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체 개체수

Search Result 73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in Youngsan River Estuary (영산강 하구역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동)

  • Kwon, Kee-Young;Youn, Seok-Hyun;Lee, Jae-Seong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9.06a
    • /
    • pp.149-150
    • /
    • 2009
  • 영산강 하구둑에 의해 폐쇄내만의 조건을 가진 영산강 하구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변동을 파악하고자 2008년에 계절별로 7개 정점에서 조사하였다. 영산강 하구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개체수는 14$\sim$34,958cells/mL의 범위를 보였다. 조사시기별로는 7월에 평균 10,796cells/mL가 출현하여 조사기간 중 가장 많은 출현 개체수를 보였고, 이어서 9월(평균 3,327cells/mL), 5월(평균 590cells/mL), 11월(평균 34cells/mL) 순으로 감소하여 조사시기별 출현개체수의 변동이 매우 심하였다. 규조류는 모든 조사시기에 걸쳐 최고의 점유율을 나타내었고 11월을 제외하면 전체 개체수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규조류가 영산강 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을 좌우하고 있는 종임을 알 수 있었다. 영산강 하구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제 1 우점종은 5월에 Eucampia zodiacus(83.1%), 7월에 Chaetoceros curvisetus(24.2%), 9월에 Pseudo-nitzschia delicatissima(94.3%), 11월에는 Chroomnnas류(33.6%)로 변화하였다. 5월과 9월은 한 종이 전체 식물플랑크톤 개체수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극우점양상을 보여주었고, 7월에는 C. curvisetus, Skeleton듬 costatum 및 Chaetoceros sp. 등이 유사한 점유율로 우점하고 있었다. 영산강 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 종다양성지수는 0.228$\sim$2.260의 범위로 소수의 우점종에 의해 전체 군집의 분포양상이 결정되는 전형적인 연안, 하구수역의 군집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 PDF

Considerations and Alternative Approaches to the Estimation of Local Abundance of Legally Protected Species, the Fiddler Crab, Austruca lactea (법정보호종, 흰발농게(Austruca lactea) 서식 개체수 추정에 대한 검토와 대안)

  • Yoo, Jae-Won;Kim, Chang-Soo;Park, Mi-Ra;Jeong, Su-Young;Lee, Chae-Lin;Kim, Sungtae;Ahn, Dong-Sik;Lee, Chang-Gun;Han, Donguk;Back, Yonghae;Park, Young Cheo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3 no.2
    • /
    • pp.122-132
    • /
    • 2021
  • We reviewed the methods employed in Korean tidal flat surveys to measure the local abundance of the endangered wildlife and marine protected species, the fiddler crab, Austruca lactea. A complete census for infinite population is impossible even in a limited habitat within a tidal flat, and density estimates from samples strongly vary due to diverse biological and ecological factors. The habitat boundaries and areas shift with periodicities or rhythmic activities of organisms as well as measurement errors. Hence the local abundance calculated from density and habitat areas should be regarded as transient. This conjecture was valid based on the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the density averages, standard error range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crab, A. lactea observed for 3 years (2015-2017) in Songdo tidal flat in Incheon. We proposed the potential habitat areas using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50% from logistic regression model,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habitat conservation value as an alternative to local abundance. The spatial shape of potential habitat predicted from a generalized model would remain constant over time unless the species' critical environmental conditions change rapidly. The species-specific model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introduction of desired species in future habitat restoration/creation projects.

