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Floor Plan Types and Spatial Composition of Folk Housing in Nagan Folk Village  

Kim, Si-Y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eon, Deuk-You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oo, Uoo-Sa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v.20, no.6, 2011 , pp. 77-9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loor plan types of folk houses or traditional vernacular dwellings found in Nagan Folk Village located in Joellanamdo province. Examining the floor plans appeared among 36 vernacular folk houses presumably built in the 19th century in the village by means of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bays of Anche, the mail block of the house, the study was also able to construct a spatial compositional process of floor plan development. The floor plan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basic floor plan type in Nagan folk housing was '一' shape, a typical southern dwelling based on the existing classification. This basic type is consisted of three bays or rooms: Jeongji (kitchen), Anbang (large room), and Jageunbang (small room). New spaces or rooms are added to this three room house to expand the house as the residential functions become more complex, such as more living and storage spaces. The expansion appears to have two direction. On the one hand, it has been taken place by inserting Marea, an open wooden floor living space between Anbang and Jageunbang to meet the extended living demand. On the other, Jeongjibang, a second kitchen/storage has been attached to Jeongji outward for extra cooking and storage. This two-way expansion shows the trend of symmetric expansion between cooking, storing space and dwelling space. It can be implied that the arrangement of house rooms has been structurally formulated and shared by the farmer-builders in the 19th century in Nagan village who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fixed images for housing.
Keywords
Folk House; Floor Plan Type; Spatial Composition; Nagan Folk Village; Vernacular Dwell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지민, 전남지방 민가의 안채 평면형 연구, 한국건축역사연구, 제14권 4호 통권44호, 2005. 12
2 김성우, 호남지방 전통주택에서의 규모와 평면형식 : 전남 장흥군 관산읍 방촌마을을 중심으로, 한국건축역사연구, 제2권 2호 통권4호, 1993. 12
3 정연상, 20세기 전반기 경기도 민가의 평면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건축역사연구, 제12권 4호 통권16호, 2003. 12
4 이기봉, 낙안읍성의 입지와 구조 그리고 경관 : 읍치에 구현된 조선적 권위 상징의 전형을 찾아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4권 제1호, 2008
5 정연상, 경기도 전통민가의 퇴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권 6호 통 권188호, 2004. 6
6 조원석, 우리나라 전통민가 평면유형분류의 변천에 대한 고찰,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1권 3호, 1999. 10
7 이상선, 낙안읍성 민가의 주공간 변용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권 10호 통권216호, 2006. 10
8 고태주, 낙안읍성의 민가와 주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12권 제2호, 1992. 10
9 구재오, 전통 민가의 지역별 평면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8권 제2호, 1988. 10
10 조원석, 우리나라 전통민가 평면유형분류의 변천에 대한 고찰, 대한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1권 3호, 1999. 10
11 김정기, 한국주거사, 한국문화사대계 4, 고대민족문화연구소, 1971
12 허경진, 한국의 읍성, 대원사, 2005
13 이호철, 농업경제사연구, 경북대학교 출판부, 1992
14 천득염, 남도전통주거론, 경인문화사, 2004
15 변동명, 낙안과 낙안읍성, 순천대학교 박물관, 2001
16 민성기(閔成基), 조선 전기(朝鮮前期)의 麥作技術考- 농사직설(農事直說) 의 麥法種分析一, 釜大史學 제4집, 1980
17 황철산, 우리나라 과거 주택유형과 그 형성 발전, 사회과학원출판사, 1965
18 김동인, 하회마을을 중심으로한 서민주택의 특성에 관한 고찰, 영남대 석사학위논문, 1982
19 미끼기요시 지음, 辛珠诛 옮김, 人生論노오트, 경지사, 1964
20 김정원, 한국전통건축 간의 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경일대 석사학위논문, 1999
21 고인총, 국주거건축의 평면특성 및 변화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22 김정원, 한국전통건축 간의 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경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23 승주군, 낙안읍성민속마을 세부현황종합 조사보고서,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