼식물 상징성은 유교의 절개, 군자, 청빈, 충효사상을 나타낸 경우, 도교의 신선사상이나 불로장생을 나타내는 경우, 민간신앙의 부귀영화나 만사형통을 기원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는 식물을 덕성함양의 대상이나 기복의 대상으로 여겼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조선시대 이용했던 화훼식물은 선비가 닮고 싶은 이상과 지향하는 정신세계와 일치하였기 때문에 선조들의 상징으로 나타났다고 본다. 조선시대 이용하였던 화훼식물은 수목종류에 따른 보편적인 판단기준이 아닌 다양하고 주관적이며, 또한 정신적인 측면으로 접근하여 해석할 때에 조선시대 화훼식물의 조경공간에서의 활용범위 또한 넓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이하복가옥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Site and Space of Lee Ha-Bock's Traditional House)

  • 한종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394-8399
    • /
    • 2015
  • 본 논문은 서천군 기산면 신산리 120번지에 위치한 중요민속자료 제197호로 지정된 이하복 가옥을 대상으로 입지분석 및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하복가옥의 입지는 풍수적으로 잘 갖추어진 배산임수(背山臨水)의 면견형(眠犬形)의 터를 입지로 선정하였다. 가옥의 공간구성은 ㄱ자형 안채, ㅡ자형 사랑채와 광채 등을 대지에 순응해서 ㅁ자 배치로 조성한 중부지방의 전통적인 농가의 모습을 하고 있는 초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늘날 화려하고 규모가 큰 반가들이 많이 남은 현실에서 조선시대 민가의 모습을 보여주는 몇 채 안 되는 초가로서 건축학적인 가치가 적지 않다고 판단된다.

조선후기 읍성 취락의 경관 요소와 경관 구성 - 태안읍성, 서산읍성, 해미읍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andscape Elements and Construction of Eupseong (county seat)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전종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19-341
    • /
    • 2015
  • 조선시대의 읍성 취락은 중앙 정부가 지방의 각 고을에 계획적으로 건설한 행정 타운으로서 우리나라의 전통 도시를 대변한다. 읍성에는 객사, 동헌과 내아, 질청을 비롯한 다양한 행정 및 통치 시설들이 들어서 있었고 일반 백성들의 민가가 들어서 있는 경우도 많았다. 본 연구는 조선후기 읍성 취락의 주요 경관 요소와 경관 구성의 특성을 고찰하고 그 결과를 지적원도(1913)에 재현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현재적 재현을 위한 복원 대상 시기를 설정하는 일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연구자는 조선 읍성 경관의 완성기를 19세기 전반기로 규정하고, 이 시기 전국의 읍성 분포 및 주요 읍성 경관 요소의 전국적 보편성과 지역적 특수성을 파악하였다. 이 작업을 토대로, 태안읍성, 서산읍성, 해미읍성을 사례로 읍성 경관 완성기의 읍성 내 주요 경관 요소와 그들의 위치, 전체적 공간 구성을 1910년대의 지적원도 위에 나타내 보았다.

  • PDF

광한루원의 수목 및 구조물 정비 방안 (A Solution for Repairing Trees and Structure of Gwanghallu Garden)

  • 백종철;김학범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11
    • /
    • 2011
  • 전라북도 남원시에 위치한 광한루원은 조선시대 관아건축물인 광한루를 중심으로 주변에 조성된 정원과 함께 조선시대 대표적인 관아정원의 모습을 보여주는 장소이다. 그러나 광한루원은 현재 조선시대 관아정원으로서의 특성과 이미지보다는 지역문화인 춘향전의 배경 장소로서의 인식이 높은데, 이는 춘향전의 한문본인 "광한루기"에 광한루가 춘향전의 배경장소로서 나타났기 때문이며, 1930년대 이후 춘향사당의 건립과 춘향제가 열리면서, 조선시대 관아건축물로서의 인식보다는 일제강점기 시절 민족의식 고취와 춘향의 절개를 추모하는 장소로서 활용되었기 때문이다. 관아건축물로서의 인식보다는 춘향전의 배경장소로서의 인식이 높아지며 관아정원으로서 보전, 관리되기 보다는 춘향전의 배경장소로서 민가주택정원이나 지역문화 행사장으로서 관리되면서 무분별한 수목의 식재와 구조물 조성, 공간구성에 의해 관아정원으로서의 특성을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따라서 광한루원을 조선시대 관아정원으로서 보전, 관리해 가기 위해서는, 현재 광한루원에 조성된 수목, 구조물, 공간구성 등을 조사하고, 이를 문헌분석을 통해 파악된 광한루원의 원형과 비교, 분석하여, 광한루를 중심으로 조성된 관아정원 지역과 춘향전의 배경장소를 구분하여 정비, 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광한루원은 관아정원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전통공간인 광한루를 중심으로 펼쳐진 춘향전은 전통의 맥을 잇는 지역문화로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조선조 토지제도와 인식을 통해 본 보길도 윤선도 원림 조영 배경 연구 (A Study on the Yun Seon-Do's Garden on Bogildo Island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Land Systems in the Joseon Dynasty)

  • 이태겸;김한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0
    • /
    • 2019
  • 본 연구는 조선시대 토지제도 및 그 시대 사람들의 토지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고산 윤선도의 보길도 입도 배경 및 부용동 원림의 조성 특징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부용동 원림의 조영의도를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해석하였다. 조선시대 토지제도와 인식을 살펴보면, 산림천택(山林川澤)의 토지는 공유지였다. 그러나 금산(禁山)을 제외한 지역은 입안(立案)과 분묘의 금양 등을 통해 공유지를 사점하려는 행위가 활발했다. 조선시대 보길도는 소나무를 보호하기 위한 금산으로 지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민가정원을 조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 윤선도는 병자호란 직후, 산림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금산이었던 보길도에 입도하고 부용동 원림을 조성하였다. 보길도는 가문의 전장 관리를 위해 주변지역으로의 이동이 용이한 지역이며, 산림 자원이 풍부하고, 어염 등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자원도 확보할 수 있는 섬이다. 이처럼 윤선도는 금산 보호라는 공적인 명분으로 보길도에 입도하였으나 산림 및 어염자원을 획득할 수 있고 가문의 전장 확대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경제적 이점도 고려하였을 것이라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