한국산 파파리반딧불이 (Hotaria papariensis Doi)의 생태학적 연구

  • 심하식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3-29
    • /
    • 2001
  • 파파리반딧불이(H papariensis)의 생태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서식처 환경, 개체군, 고도별 출현양상과 지역별 분포양상, 발광양상, 교미행동을 조사하였다. 춘천시 서면 지암리에서 H. papariensis 성충의 개체군 밀도를 1998년 5월부터 7월에 걸쳐 조사하였으며, 전체 채집 개체수는 703개체였다. 이중 수컷은 680개체, 암컷은 23개체를 채집하였다. 지암리에서 전체 출현기간은 50여 일로 추정되었다. 처음 출현한 날로부터 2주에서 3주 사이에 최대 정점을 나타내었으며,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출현양상을 나타내었다. 수컷 680개체중 47개체는 재 포획되었으며, 이로서 추정된 최대수명은 6일 이상, 평균수명은 3.26일로 나타났으며, 수컷과 암컷의 상대적인 성비는 27.5/l로 나타났다. 한국산 Hotaria속 반딧불이 2종의 고도별 출현 및 지역별 분포양상에 대하여 1999년 5월부터 7월까지 18개 지역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전체 채집개체수는 1096개체였으며 이중 H. papariensis는 584개체, H unmunsana는 512개체였다 두 종은 제주도를 제외한 전 조사지역에서 공서 하고 있었으며 H. papariensis는 북쪽지역에 우세하게 분포하였고 H. unmunsana는 남쪽지역에 우세하게 분포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성충 반딧불이의 최고 출현성기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늦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도별로 200m 이하 지역에서는 6월 초순에서 중순, 200-400m 지역에서는 6월 중순에서 말경, 400-600m 지역에서는 6월말 경부터 7월 초순, 600-800m 지역에서는 7월 초순부터 중순에 각각 최고 성기를 나타내었다. H. papariensis의 암컷과 수컷의 발광양상을 분석하고자 정지발광과 구애 발광을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각각의 발광지속시간과 발광주기를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수컷의 발광지속시간은 정지발광(0.12초)보다 구애발광(0.17초)에서 1.4배 증가하였으며 암컷의 발광지속시간은 정지발광(0.15초)보다 구애발광(0.19초)에서 1.5배 증가하였다. 발광주기는 수컷에서 정지발광(1.26초)보다 구애발광(1.12초)에서 0.88배 감소하였고, 암컷에서 정지발광(2.99초)보다 구애발광(1.06초)에서 0.35배 감소하였다. 발광양상에서 발광주파수는 수짓의 정지발광에서 0.8 Hz, 수컷 구애발광에서 0.9 Hz, 암컷의 정지발광에서 0.3 Hz, 암컷의 구애발광에서 0.9 Hz로 각각 나타났다. H. papariensis의 발광파장영역은 400 nm에서 700 nm에 이르는 모든 영역에서 확인되었으며 가장 높은 첨두치는 600 nm에 있고 500에서 600 nm 사이의 파장대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발광양상과 어우러진 교미행동은 Hp system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PDF

Comparison of Growth Condition of Abies koreana Wilson by Districts (지역별 구상나무 생육현황 비교)

  • 추갑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1
    • /
    • pp.80-87
    • /
    • 2000
  • 구상나무림 보전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지리산 한라산 및 덕유산의 아고산지대에 95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한국특산종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 서식지의 입지인지를 조사하였다 구상나무는 흉고직경 10-30cm의 범위에 드는 나무들이 주로 고사목으로 나타났으며 고사목의 비율은 전체적으로 총개체수의 11.51%였다 고사목의 비율또한 덕유산에서 18.18%로 가장높게나타났고 한라산 지역이 8.1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개체수 치수의 개체수 구상나무의 수고와 흉고직경 생육현황표에 의한 점수 구상나무의 상대밀도 등은 지역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생육중인 구상나무의 활력은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으로 순으로 좋았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치수의 개체수는 한라산에서 6.00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덕유산에서는 치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상대밀도도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개체수는 해발고와 정의 상관, 방위, 낙엽퇴의 두께, 조사구당 교목의 개체수 및 종수, 활엽수 상대밀도와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구상나무 상대밀도는 해발고와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 방위 조사 구당교목의 개체수 및 종수 수관울폐도, 활엽수 상대밀도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지리산, 한라산 및 덕유산에 자생하는 구상나무는 해발고가 높으며 볕이 잘들고 낙엽퇴가 얕으며 종구성이 단순하고 활엽수가 적은 지역에 보다 많이 분포한다.

  • PDF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 in Jisepo Bay of Geoje Island, Korea (거제도 지세포만 잘피밭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 Kim, Byung-Gi;Gwak, Woo-Seok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18 no.3
    • /
    • pp.234-243
    • /
    • 2006
  • A total 34 fish species, 1,110 individuals, and 5,107.3 g of fishes were collected by a surf net in the eelgrass bed in Jisepo Bay of Geoje Island, Korea. Samples were monthly collected from March 2005 to February 2006. The dominant fish species were Rudarius ercodes, Ditrema temminckii, Syngnathus schlegeli, Petroscirtes breviceps, which accounted for 73.5% of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63.6% of biomass of fish collected. The number of species and biomass were low from March 2005 to July 2005, and high from August 2005 to October 2005. Species diversity indices ranged from 0.836 to 2.016, and showed the highest value in December 2005.

A study on the Inhabitant of Ssang-Cave in Pyeongchang, Korea (평창(平昌) 쌍굴(雙屈)의 서식생물(棲息生物)에 관(關)한 연구(硏究))

  • Son, Gyu-Nam;Kim, Byoung-Woo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89
    • /
    • pp.1-15
    • /
    • 2008
  • In this study, the inhabitant were investigated at the six sites in the cave which is located in Giwha-ri, Mitan-myen, Pyeong Chang-gun from January to June in 2005. As the result of observation, collection, researching, It was confirmed as all animals species were classified by 19 species, 4 classes, 11 orders, 16 families. Among the investigated animals, Diestrammena asynamora Adelung distributed 66.6% and Antrokoreana gracilipes Verhoeff distributed 22.4%. They were confirmed as a dominant species. Among the observed animals, Troglobite with ecological characteristics was 5.3%, troglophiles were 21.1% and trogloxenes were 73.7%. Among them, There were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in trogloxenes. In the class manmalia, Rhinolphus ferrumequinum korai Kuroda and two Myolis daubentoni ussuriensis Ognev's species were observed. Among them Rhinolphus ferrumequinum korai Kuroda distributed 58.9%, so they were confirmed as a dominant species. The largest number of Triphosa dubitata Linnaeus, trogloxenes, were observed in January and February in winter. 503 individual of Antrokoreana gracilipes Verhoeffs, troglobites, were observed only in June. Diestrammena asynamora Adelung, troglophiles, appeared the large number of species in sping, especially, in April and May.

제주지역 특산식물의 현황 및 활용방안

  • Go, Jeong-G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10a
    • /
    • pp.5-5
    • /
    • 2010
  • 제주지역에 분포하는 특산식물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지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44과 75속 63종 17변종 13품종으로 총 93분류군에 대한 자생지 환경, 개체군 동태, 생육특성 및 위협요인 등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였다. 이중 세계적으로 제주지역에만 분포하는 제주특산식물은 긴다람쥐꼬리(Huperzi integrifolium) 등 27과 46속 36종 12변종 8품종으로 총 56분류군으로 분석되었으며, 제주도를 포함하여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한국특산식물은 구상나무(Abies koreana) 등 20과 28속 24종 4변종 4품종으로 총 32분류군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조사대상 특산식물 중 바위좀고사리(Asplenium sarelii var. anogrammoides) 등 5분류군은 분류학적 검토와 함께 특산식물여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개나리(Forsythia koreana)는 조경용으로 식재된 종이므로 제주지역에 자생지가 확인된 특산식물은 39과 70속 59종 16변종 12품종으로 총 87분류군으로 볼 수 있다. 제주지역의 특산식물은 해안지대에서 확인된 갯겨이삭(Puccinellia coreensis)부터 한라산 정상에서 자라는 한라솜다리(Leontopodium hallaisanense)까지 제주도 전역 분포하고 있으나 종에 따라 서로 다른 분포특성을 보였다. 특히, 한라산 해발 1,400m 이상 아고산대에 집중 분포하는 특성을 보였다. 특산식물의 자생지내 개체군의 동태를 보면 대부분의 식물이 개체수 및 분포범위가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지리산오갈피(Eleutherococcus divaricatus var. chiisanensis)는 2개체만이 확인되어 종보전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한라솜다리, 모데미풀(Megaleranthis saniculifolia), 한라각시둥굴레(Polygonatum humile var. humillimum) 등 상당수의 식물 종이 수십 개체 이내로 매우 적은 개체수를 유지하고 있었다. 제주지역에 분포하는 특산식물은 인위적 또는 자연적 요인으로 인해 많은 자생지 면적감소나 개체수 감소 등의 위협요인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산간 이하에 자라는 특산식물은 접근성 등이 용이하여 도채 등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한라산국립공원 내에 분포하는 특산식물은 인위적 훼손 위험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나 자연적 요인 즉, 식생변화 등으로 인해 자생지 및 개체수 감소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 체계적인 종 보존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제주지역 특산식물 중 자생지가 확인된 식물 종을 대상으로 근연종 분석 등을 통해 유용성을 분석하면 식물체 일부가 약용으로 가능한 식물 종이 개족도리(Asarum maculatum) 등 전체의 67.1%를 차지하였고, 관상용으로 활용가치가 높은 식물 종은 구상나무(Abies koreana) 등 전체의 60.2%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대부분의 종이 희소성의 가치가 있어 모든 특산식물이 관상용으로 이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주지역에서 확인된 특산식물 중 전체적으로 90.9%가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아직까지 유용성에 대한 정보가 미흡한 종도 자원적인 연구접근에 따라 다양한 자원으로 활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Beetles(Coleoptera: Carabidae) in Naejangsan National Park, Korea (내장산국립공원 딱정벌레류의 종 분포 및 다양성)

  • Lee, Chong-Kyu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5 no.4
    • /
    • pp.37-45
    • /
    • 2011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beetles with pitfall traps and beatings 3 times at Baegyang temple area of Naejangsan National park from July to September in 2010. A total of 333individuals belonging to 32 species from 13 families were captured beetles at Baegyang temple area of Naejangsan National park. The rate of captured individuals was 17.4% and 13.3% in Synuchus cycloderus and Synuchus nitidus, respectively. The total of two species was 30.7%. The number of individuals by altitude was the highest at 200m, and was order of 500m>400m>700m. A total of 333 individuals belong to 32 species from 13 families were captured at Baegyang temple area of Naejangsan National park. The number of captured individuals by monthly was 95 on July, 178 on August and 60 on September, respectively. Dominance index was the highest to Attelabidae and was the lowest to Rutelidae. Dominance index by monthly was the highest on July and was the lowest on September. Diversity index showed the highest to Rutelidae in family and on August in monthly. Menhinich index was 1.75 which species abundance indicated by beetles at Baegyang temple area of Naejangsan National park.

Fish Assemblages Collected by Bottom Trammel Gill Net around Gampo in the East Sea of Korea (동해 감포 주변해역에서 저층삼중자망에 어획된 어류 군집)

  • Kang, Pil Jun;Kim, Chong Kwan;Hwang, Sun W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3 no.1
    • /
    • pp.27-33
    • /
    • 2015
  • Fish assemblages in the coastal waters off Gampo in the East Sea of Korea were analyzed using the samples of fishes collected with bottom trammel gill nets June, September, and December 2005 and, March 2006.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32 fish species, 695 individuals, and 180,012.0 g representing 21 families were collected. The fish assemblages predominantly consisted of Ditrema temminckii, which accounted for 52.4% of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40.4% in the biomass. The next major specimens were Hexagrammos otakii, Sebastes schlegelii, Stephanolepis cirrhifer, Sebastes taczanowskii, Halichoeres poecilopterus. These six fishes accounted 77.6% of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77.5% of total biomass. The number of fish species,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fluctuated with month.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st in June 2005 and lowest in March 2006.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as highest in September 2005 and lowest in June 2005.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oastal Water off Goeje Island (거제도 연안해역의 어류 종조성)

  • Cha, Byung-Yul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11 no.2
    • /
    • pp.184-190
    • /
    • 1999
  • A total of 43 species, 493 individuals, and 89,367.1 g of fishes were collected by a gill net in the coastal water off Goeje Island. Samples were collected by bimonthly from February to October, 1996. The dominant species were Stephanolepis cirrhifer, Ditrema temmincki, Hexagrammos otakii, Limanda yokohamae, Sebastes schlegeli, Paralichthys olivaceus, which accounted for 61.7% of the total numbers and 66.3% of biomass of fish collected. Fishes collected in the study area were mainly consisted of coastal species, but a few fishes were migratory species including Stephanolepis cirrhifer, Pleuroniohthys cornutus, Paralichthys oliuaceus, Thamnaconus modestus, Pagrus major, Engraulis japonicus. The number of species and abundance showed a peak in October, and low in February. Monthly species diversity indices ranged between 1.99 and 2.81, and high in June.

  • PDF